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리 진화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차이(variation)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같은 종 내에서도 개체 또는 유전형에 따라 행동을 비롯한 여러 형질은 다르게 나타나며, 그 차이의 정도는 형질의 진화에 영향을 줍니다. 우리 연구실은 소금쟁이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메추리장구애비 등 작은 곤충을 연구 대상으로 이용하여, 개체 간 행동 차이를 의미하는 동물의 성격 행동이 생태적 조건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진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행동의 진화, 암컷과 수컷 간의 진화적 갈등도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우리 연구실은 양적유전학(quantitative genetics)에서 사용되는 통계법을 행동생태학에 적용시키는 분석법을 이용하며 실험실과 야외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
 |
자연계는 완전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변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어떻게 안정하게 유지되고 있을까? 생물학적 다양성과 생태적 안정 및 이들에 대한 진화적 역사성을 어떻게 설명해 갈 수 있을까? 이러한 생물학적 원리들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이용되고 응용 가능할 것인가? 저희는 이러한 의문들을 풀어내기 위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고자 합니다. |
|
 |
나노바이오시스템 연구실에서는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 및 약리독성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병변표적화치료, 면역항암치료 (암백신), 광치료 등 다양한 나노의약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
 |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의 결과를 즉석에서 알 수 있다면? 진단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면? 저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꿀수 있는 획기적인 항체를 개발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
 |
Zerotox Laboratory is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Konkuk University. Our research includes aquatic toxicity, soil toxicity,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We aim to protect human and ecosystem health through our research.
We are doing happy research ! |
|
 |
아주대학교 선천면역 연구실(지도교수: 최상돈 교수)은 DAMP(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와 PAMP(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에 의해 조절되는 innate immune system(선천면역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고 있음. TLR(Toll-like receptor), NLRP3(NOD-like receptor pyrin domain-containing protein 3)뿐만 아니라, TNFα, IL1β, IL6, IL23, IL8, IL17 등의 다양한 cytokine과 receptor간 상호작용 및 신호전달에 대해 연구하며, 이를 활용해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질환 제어 약물 개발에 매진하고 있음. 타겟질환으로는 건선, 전신홍반루푸스, 알츠하이머병, 류마티스관절염, 비알콜성지방간염, 크론병, 제2당뇨, 다발성경화증 등이 있음.
|
|
 |
The research goal of this laboratory is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diseases such as chronic kidney disease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various genomic big data. Using large-scale data,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bio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 genes for complex diseases through approaches such as precision medicine. However, since all organs are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ells, and complicated changes are involved in the disease process, it is essential to approach this at a single-cell level. For this purpose, we are using single-cell analysis, our lab’s core technology, to overcome existing limitations and research various disease models. We plan to research and validate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of genetic targets identified from single-cell analysis through animal model research and other methods such as epigenetic modification. |
|
 |
핵 수용체 (steroid/mon-steroid hormone nuclear receptor)는 핵 내에서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인자로서 스테로이드, 비타민, 지방산등을 리간드로 하며, 다양한 인체 생리현상을주도하고 인체 질환과의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핵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포켓을 통하여저분자 화합물과 결합하기 때문에 신의약을 개발하는데 주요한 분자 표지자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스테로이드 핵 수용체의 활성화의 조절 기전을 밝히고 이들 전사 인자가 관여하는 인체 질환의 병리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의약 타겟으로 발굴하고, 관련 핵 수용체 전사복합체의 규명, 하류 유전자의 발굴, 세포내 유전자 네트워크 및 단백질 경로 추적 등을 통하여 의약 타겟으로 개발하고 또한 이를 조절할 수 있는반응-특이 전사 조절 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 |
|
 |
본 연구실은 바이오오믹스 및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의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분자유전체역학연구 또는 바이오헬스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구집단의 유전체, 후성유전체, 단백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자유전체역학 연구방법론 및 통계, 인공지능, 생물정보분석 등을 활용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질병의 발생, 치료, 예후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합니다. 이렇게 발굴된 바이오마커는 질병의 진행기전을 설명하며, 질병예측모델을 통해 정밀의료에 기여하거나 또는 신약의 표적 후보물질을 탐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
Jayil’s lab is seeking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DNA metabolism using a novel single-molecular image technique, DNA curtain, as well as diverse bio-physicochemical methods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