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비던트코리아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Gordon Research Conference: Neuroimmunology in Organismic Function: Shared Mechanisms and Reciprocal Interaction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Microbiology > Lichen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평판도말법시 배지를 긁어서 미생물이 안나오는 경우
미생물학 실험인데 도말봉으로 배지를 긁어서 배지가 긁힌 가루?가 많이 묻은채로 인큐베이터에 넣었는데 결과가 미생물이 나오지 않았거든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싶어요   그리고 같은 균을 도말했는데 하나는 나오고 또 하나는 안나왔는데 그 이유도 궁금해요 
회원작성글 똥짬이  |  2022.04.09
Q. 병원성미생물 PCR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지금 병원성미생물 분석은 식품공전에 맞춰서 하고있었습니다. 확인시험은 Api키트로 하고있었구요. 근데 결과값이 너무 주관적이고 판정이 애매해서 업체에서 요구한게 PCR법이 더 정확하다고 해서 해보려고합니다. 근데 PCR법 논문을 찾으려고 하니까 찾을수가없어서 질문남깁니다.   리얼타임 PCR은 아니고, 장출혈성대장균만 쓰던 기존의 PCR입니다     병원성미생물 중 1) 황색포도상구균, 2)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3) 살모넬라spp, 4)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5) 바실러스세레우스, 6) 비브리오파라헤몰리티쿠스   위 6가지 병원성미생물만 PCR법을 알고싶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미생물분석실22  |  2019.07.05
Q. 안녕하세요. YPD Broth 제조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YPD Broth를 제조를 하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완제품으로 나온 것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실험실에 있는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를 이용하여 배지를 제조하였습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dextrose와 yeast extract, peptone은 아미노-카보닐 반응에 의하여 배지의 탄소원과 질소원 성분이 변하여 배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따로 제조 후 autoclave처리를 하라고 조언하셨습니다. 그러면 시판되는 YPD 배지는 어떻게 Auto clave 처리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chill  |  2019.04.17
Q. 심장사상충
안녕하세요ㅠㅠ 심장사상충을 연구하려는 한 학생입니다.심장사상충의 천연항생제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그런데, 심장사상충에 걸린 개의 혈액은 구했으나, 이것이 굳거나 심장사상충이 죽어 연구를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될까봐 걱정이 됩니다.(더군다나 감염된 개의 혈액은 찾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1. 심장사상충이 최대한 오랫동안 살아있을 수 있도록 혈액을 보관하는 방법은 ?   (심장사상충이 살 수 있는 조건이라던지, 그런거라도..ㅠ)2. 만약 혈액 보관이 안된다면, 공급받은 혈액에서 심장사상충이 최대한 버틸 수 있는 기간은?3. 심장사상충이 잘 살아있는 환경은?4. 심장사상충 안 월바키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월바키아는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지 궁금합니다.5. 심장사상충을 없애려는 항생제 연구를 하려는데 실험을 어떻게 진행해야되는지 혹시 아신다면 제발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서울대수의학과21학..  |  2018.08.23
Q. Micro Algae(녹조류 예를들어 클로렐라..) 배양법 질문
일반 균주 E.coli나 C.thermocellum, 효모 등은 플라스크 배양 경험이 있습니다.우연치않은 계기로 클로렐라와 같은 녹조류들을 키워야하는데,주변에 조언받을 분도 안계셔서 여쭤봅니다 ㅠ일단 예비 실험으로 일반 균주 키울때 사용하던 shaking incuvator에 광원만 달아서 사용할 생각인데 그렇게해도 괜찮을까요?보통 씨오투 주입은 어떻게들 하시는지..(플라스크 배양에서 ㅠ)궁금합니다. 조언을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미생물  |  2014.11.20
Q. 초기균수 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ㅠ
이번에 식품중에 균을 주입하여 실험을 하려는데요 교수님께서 스파이크 실험? 이라고 초기균수를 알고 그 양을 주입하여 식품중에 그 균수가 측정이 되는지 대략 그런 내용의 실험을 하라고 하시는데초기 균수를 구하는 방법이 생균수를 측정하여 알수있는지요 ㅠㅠ 여러군데 알아보곤 있는데 너무 헷갈리네요!! ㅠ 
미생물  |  2014.10.06
Q. 미생물 생장곡선 할때 질문합니다,ㅠ
흡광도 찍으면서 생균수도 측정할껀데 페트리 디쉬에 시간마다 균 접종해서 인큐베이터에 배양할 생각인데저는 매시간마다 균이 자라는걸 확인하려고 했는데 매시간마다 균을 접종해서 배양한뒤에 확인하라더군요 그럼 시간도 오래걸리고 배지 양도 많이 필요할것 같은데 이게 맞는 방법인가요???
ㅠㅠ  |  2014.09.17
Q. 생장곡선 그리려고 하는데..
분광광도계를 이용해서 생장곡선을 이번에 처음 그리게 됬는데 균은 리스테리아 균이고배지는 BHI로 할껀데 문제가 원액 그대로 하면 너무 많이 나와 문제가 된다고10의 8승까지 희석해서 실험하려고 하는데, 희석액도 BHI로 해야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희석양도 얼마로 해야할지 감이 잡히질 않네요 ㅠㅠ 아 그리고 희석을 8승까지 한다면8승의 희석액으로 측정해서 나중에 계산할때 곱하기 하면 되는건가요?? 아니면원액~7승까지 다 측정해야 되나요??   
힛  |  2014.09.16
Q. pcr고수님들 알려주세요ㅜㅠ
안녕하세요몇달째 pcr이 안되서 고생하고있는 학생입니다ㅠㅜ코멘트라도 얻고싶어서 올립니다.저는 바이오제닉아민 즉 histidine decarboxylase gene과 tyrosine decarboxylase gene을검출하고자 pcr을 하고잇습니다.균주는 Bacillus subtilis나 licheniformis, amyloliquefacience 균주들입니다.청국장에서 분리해낸 균주들이죠정색반응을 통해서 histidine decarboxylase과 tyrosine decarboxylase 을 활성이 있다는 것을확인하고 각각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하고있죠논문에서 참조하여 쓰는 primer이며논문에서 나온 조건은 first denaturation 95도 5분denaturation 95도 45초 annealing 48도 45초extention 72도 2분final extention 72도 5분이렇게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했을때 ladder처럼 잡밴드가 엄청나왔으며그래서 annealing온도를 높여보기도하고 primer농도도 20pmol, 2pmol로도 해보고template도 희석도 해서 해보면 극과극입니다. 나올때는 ladder처럼 엄청나오고 안나올때는 하나도안나오고ㅠㅠ          48도                             50도                         52도                                54도 target size는 435bp입니다.잡밴드가 많아서 그냥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그위치에 band가 있긴있는것같습니다.DNA가 손상됐는지 볼라고 전기영동해본결과 절단되거나 그런 현상은 없었구요지금 사진은 annealing온도만 바꾼거 올렸는데primer농도 바꿔서했을때도 저런 양상입니다.그리고 제가 사용하고있는 ladder는 1500bp짜리인데그위에 생기는 저 band들은 뭘까요전에했을때 잡밴드가 많이 나오긴했어도 1500bp이상에는 안생겼었는데ㅠ미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ㅜ어떤 걸 더 설명을 해야할지 몰라서 일단은 이렇게만 올리겠습니다답변에 필요한 설명이 있다면 말해주세요ㅠ감사합니다^^
학생  |  2011.12.27
Q. 지의류 DNA추출에 대해 궁금합니다 첨부파일
지금 지의류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고 있는데 양이 많이 나오지 않아 고민입니다. 액체질소를 이용해 막자사발로 갈아 lysis buffer에 CTAB buffer를 첨가해 뽑고 있는데 양이 많이 나오지 않네요. 많은양이 필요한데 좋은 방법 알고 계신거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회원작성글 궁금한연구생  |  2011.11.24
Q. lichenase assay 질문요
지금 제가 lichenase(Endo-beta-1,3-1,4 glucanase)를 실험 중인데요SIGMA와 MEGAZYME에서 lichenan을 주문해시 기질로 해서 DNS법을 이용하는데control값이 기질을 0.5%일때 흡광도 값이 0.8이상이 나옵니다 혹 그 이유를 아시는분 이나 해결방법을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려요~~!!
회원작성글 BIO  |  2010.04.12
Q. 다당류 정량법에 대해...
Bacillus licheniformis에서 exopolysaccharide를 뽑았다고 생각하는데 확인할 방법이나 정량하는 방법에 대해 모르겠어요... 아시는분..
??  |  2008.01.02
Q. 파라핀백그라운드에대한 질문!!
염색한 파라핀에 배경이 지저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건 어디서 잘못됬는지 정말로 알고싶습니다. 이런적이 없으신가요. 현미경으로 보면 지저분하게 뭐가 이끼같이 껴있는데 이끼는 아니고......점처럼 따닥따닥 거리는데요 파라핀문제는 절대로 아니고;;염색과정에서 있을거라 생각되는데..정말 답답합니다. 가르쳐주시면 정말로 감사드리겠습니다 꾸벅
초보당  |  2007.08.01
Q. 클로닝에 관한질문입니다.
플라스미드를 두개의 다른 엔자임으로 자른후 필요한 부분을 젤 익스트렉션하고 링커를 이용하여 라이게이션을 한후 칼슘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트랜스포메이션을 하는 실험을 하고있는데 결과가 안나옴니다. 매 단계 마다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을 하고있는데 제가 볼때는 라이게이션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라이게이션을 하면 디엔에이끼리의 셀프 라이게이션때문에 여러개의 밴드가 나오는 걸로 알고있는데 그런게 전혀안나오고 원밴드만 나옴니다. 컨트롤로 링커를 넣지 않은 걸 사용하기는하는데 링커의 사이즈가 작기때문에 라이게이션 된것과 아닌것을 구분하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티포 라이게이즈가 이상한걸까요? - 절박함니다....ㅜㅡ
크로닝하수  |  2005.06.22
이전  1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4]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4]
gel %가 안 맞습니다...ㅠ, running gel 만들 때 가끔씩... [4]
랩 초보 대학생입니다 클린벤치 사용 시 오염에 대해 궁금한점 [5]
primer 부착 여부 확인 방법 [2]
Cell culture 문의 드립니다. [3]
어떤 것에 의한 contamination 인지 봐주실 수 있으신가요? [3]
penicillin 넣을 용량 계산문제입니다. [3]
cell culture시, 이거 오염된건가요?ㅠㅠ 키우면 키울수록 의아합... [5]
분석 시료 전처리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실험조아

알시아프로즌

대왕개구리강시

알매드사이언스

개구리새슬

알Y.Y

개구리범수리

꽃개구리착한사람

개구리Lucid

개구리식스센스

개구리ryan

개구리안녕난세포야

대왕개구리엘피스

꽃개구리Jake

꽃개구리bio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