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실험실에서 반복적인 실험을 하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욘됴리만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
 |
미생물을 다루는 분이라면 대부분 초저온 냉동고인 딥프리저를 사용하시겠죠.
딥프리저 대신 액체질소를 사용하는 실험실도 본 적은 있습니다. 딥프리저를 갖추기 어려운 것이 이유라고 하면서 일시적으로 사용하시더군요. 액체질소가 딥프리저를 전적으로...
|
 |
cDNA (complementary DNA)는 세포에서 단백질의 기능 연구 혹은 단백질 다량 생산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5’ 비번역 영역 (untranslated region)이 mRNA 안정성, 세포 내에서의 위치 혹은 번역 (translation) 효율과 관련된 구조적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cDNA의 정보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
 |
방사선의학 연구자와 정책입안자 및 방사선의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방사선의학 웹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방사선의학을 이해하고, 국내 방사선의학 연구자들의 자긍심 고취와 연구협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
KAIST는 신소재공학과 박찬범 교수 연구팀이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질환을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아미노산 화합물) 응집체를 자기장으로 분해할 수...
|
 |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장내균총 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균을 발굴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질환 모델을 대상으로 이 균을 투여한 결과 우수한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
 |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이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을 광음향 현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현상을 응용해 몸속을 찍는 광음향 영상기법은 조영제...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체내에서 DNA 손상조각을 분해시키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시험관에서 증명하는 데 성공했다. 세포 내 DNA는 자외선·흡연 등의 발암물질과 체내 대사물질로 인해 매일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다.
|
![[남궁석의 신약연구史]질병관련 단백질 구조의 규명](/upload/board/files/news/nes_8/thumb/photo0341418_1.jpg?1652658125) |
분자생물학과 구조생물학의 기술이 확립된 이후 이제 많은 연구자들은 인간의 질병에 관련된 많은 단백질의 구조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결국 약물은 특정한 단백질에 작용하여 효과를 내고, 질병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단백질의 구조를 알게되면 질병의 치료법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로 질병 단백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세포 지도, 완성에 한 걸음 가까워지다](/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41397_1.jpg?1652656652)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1일 다양한 모양을 가진 인간 세포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사람의 장기들은 제각기 다른 형태와 모양, 기능을 가진 세포들을 보유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2016년 인체의 모든 세포를 분석해 정리하는 프로젝트인 ‘인간 세포 지도(HCA)’를 발족했다.
|
 |
통증이 생길 때마다 소염제를 찾는 습관은 버리는 게 좋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급성 통증이 생길 때마다 복용한 소염제가 오히려 통증을 만성화시킨다.
|
 |
코로나 같은 전염병을 퍼뜨리는 악마로만 알고 있던 바이러스가 사람 목숨을 구하는 천사로 변신했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병원균에 감염된 환자들이 잇따라 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목숨을 구했다.
|
 |
멍게에 함유된 성분이 노화 징후를 반전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발표된 미국 스탠퍼드대와 중국과학원(CAS) 대학 등의 공동연구 결과에 따르면 멍게에 들어있는 ‘플라스말로겐’ 성분은 노화가 진행 된 뇌의 인지 장애를 뒤집을 수 있는 성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을 69%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최근에 밝혀졌다.
|
 |
코로나19로 전성기를 구가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엔데믹 시대와 마주하며 고민이 커졌다. 여러 선택지 가운데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과 맞물려 주목받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개발이 생존 키워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
![[과학하는 여자들의 글로벌이야기] 68. 논문 저자가 된다는 것](/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1441_1.png?1652674861) |
멘델은 수십년 동안 완두콩을 키우고 교배하며 유전학의 대원칙인 멘델 법칙을 정립했다. 중세시대 영국에서 흑사병이 돌던 시기, 휴교령 기간 홀로 연구했던 뉴턴도 단독으로 연구한 결과로 광학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
|
 |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바이오헬스 분야 육성의 필요성이 커지자 윤석열 정부가 오는 2023년까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백신 치료제 등 보건 안보 기술 육성을 위한 한국판 아르파헬스(ARPA-H)를 만들기로 했다.
|
|
|
|
|
|
|
|
|
|
|
|
답변율 77% |
<3일간> |
질문수 41 | 답변수 76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고명곤 (울산과학기술원) Cell Death Diff.. |
 |
이상규 (경북대학교) Genom. Proteomi.. |
 |
이상현 (Brown Univ..) Cell Host Micro.. |
 |
유한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Brain |
|
|
 |
이원석 (Harvard..) J. Clin. Invest. |
 |
전인동 (한국과학기술연구..) Small |
 |
정진국 (서울대학교) Cell Death Diffe.. |
 |
이우진 (분당 서울대학교..) Brain |
 |
안승엽 (서울대학교) Cell Reports |
 |
조성익 (기초과학연구원,..) Cell |
 |
안혜리 (아주대학교 의과..) J. Exp. Clin. Ca.. |
 |
채세열 (서울대학교) J. Control. Rele.. |
|
|
|
|
|
|
|
|
|
|
4/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