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전기영동 사진 분석  |
|
|
안녕하세요 이제 막 랩실에 들어와서 연구실 생활을 하고있는 학부생입니다!
DNA purification 후 얻은 dna로 전기영동을 진행하던 중 질문이 있어서 사진과 함께 질문 드립니다!
Q1. 주황색 박스 안에 있는 밴드는 왜 휘어져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전기영동 진행 중 책상에 큰 충격은 없었습니다.
Q2. 파란 작스 안에 있는 밴드들은 대체로 밑부분이 옴폭 들어가있는데 이같은 개형은 왜 발생되는지 궁금합니다.
Q3. 자주색 박스와 초록색 박스안에 밴드가 끝부분에서 두개씩 있는걸 볼 수 있는데 자주색 박스의 반 갈라짐과 초록색 박스의 반 갈라짐이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밴드가 끝부분에서 반으로 갈라지는 이유와 갈라지는 모양이 조금씩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이론이 조금 미숙하여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알려주신다면 열심히 참고하여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혹 전기영동과 관련된 추천 서적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생명사냥꾼 | 01.30 |
|
Q. |
특정 Colony만 plasmid yield가 낮게 나올 수도 있나요? |
|
|
안녕하세요. DH5-alpha cell에 FLAG vector를 넣어 transformation 시킨 후,
배지에 키워 콜로니가 생겼고 거기서 약 5개정도의 colonly를 따서
각각 50ml tube에 10ml LB + Ampicillin을 넣고 overnight하였습니다.
이후 가장 잘 자란 놈만 골라서 glycerol stock을 만들고 그 놈을
다시 LB culture 하여 miniprep을 하였는데 DNA 농도가 50ng/ul밖에
되질 않네요... PLKO 등의 벡터를 예전에 뽑았을 땐 200ng/ul정도는 나와줬는데...
특정 Colony만 plasmid yield가 낮게 나올 수도 있는 걸까요
아니면 해당 벡터가 원래 수율이 낮은걸까요..?
|
|
대학원생1122 | 01.30 |
|
Q. |
갑각류 DNA추출 시 깨짐 도와주세요~ |
|
|
다른 DNA는 잘들 뽑히는데 유독 갑각류에서만 DNA가 깨져서 스미어하게 나옵니다 ㅠㅠ.. 다른 sample들보다 PCR도 잘 안되고 NGS시에도 contig가 짧습니다.
혹시 DNA 추출에 내공이 있으신 분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 해양 갑각류에서
속살로 하면 기생충이 나오고, 껍질로 하면 뿌옇게 섞이지 않은 탄산칼슘(으로 추정되는)이 나오더라구요. 농도나 순도도 정확히 않은것같아 찝찝하고요..
뭐라도 좋으니 아무 조언이라도 부탁드립니다..
|
|
아라온 | 01.16 |
|
Q. |
gel extraction 질문드립니다 |
|
|
gel extraction을 진행할때 UV에 비춰보면 제가 원하는 size에서의 band와 밑에 훨씬 더 두꺼운 band가 뜨는데요.
원하는 사이즈의 band를 자르는건가요? 밑에 로딩되어 내려온 두꺼운 사이즈의 band를 자르는 건가요? |
|
분자생물학도 | 01.07 |
|
Q. |
lentivirus용 package plasmid의 전기영동 |
|
|
안녕하세요,
우선 즐겁고 행복한 연말연시 보내시길 바랍니다.
다름이 아니라 lentivirus를 위한 package plasmid도 electrophoresis를 할 수 있는지 여쭤보고자 질문 드립니다!
size만 알면 할 수 있는지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
|
Tngzz | 2022.12.31 |
|
Q. |
Avastin 몰수 구하는 방법 |
|
|
Avastin 분자량 : 149,196.82g/mol
몰수 (n) = 질량 (w) / 몰질량 (g/mol)인데요...
1mol에 149,196.82g 이 있다는 거잖아요?
그럼 제가 이걸 5mg/kg으로 투여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계산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medi92 | 2022.12.30 |
|
Q. |
몰수 구하는 방법 |
|
|
몰수 구하는 공식을 공부하는 중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분자량 = 몰질량 = 화학식량 = 원자랑이며,
몰수 (n) = w (질량) / M (몰질량)
Avastin 몰질량 (=분자량) : 149,196.82 g/mol
식에 대입하면,
Avastin 투여량 : 5mg/kg 이러한 정보로 Avastin 몰수 (n)을 구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
medi92 | 2022.12.30 |
|
Q. |
DNA purification 농도.. |
|
|
안녕하세요, dna purification실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qiagen dna purification kit 사용해서 dna purification을 했습니다.
(elution시 모든 샘플에서 동일하게 50ul of EB 사용했고요)
nanodrop을 사용해서 0.001 wt% dna solution의 concentration을 측정했습니다.
concentration측정시 base는 purification할때 사용한 elution buffer로 잡았고요,
purification전 dna concentration측정했을 때는 약 12ng/ul (1.67 260/280),
purification 후 dna concentration은 약 21ng/ul(1.72 260/280)가 나왔습니다..;
이런 결과가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적으로 나왔는데요..
위의 결과 외에도,
concentration of 0.01 wt% dna solution:
purification 전: 102.7ng/ul (1.81 260/280), purification 후: 107.5ng.ul (1.90 260/280)
와 같은 결과가 나와서 당황스럽네요.
nanodrop이 고장났나(?) 싶어서 qubit으로도 재확인해보았는데요,
qubit으로 측정시 purification 후의 0.001 wt% dna concentration은 20ng/ul (1.81 260/280), 0.01 wt% dna concentration은 95ng/ul (1.90 260/280)으로,
각각 purification 전의 농도(12ng/ul (1.67 260/280), 102.7ng/ul (1.81 260/280))보다 여전히 높거나, 약간 낮은 수준입니다.
이전에 purification 실험을 진행했을 때는 purification전의 농도가 purified solution보다 제법 높았던 것 같은데..
혹시 실험과정에서 제가 어떤 실수를 한 건지, 혹은 다른 이유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두서없이 긴 질문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기라델리 | 2022.12.26 |
|
Q. |
시약 구매 |
|
|
실험을 좀 해보고싶은것들이 생겨서 시약좀 알아보는데 개인이 구매를 못하는 겁니까?
|
|
래핀 | 2022.12.25 |
|
Q. |
전기영동 시 DNA band, RNA band가 1개, 2개인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초짜 연구원입니다.
DNA, RNA 추출해서 잘되었는지 확인하는과정으로 전기영동할때,
1개, 2개의 밴드가 나와야 잘된거다 라는 부분은 이해하였고
전기영동 시 DNA가 total DNA 느낌이라 1개 band
RNA는 18S, 28S 해서 2개, 5S까지 해서 3개의 band가 보통 정상이다라는 부분은 이해하였으나
왜 DNA 추출되는 길이가 다르고 할텐데 1개의 밴드로 보이는지
18S, 28S RNA가 추출된 길이가 여러가지 일텐데 어떻게 딱 2개의 밴드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추출할때는 온전한 길이의 18S, 28S RNA가 많아서 각각 1개의 밴드를 형성하는 건지
어떻게 찾아보거나 이해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흰털누누 | 2022.12.22 |
|
Q. |
cDNA 농도가 너무 낮아서 RNA로 transcription 하기 위한 mixture |
|
|
cDNA을 추출해서 350ul을 확보 했는데요
농도를 쟤니까 37.8ug/ml이 나오더라구요
만들어야할 mixture의 농도는 1ug으로 RNA을 만들려고 하는데요
1ug = 1000ng
1000/37.8 = 26.45ul인데 mixture kit에서 total volume이 20ul 이거든요...
kit에 있는 각각의 조성도 양이 적어서
어떻게 하는게 나을까요?....ㅠㅠ
|
|
medi92 | 2022.12.07 |
|
Q. |
DNeasy Plant Mini kit 관련 |
|
|
안녕하십니까. 신참 대학원생입니다. 능숙하지 않다보니 실수가 많은것 같습니다. 때문에 간혹 DNA 농도가 낮거나 ratio가 엉망징창인 경우가 있어 Nano Drop 측량이 항상 무섭습니다...
우선 세가지 궁금한점이 있어요.
- 점액질이 많아 lysis버퍼를 넣고 샘플이 뭉치는 경우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잘 풀리게 voltexing, tapping을 해도 될까요? 그 후에 RNase를 넣어도 될까요?
- 프로토콜에는 없지만 마지막 단계에서 AE buffer를 넣기 전에 한번 건조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 프로토콜 상에는 AE buffer 를 100ml 첨가하라고 되어있는데 50ml를 첨가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잘뽑고싶어요 | 2022.12.06 |
|
|
Q. |
Real time PCR 기초 질문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Real time PCR을 막 배우게 된 초보 연구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housekeeping gene은 모든 세포에서 일정하게 발현되는
유전자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실험에 사용한 gene이 actin-B이거든요.
근데 Ct 값이 28 부근에서 떠서요.
원래는 어느 Ct 값에서 뜨는게 정상인지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
|
medi92 | 2022.12.02 |
|
Q. |
전기영동 gDNA |
|
|
구강상피세포를 kit로 추출해
1.2% agarose gel에 135v 20분
Dna농도를 뒤로 갈수록 많아지도록 내렸습니다.
로딩샘플을 만들면서도 확인하고 겔에 넣기 전에도 다시 확인하면서 로딩했는데 3번이나 결과가 이상합니다.
Ratio 값이 1.9인 것과 1.8인 차이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요?
5번째보다 6번째 well에 더 많은 양의 gDNA를 넣었는데 왜 5번째가 더 밝게 보일까요…
|
|
631 | 2022.11.21 |
|
Q. |
TE buffer / elution buffer 차이 |
|
|
TE buffer가 salt가 더 낮으면서 EDTA가 들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 둘의 큰 차이가 어떤건지 알수있을까요?
protocol에서 elution 또는 1xTE 보퍼를 넣으라고 하셔서요 |
|
학헉학도생 | 2022.11.10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