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p-value 수치 0.06 의미 |
|
|
진행하고 있는 실험의 샘플간의 p값이 0.06 (R-프로그램으로 진행)이라면
'결과치가 통계적 유의성이 없다'라고 봐야하겠죠?
아니면 '통계적 유의성에 근접하는 수치'라고 생각해서 paper에 그렇게
작성해도 되는걸까요?
혹시, p값이 0.05가 나오면 어떻게 해석을 해야하는건가요?
대부분 "p<0.05 " p값이 0.05보다 작게 나와야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
라고 생각하잖아요. 그렇다면 p값이 정확하게 0.05가 나온다면 어떻게 해석
을 해야하나요? 아직 초보인지라 선배님들의 지식을 얻고 싶습니다.
요즘, 통계가 너무 어렵네요. 실험결과를 얻어도 해석하기가 어려워서...
통계학 강의를 들어야 하는지...
|
|
happydream | 2022.12.17 |
|
Q. |
코로나 바이러스로 직접 실험 하시는 분들 BSL 몇인가요? |
|
|
COVID 19 실험하려면 어느 정도 BSL 요구되는지 궁금합니다
BSL3 이라고들 하는데 읽어보면 BSL2+ 만 갖추면 된다고 해서요.
BSL2+면 BSL2 에 실험실 프로토콜만 더 엄격하게 바꾸면 할 수 있나요?
|
|
bluebird | 2022.12.13 |
|
Q. |
선생님들 C6/36 cell line 구해봅니다 ㅠㅠ |
|
|
안녕하세요. 과제 수행중에 Dengue virus culture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C6/36 mosquito cell line이 필요한데, 수입하려니 기간이 답도 없네요 ㅠㅠ... 조금 급하게 culture를 해야하는 상황이라 혹시 stock 분양 좀 해주실 선생님 계실까요? ㅠㅠㅠㅠㅠ 살려주세요
|
|
??????? | 2022.12.12 |
|
Q. |
plaque assay 질문 |
|
|
안녕하세요.
virus plaque assay를 진행했는데, 위의 사진(좌: 대조군, 우:실험군, 같은 희석 배율)처럼 나왔어요.
실험 잘 된건가요?
정확한 plaque 모양이 아닌거 같아서요.
0.3% agar로 overlay해서, 3일 후에 fixation 하고, 0.5% crystal violet으로 염색했거든요.
처음 실험이여서 이론으로만 공부를 했어요.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
|
girlrich3 | 2022.12.01 |
|
Q. |
PFU 측정 double layer agar 방법에서 top agar 상태가 이상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이제 갓 바이러스를 시작한 연구자입니다. 박테리오파지 MS2를 이용하는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연습삼아 titer 측정을 하고 있는데 처음 titer 측정법을 배우며 실험했을때는 soft agar가 매끄럽게 굳고 plaque 형성도 잘 되었는데,
몇 주 후에 다시 배운 방법 그대로 연습을 시작하니 첨부한 사진처럼 soft agar 층이 매끄럽게 형성되지도 않고, control에서 plaque가 형성되지도 않고 soft agar 자체가 오돌토돌하거나 덩어리진 느낌이 있습니다. 처음엔 실수가 있었겠지 하고 다시 해봤는데 두 번째에도 이러니 답답하네요..
저희 랩에서는 LB (2.5g/100mL) + agar (1.3g/100mL)로 soft agar를 만들고 시험관에 나눠 50도 워터배스에 보관하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처음 배울때보다 몇 주가 지난 상태라 실내 온도가 많이 떨어져 있어 soft agar를 나눠 시험관에 분주할때나 워터배스에서 꺼낼 때 금방 식어버려 눈에는 멀쩡해보이지만 꺼내는 순간 이미 응고가 진행되고 있어 뭉치는건가 싶은데.. 제생각일 뿐이고ㅠㅠ
경험많으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혹시 soft agar가 엉성하게 굳어도 plaque는 잘 생기나요..? 그렇다면 파지와 호스트 cell의 상태도 확인해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Eer | 2022.11.16 |
|
Q. |
bacteriophage plaque assay에서.. |
|
|
top agar로 tryptone soft agar를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water 1L+tryptone 10g+KCl 5ml+agar 9g에서
KCl을 대체할만한게 없을까요?? 아니면 다른 composition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TSA Media를 사용합니다.
|
|
바박이 | 2022.11.11 |
|
Q. |
seaplaque agarose와 비슷한 제품이 있을까요? |
|
|
Plaque assay용으로 Lonza의 seaplaque agarose를 사용합니다.
이 제품을 다시 사려하니 한 달이 걸린데서 다른 제품을 주문하려고
다른 promega제품이나 seakem? 제품도 찾아봤는데
대부분 전기영동이나 다른 실험용이더라구요
그냥 쓸까 싶다가도 Gel strength가 다르니 좀 찝찝하기도 하구요
Lonza거랑 비슷한 low melting 제품 추천 해주실 수 있을까요?
|
|
밈스 | 2022.11.02 |
|
|
Q. |
TCID50, MOI virus titer 측정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virus 감염 실험을 처음 해보게 되었는데요.
ATCC에서 virus를 분양받아서 실험을 하게 되었는데 protocol에는 0.01MOI로 계산해서 감염시키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런데 제공받은 virus titer에는 8.9 x 104 TCID50/mL in 8 days on cells at 37°C with 5% CO2. 이렇게 나와있는데요.
그럼 이게 TCID 50 값인 건가요? 이걸 이용해서 MOI를 계산할 수 있을까요?
MOI는 탁도니까, 탁도계를 이용해서 0.01 맞춘 다음에 감염시키면 된다고 하시는데 그게 맞는건가요?
|
|
0315 | 2022.08.30 |
|
Q. |
Virus plaque assay agarose 제거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low melting agarose를 이용한 virus plaque assay를 진행했는데요. CMC media를 사용하면 media를 흡입하여 제거하면 끝이지만 agarose는 물리적 충격을 주어서 떨어뜨려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실제로 진행하니 잘 안되더라구요. formaldehyde로 fixing 한 후에 2hr을 두고, 제거하려다보니 잘 안되어서 suction기로 끝부분을 살짝 띄워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혹시 잘 떨어뜨리는 노하우를 가지고 계신분 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
그리고 CMC media보다 agarose를 사용했을 때 plaque 형성 기간이 길어지는 것 같은데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
|
rlaeheod | 2022.08.15 |
|
Q. |
plaque assay 진행중 agar 오염 |
|
|
안녕하세요.
Influenza, herpes 등..여러 바이러스로 plaque assay를 진행중입니다.
마지막 단계에서 agar overlay후에 배양하고 며칠 지나면 agar에 세균이 자랍니다ㅜㅜㅜㅜㅜ
agar는 당연히 오토클레이브 돌렸구요...
agar랑 같이 섞어주는 배지는 필터링 하였습니다.
고정하고 염색해보아도 agar에 난 오염으로 cell이 죽는건지.... plaque는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ㅡㅜㅜㅜㅜㅜㅜㅜ
혹시 오염나지않게 AA를 첨가했는데 농도를 더 올리면 될런지요..
|
|
꼬리빗 | 2022.08.11 |
|
Q. |
Gel running 시 밴드 휨  |
|
|
이런 식으로 gel running을 할 때 계속해서 휨 현상이 관찰됩니다..
제가 할 때만 그래서 기계 잘못은 아닌 것 같고, 다른 분께서 만들어주신 gel을 이용해도 휨 현상이 발생해서 gel 만드는 법이 잘못되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
|
학부연구생 | 2022.07.09 |
|
Q. |
감염력 낮은 바이러스 키우고있는데,, |
|
|
제 바이러스가 cell에서 역가는 4.0*104TCID50정도이고 qPCR상의 역가는 4.0*108copies/ml 일 정도로 copy값은 높지만 감염력이 낮아요,,
host에 감염됐을 경우에 폐사율은 높긴한데
이렇게 감염력이 낮은 바이러스의 경우 선생님들께서는 어떤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여??
감염된 세포 gene발현?이나 그런것들..?
ㅠㅠ..
|
|
파란바나나 | 2022.07.04 |
|
Q. |
MOI 계산할 때 total cell기준으로 계산하는건가요? |
|
|
안녕하세요. 바이러스를 처음 접하게 된 학생입니다.
MOI 계산이 생소하여 질문드립니다.
cell count했을 때 2.25*10^6cells/ml이 나왔습니다.
5MOI로 계산하면 11.25*10^6 virus/ml이 나오는데,
virus stock이 2*10^9 virus/ml이므로 11.25*10^6 virus/ml로 만들어주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177.77배가 희석해주면 되는것이니까 총 20ml에 0.112ml=112ul를 넣어주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45ul가 정답이었습니다.
total cell 기준으로 생각해야하는건가요?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
slide | 2022.06.16 |
|
|
Q. |
protein 발현 위한 AcMNPV biosafety level 관련하여 |
|
|
안녕하세요 protein 합성을 위한 여러 모델 중 sf9 등 insect cell과 이를 감염시키는 recombinant AcMNPV baculovirus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다른 baculovirus들의 연구는 biosafety level 2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AcMNPV는 biosafety level 1에서도 연구가 가능하다고 하는 보고가 있습니다.
혹시 이 시스템으로 단백질을 추출해 보신 분(혹은 가까이서 보신 분)이 계시다면 AcMNPV를 이용한 단백질 합성이 biosafety level 1에서도 가능한지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
물찌 | 2022.06.0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