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미국 랩 생활은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일단 랩의 그 어느 누구도 나의 출퇴근 시간에 관심이 없다. 한국에서는 직장인처럼 정해진 시간에 출근을 해야 하고 늦으면 눈총을 받으며, 퇴근도 내가 할 일이 없더라도 선배가 퇴근하기 전엔 아...
|
 |
찜찜씨는 오늘도 실험의 즐거움과 함께 찜찜함이 한가득입니다. 오늘은 SDS-PAGE에 사용되는 버퍼들을 만드는 방법을 배웠는데요. 그런데 선배가 말하길 이 단백질 전기영동에 필요한 계면활성제인 SDS는 아무도 없을 때 방진 마스크를 끼고 만들라고 하더...
|
 |
2년여의 짧은 회사 생활을 마치고 한 달의 휴식기를 보낸 뒤 일을 시작한 곳은 정부 산하 기관 연구소 였다. 연구소에 들어와서 시작한 실험에 대한 이야기는 관련 분야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재미가 없을 수도 있고 이미 다른 연재자들의 경험담으로도 많이 접...
|
 |
오늘 영상은 두 얼굴의 정원사 마이크로글리아입니다.
마이크로글리아는 정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습니다.
대체 마이크로글리아는 무엇이고 알츠하이머병을 치료와 관련하여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뇌 조직, 치매 동물모델(mice) 및 인간 별아교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세포 내 노화 과정을 가속화시키는 핵심 단백질 분자 TXNIP에 의한 별아교세포 염증반응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TXNIP 증가에 의한 별아교세포의 염증성 표현형 증가와 캐스페이즈-3 활성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달에 있어 주요 원인임을 밝혀냈다.
|
 |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손영훈·이해준 박사 연구팀이 저선량률 저선량 방사선의 장기노출이 알츠하이머병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저선량률 저선량 방사선은 방사선 세기가 낮고 방사선 양이 적은 방사선을 말함. 저선량 방사선은 자연 방사선과 같이 낮은 선량의 방사선으로 일반적으로 100mSv 이하의 방사선을 의미한다.
|
 |
대웅제약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베르시포로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분자 기전 규명 연구가 국제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E) 논문인 ‘유럽분자생물학회 분자의학(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Molecular Medicine)’에 등재됐다고 26일 밝혔다.
|
 |
매운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몸에 안 좋다는 속설은 사실일까? 최근 국내 연구진이 노년에 매운 음식을 즐겨 먹으면 치매의 전조증상이라 할 수 있는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
북극에 사는 다람쥐 암컷이 지구 온난화 때문에 봄마다 수컷을 만나지 못하고 독수공방(獨守空房)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컷이 수컷보다 일찍 겨울잠에서 깨어나 짝짓기 철에도 홀로 지낸다는 말이다.
|
 |
공기 속 산소 수치가 낮은 곳에 살면 장수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팀은 산소섭취량을 줄이거나 산소를 제한하면 생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는 헌혈자와 최근 엠폭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반응을 조사한 결과와 최근 연구를 종합하면 천연두 백신을 맞았던 사람의 약 80%가 엠폭스에 면역성(교차반응 보호효과)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국내에선 천연두가 사라짐에 따라 1979년생부터 천연두 백신을 맞지 않았다.
|
 |
국내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을수록 체내 축적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독성 또한 강화되어 심장 기형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
 |
포도를 먹으면 뇌와 심장, 피부, 대장 가운데 결장 등의 건강에도 두루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웨스턴뉴잉글랜드대 약대 연구팀은 건강한 남녀 29명을 대상으로 총 8주에 걸쳐 포도의 잠재력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
나이가 들면 아무래도 체력이 떨어지고, 쇠약해지기 마련이다. 노인증후군(geriatric syndrome)에 걸릴 가능성도 높아진다. 노인증후군은 낙상, 인지기능 장애, 우울, 영양 불량, 통증, 요실금과 같이 노인에게서 눈에 띄게 자주 발생하면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증상을 말한다.
|
 |
치매 정복으로 가는 길은 삼각 편대가 이끌고 있다. 치료제 개발 경쟁에 뛰어든 제약사들의 연구 성과가 무르익고 있고, 조기 진단과 환자 돌봄을 개선하는 인공지능(AI)과 로봇의 성능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치매 퇴치를 국가적 과업으로 여기는 선진국들은 예산과 인력을 집중 지원하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며 뒤를 받치고 있다.
|
 |
정부가 ‘디지털·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민간의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바이오헬스 7대 핵심분야에 대한 규제혁신을 추진한다.
|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의약 분야 업체·협회·학계·소비자단체와 함께하는 ‘규제혁신 2.0 국민대토론회’를 5월 2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
|
|
|
|
|
|
|
|
답변율 67.2% |
<3일간> |
질문수 7 | 답변수 12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김예안 (중앙보훈병원) J. Cachexia Sar.. |
 |
김현준 (Massachuse..) Matter |
 |
정민지 (University..) Thromb. Res. |
 |
이정승 (Massachuse..) Matter |
|
|
 |
김현정 (Universi..) Brain Behav. Imm.. |
 |
장진훈 (전남대학교) New Phytol. |
 |
양효정 (중앙대학교) Biosens. Bioelec.. |
 |
이규배 (연세대학교) Adv. Funct. Mate.. |
 |
이문섭 (Universi..) New Phytol. |
 |
서제현 (중앙보훈병원) J. Cachexia Sarc.. |
 |
김효민 (POSTECH) Nucleic Acids Re.. |
 |
신현승 (부산대학교 분자..) J. Hazard. Mater.. |
|
|
|
|
|
|
|
|
|
|
6/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