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크로젠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Immunology > Antibody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Western Blotting 과정 중, 다른 Band 까지 검출 시 해결방안
안녕하세요. 항상 답변달아주시는 선배님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Western 결과가 다른 모든 Band까지 전부 염색된 결과로 나옵니다.   Background는 깨끗하고 마치 잘된 SDS-Page 결과랑 똑같이 나옵니다.   문제점으로 꼽은 것으로는 1. 1차항체의 농도가 높았거나 2. 1차항체의 Wash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이하 과정입니다.   1. Blocking buffer 50ml, 실온에서 1시간 incubation - TTBS 25ml 10분간 Wash 1회   2. Primary antibody 10ml, 실온에서 2시간 incubation - TTBS 25ml 5분간 Wash, 2회 반복 3. Secondary antibody 10ml, 실온에서 2시간 incubation - TTBS 25ml 5분간 Wash 2회 반복   3. Detection with color development reagent (염색)    
회원작성글 딱풀  |  03.08
Q. 농도계산(inhibitor, recombinant protein etc 모든 것)
안녕하세요, 제가 농도계산이 약해서 제 계산식을 선배님들께 검토받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검토 부탁드리겠습니다. 1. 제가 구매한 recombinant protein 2ug(동결건조, powder) 2. solvent: D.W 3. 목표로하는 농도: 2ng/ml 4. 최종적으론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2ng/ml의 농도로 recombinant protein을 처리하고 싶음.   [계산식] 1. 2ug stock powder에 100ul D.W 넣고 녹임 -> 2ug/100ul stock이 됨. 2. 1번의 stock은 단위 변환과정 하면 20ng/ul 임. 3. 2번의 stock을 10배 희석해줌 -> 2ng/ul 를 만들어줌. 4. 목표로 하는 농도가 2ng/ml인데 단위 변환과정을 하면 2pg/ul 임. 5. 3번의 stock에서 2ul를 따서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넣을 것임.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2ng/ml의 농도로 처리가 되는게 맞을까요?   검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goss  |  02.22
Q. WB 항체 제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WB을 통해서 특정 protein의 발현을 확인하려고 실험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시판중인 WB용 antibody를 이용해서 WB을 진행하니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antibody를 제작해서 진행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기존 논문들에서는 이 protein을 WB으로 발현확인하는 경우가 거의 없더라구요)   이와 관련해서 검색을 좀 해보니, 잘된다는 분들도 있고, 안된다고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몽유병  |  01.31
Q.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논문을 보니 그런 것 같네요.   CD3 agonist 로 activate 한 PBMC T cell이 cancer cell line non-specifically 하게 kill 했다고 하네요.    연구에 써 보신 분들 정말 그랬나요?   그냥 constitutively active 라서 가까이 있는 세포 죽이는 것인가 싶네요.  
회원작성글 bluebird  |  2022.12.24
Q. GAPDH (14C10) 14C10이 무슨 뜻인가요?
안티바디 저 뒤에,14C10이 무슨 의미인가요??? GAPDH (14C10) Recombinant (14C10)
회원작성글 clickclick  |  2022.12.19
Q. 기초적인 1st 안티바디 농도 관련 질문입니다.
기초적인 실험 질문입니다   1st anti-body를 1:1000의 비율로 제작하여 쓰려고 합니다   그 항체의 농도가 200ug/ml 이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제작 하려고하는 총 볼륨이 10ml 이라면  항체를 얼만큼 넣어서 사용해야하나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너무 헷갈리네요   
회원작성글 sintaro  |  2022.12.07
Q. phospho antibody 관련 질문드립니다
항체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만약에 ERK1/2 안티바디라면   p-ERK1/2와 ERK1/2 모두가 detection 되는건가요??   아니면 인산화 되지않은 ERK1/2만 확인되는건가요?
회원작성글 깍뚝이  |  2022.11.17
Q. western blot caspase-3 관련 질문
웨린이가 웨스턴 고수님들께 여쭙고자 고민 끝에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Caspase-3 가 아주 잘 나오더라도 cleaved caspase-3 가 안나오는 경우가 있을까요?? Cell signaling 의 caspase-3 #9662 를 사용하여 cleaved form 과 동시에 확인하려고 하는데, proform 은 아주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반면 cleaved size는 아주아주 깨-끗 하게 나오는 상황입니다.. lysate 양도 늘려보고 1'Ab binding time 도 늘려보았는데 잘 안나오네요.. 1'Ab 비율을 늘려보는 시도는 아직 해보지 않았지만 아주 깨끗하게 cleaved band 자체가 뜨지 않는 상황이라 의미가 있을 지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웨린이를 도와주세요 고수님들
회원작성글 대하권생  |  2022.10.31
Q. 의문점 해결
생명과학 1 문제 변형인데요, 아래 문제의 정답은 (2)번, ㄷ이라고 합니다만 혹시 ㄴ도 포함되지 않나요? 생명 알 못입니다. 알려 주세요 -.,-;;  (문제) 다음은 항원 A와 B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A와 B에 노출된 적이 없는 생쥐 ㉠~㉤을 준비한다. (나) ㉠에게 A를 주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에게서 혈청과 A에 대한 기억 세포를 분 분리한다. ㉡에게 B를 주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에게서 혈청과 B에 대한 기억 세포를 분리한다. (다) ㉢에게 ㉠에서 분리한 혈청 X를, ㉣에게 ㉡에서 분리한 혈청 Y를, ㉤에게 Z를 각각 주사한다. Z는 A 또는 B에 대한 기억 세포 중 하나이다. (라)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의 ㉢~㉤에게 A와 B를 동시에 주사한다.   [실험 결과] 그림은 ㉢~㉤에서 측정한 항체 P의 혈중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는 A에 대한 항체와 B에 대한 항체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은 동일하며, 면역 반응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  <보기> ㄱ. 구간 I은 A에 대한 항체의 농도 변화량이다. ㄴ. 구간 II와 III에서 모두 비특이적 방어작용이 일어났다. ㄷ. 구간 IV에서 B에 대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났다. ⓵ ㄱ                ⓶ ㄷ                       ⓷ ㄱ, ㄷ ⓸ ㄴ, ㄷ           ⓹ ㄱ, ㄴ, ㄷ      
회원작성글 uyunamu  |  2022.10.26
Q. BCR, TCR 활성화 조건 질문이요
우리몸에 항원이 들어오면 내재면역세포(대식세포, NK세포 등)가 먼저 반응한 후에, 그 다음 방어선으로 적응면역세포가 출동한다고 알고있는데 그럼 BCR, TCR은 내재면역세포가 반응하기전까진 눈앞에 항원이 있어도 먼저 활성화하지않나요? 위 말대로라면 맞지않나요?
회원작성글 nm  |  2022.10.11
Q. 면역학 BCR, TCR 질문이요 ㅜㅜ
항원이 들어오면 1차적으로 내재면역세포가 반응한후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뚫리거나 버거울경우 B cell과 T cell의 도움을 받는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B cell과 T cell은 체액을 항시 돌아다니는데, 내재면역세포가 버거움을 느끼지못하면(내재면역세포로 항원을 충분히 막아낼수있다면) BCR과 TCR은 항원을 인식하지 않고 그냥 가만히 있게되나요?
회원작성글 nm  |  2022.10.11
Q. clodronate liposome, anti-asialo GM1
안녕하세요. 논문을 읽던 중 Clodronate liposome은 macrophage depletion에 사용되어지며 특히 NOD/SCID에서의 반복 투여는 독성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clodronate liposome의 depletion 기전과 왜 nod/scid에서는 독성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anti-asialo GM1은 NK depletion에 사용되었는데 기전이 궁금합니다. 찾아보려해도 명확히 나와있질 않아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회원작성글 ㄹㄴㅇㄴㅇ  |  2022.10.07
Q. FACS antibody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CXCR4 expression 을 확인하기 위해 FACS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target cell line 은 mouse cell line 이고  1차 ab는 CXCR4 Polyclonal Antibody host:Rabbit / isotype: IgG  human,mouse,rat  2차 ab는 F(ab')2-Goat anti-Mouse IgG (H+L) Secondary Antibody, PE, eBioscience™    이렇게 사용하면 되나요?   negative ctrl 은 2차 ab만 붙이면 될까요?
회원작성글 민토링  |  2022.09.26
Q. antibody 용량 표기 중 test 의미
여러 antibody를 구매하다 보니 제품의 용량을 표기할 때 대부분의 경우 ug 등 질량 단위로 판매 하는 것 같은데 가끔 tests라는 단위로 판매한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혹시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HzAm  |  2022.08.30
Q. LLNA 투여 부위
LLNA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시험원리는 여러가지로 공부하게되어 많이 알게 되었는데, 투여부위가 왜 귀에 투여하는지 궁금합니다. 림프구야 몸에 다른곳에도 있으며, 다른부위에 해도 상관없다고 판단되는데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아이고코야  |  2022.08.22
Q. Luciferase를 FACS로 확인
Luciferase를 FACS로 확인 해보신분 있으실까요 ? 
회원작성글 실험이궁금해요  |  2022.08.17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단백질 induction 시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8]
적혈구 vs 구강상피세포 [2]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4]
pcr 조건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만 봐주세요.. [6]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3]
HPLC 관련 질문 드립니다. [8]
gel %가 안 맞습니다...ㅠ, running gel 만들 때 가끔씩... [2]
분석 시료 전처리 [3]
Cell culture 문의 드립니다.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꽃개구리bio

개구리실험조아

알Viiiiiii

대왕개구리SPEED

알연람

알미니이리

개구리Eigen

개구리cslee

대왕개구리강시

개구리Lucid

개구리propadrum

개구리Daegu*

개구리ryan

개구리냥냥아빠

꽃개구리느림보

꽃개구리Kozmoj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