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Vol.25, No.2 (2023년 2월)
표지설명 : 변산바람꽃입니다. 2월에서 3월 사이에 꽃망울을 터뜨리기 때문에 쉽게 보기 어렵다. 꽃이 매우 앙증맞고 예쁘장해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는데, 개체 수가 많지 않아 보존이 필요한 식물종이다. (사진촬영 : 2015 한반도 생태정보 공모전) |
|
|
 |
 |
|
|
 |
PROTAC, 표적 단백질 분해(TPD) 및 그 파생기술 |
권기문 (inno.N) |
2001년 개발된 PROTAC 기술이 최근 몇 년간 급속도로 발전 중이다. PROTAC을 시작으로 표적 단백질 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기술 또한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여... |
|
|
|
 |
차세대 백신기술 동향 |
김선형, 정희진 (홍익대학교) |
후천면역의 분자기전이 점차 명확해짐에 따라 개발 초기에는 경험적으로 사용되었던 백신의 작용기작이 해명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다양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신개념 백신이... |
|
|
|
 |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 |
이영애 (서울대학교) |
피부는 가장 바깥 장벽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신체를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 미생물은 각질층에 군집화 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박테리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곰팡이나... |
|
|
|
 |
HUPO 2022 참관기 |
천성민 (서울대학교병원) |
2022년 12월 4일에서 8일까지 멕시코 칸쿤 센터(Cancun Center)에서 HUPO 2022 (The Human Proteome Organization) World Congress가 개최되었다. HUPO는 세계적으로... |
|
|
|
|
|
|
 |
 |
|
|
 |
이용주 서울대학교 Nat. Biomed. Eng. |
 |
노휘재 Broad Institute of MIT... Cancer Res. |
 |
김형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og. Neurobiol. |
|
 |
윤나오 POSTECH Nat. Commun. |
 |
이선주 중앙대학교 Plant Physiol. |
 |
박동준 UCSD J. Nanobiotechnol. |
|
 |
오승원 서울대학교병원 JAMA Netw. Open |
 |
이동건 강원대학교 Nat. Commun. |
 |
이찬섭 서울대학교병원 Genome Med. |
|
 |
조민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J. Autoimmun. |
 |
박승국 Univ. of Texas at Austin Cell |
 |
정시성 포항공과대학교 Nat. Commun. |
|
 |
김주원 아모레퍼시픽기술연구원 Nat. Commun. |
 |
Nagendra... 광운대학교 Bioact. Mater. |
 |
Chayanee... 포항공과대학교 Bioresour. Technol. |
|
 |
이병철 NIH Blood |
 |
장우영 경희대학교 Mol. Psychiatr. |
 |
심주성 세브란스 병원 Kidney Int. |
|
 |
김은지 세브란스 병원 Kidney Int. |
 |
김지원 제주대학교 약학대학 Cell Reports |
 |
신우리 충북대학교 Bioeng. Transl. Med. |
|
|
|
|
 |
 |
|
 |
|
[KRIBB, 서울대, Nat. Immunol.] 암 면역치료 효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면역관문 발굴 |
[UNIST, 숙명여대, Nucleic Acids Res.]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는 단백질 찾았다! |
[서울대, J. Am. Chem. Soc.] 신약의 원천 물질인 천연물의 논리적 발굴 플랫폼 개발 |
[KIST, ACS Nano] 자가진단키트보다 더 빠른 PCR, 5분만에 진단 |
[부산대, Cell Rep Med] 지방독성 조절 통한 악성 뇌종양 치료전략 제시 |
[고려대, 서울대, Nat. Cancer.] 국내 연구팀, 난치암인 췌장암의 원인 찾았다 |
[연세대, 서울대, Transl. Neurodegener.] 뇌혈관장벽 개방해 치매 항체 치료제 전달률 8.1배 ↑ |
[전남대, 한국교통대, ACS Appl. Mater. Interfaces] 신개념 염증 치료 물질 ‘특허 출원’ |
[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FRONT NUTR] 나트륨 섭취, 사망과 관련 없어 |
[국립암센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NAS] C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 새로운 방법 찾았다 |
|
|
|
|
|
|
 |
 |
|
 |
최수진 교수 Nanoparticles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the multidisciplinary fields including nanomedicine, nanofood, and nanocosmetics. Among various engineered nanomaterials, inorganic nanoparticles have attracted a great... |
|
|
|
 |
박상민 교수 본 연구실은 복잡한 생체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환의 병리기전 및 약물의 작용기작을 밝히고자 합니다. 오믹스 빅데이터 분석, 네트워크 모델링, 바이오 시뮬레이션을 통해 내성 기작 규명, 바이오마커 개발, 최적 치료... |
|
|
|
 |
도정태 교수 저희 줄기세포발생학연구실은 만능줄기세포 형성 기술을 이용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s)을 이용한 질병연구, 줄기세포의 분화능 연구를 통한 신경세포세포 또는 미니 뇌조직(뇌오가노이드, brain organoids) 형성 및 응용 연구, 배아 발생... |
|
|
|
|
|
 |
|
BioWave는 매월 BRIC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 BRIC회원들에게 메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메일링 서비스 신청은 회원정보수정에서 BRIC 뉴스레터 수신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