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Plant binary vector system |
|
|
안녕하세요 신입 연구원입니다.
제가 공부를 하다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BRIC에 질문을 올립니다.
Plant Expression system에서 Binary vector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알고있는데,
Binary vector에는 T-DNA가 식물 세포내로 전달되는데 있어 중요한 LB,RB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binary vector에 클로닝 한 다음 식물을 형질전환 하고자할때(물론 중간에 아그로박테리아를 사용하겠죠)
T-DNA가 전달되면, GOI 앞에 있던 박테리아의 promoter 또한 같이 식물세포에 전달되는 것이 아닌가요?
이러한 박테리아 promoter가 식물세포 내로 전달되어도 GOI가 잘 발현되나요?
고수님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합니다.
답변을 위해 시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pasg1345 | 01.08 |
|
Q. |
학부생 논문 이해 도와주세요 |
|
|
학교 과제로 논문을 보다,
" we genetically mapped coi1 in F2 plants from a cross between the coi1-1/ coi1-1 mutant derived from Araidopsis ecotype Columbia and wild type COI1/COI1 plants of ecotype Landsberg erecta."
라는 문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석만 될 뿐, 이해가 정확히 되지 않더라구요.
coi1-1을 자가교배 시켜서 F2 plants를 얻은 coi1과, wild 타입인 COI1을 자가교배 시켜서 얻은 것, 이 두개를 이용해서 coi1을 mapping했다는 것인가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mapping이 뭔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해주실 수 있을까요?
자세하고 꼼꼼하게 설명해주시면 더욱더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관련 논문 추천....이라던지...?!)
보시다 싶이 학부생이라,,,,,
감사합니다.
|
|
미생미생물 | 2022.04.10 |
|
|
Q. |
crispr-cas9으로 target gene을 자른 후 그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고 싶어요 |
|
|
crispr-cas9으로 target gene을 자른 후 그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고 싶어요
cas9벡터로 target 유전자를 자른 후 아그로박테리움을 사용해 식물체에 접종한 후 식물체까지 봤는데요
이제 식물체의 잎을 채취에 RNA를 뽑아 cDNA를 합성 후 qPCR(Real time PCR)로 이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알고 싶습니다.
1) cas9벡터로 타깃유전자의 일부를 잘라냈다면 qPCR 결과를 봤을 때 밴드가 안떠야 하죠?
2) cas9벡터에 ligation 하기 위해 가이드RNA의 프라이머를 짜놓은것이 있는데, qPCR할 때 타깃유전자이 프라이머들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지? 아니면 qPCR을 하기 위해선 프라이머를 새로 짜야하는지 궁금합니다.
3) 만약 새로 짜야 한다면 어떻게 짜는건가요..?
4)qPCR을 이용하여 제가 자른 유전자의 RNA 발현 정도를 보고 싶은데, RNA 발현 정도를 보고싶을 때도 Total RNA 뽑은 후 cDNA를 합성한 후에 qPCR을 해야하는 건가요?
|
|
ㄱㅁ | 2019.11.07 |
|
Q. |
식물체 내 eGFP 발현  |
|
|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식물체내에 eGFP를 발현시키는 실험을 진행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 결과서 eGFP 형광이 보이지가 않아서 실험 설계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일단 사진에서 보시는바와 같이 vector를 제작했구요..(벡터 구조의 문제일까요..?)
이 vector를 A.tumefaciens GV3103에 transformation하고 nicotiana benthamaina에 agroinfiltration하였습니다.
결과 사진은 UV에서 찍은 사진과 light에서 찍은 사진인데 잎에 cell death가 보이는 것 같고 eGFP형광은 발현되지 않았습니다.
접종후 7일후에 찍은 사진이고 접종시 OD600=0.9값에서 접종을 하였습니다.
agroinfiltration protocol상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는데 어느 step에서 개선이 필요할까요??ㅜㅜ
|
|
졸업좀.. | 2019.08.26 |
|
Q. |
담배 GFP 발현 관찰.. |
|
|
안녕하세요
제가 담배에 접종실험 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담배에 GFP 유전자를 발현 시킬수 있는 recombinant Agrobacterium을 클로닝하여 접종을 하였습니다.
저희실험실에서 이런 실험이 첨이라 GFP가 잘 발현됬는지 확인을 해야하는데 지금 형광 현미경이 고장이나서 확인을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식물체 전체나 잎에 나타난 GFP를 볼 수 있는 방법있을까요??
(UV transilluminator같은 장비류를 이용하는 방법과 간단하게 할 수 있는방법등..)
부탁드립니다!!
|
|
졸업좀.. | 2019.08.17 |
|
Q. |
논문 읽는중인데.. |
|
|
RAW세포에 DLE라는 상추에탄올추출물을 넣어 MAPK의 발현과 인산화 반응을 확인하는건데 왜 밴드가 몇줄씩 나오는이유를 모르겠습니다.. JNK경우 단백질밴드는 2줄인데 인산화 밴드는 3줄이고.. 그리고 Lamin은 A/C는 House keeping gene이 아닌가요?.. 미력한 저에게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ㅠㅠ
|
|
공부초보 | 2019.05.12 |
|
|
|
Q. |
에탄올 가열추출법 |
|
|
에탄올을 가열해서 추출하려하는데 하는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제가 벚꽃과 같은 꽃들의 추출물을 제조해서 손바닥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실험을 계획하고 있는데 에탄올추출을 하려하는데 에탄올추출방법을 알수 있을까요? |
|
Cocodak | 2018.04.13 |
|
|
Q. |
SNP 관한 일반 질문입니다. |
|
|
실험 질문이 아니라 죄송합니다.혹시, heterozygous SNP 또는 homozygous SNP 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면 어디서 구하나요?둘 차이를 알기위해 구글 검색을 했는데, 자세하게 나오질 않았네요.얻고자 하는 정보는 heterozygous SNP 가 exon 이나 intron 부분에 나타날때 RNA 또는 protein 양적?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또한, homozygous SNP 였을때는 어쩔지도 궁금합니다.정보가 없네요. 혹시, 책이나 논문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원생 | 2015.12.05 |
|
Q. |
phenolic acid 성분 분석.... |
|
|
phenolic acid 성분 분석을 HPLC로 찍을려고 하는데요....LC 찍기전 까지 전처리 과정 실험법 좀 알려주세요~ 처음하는 실험이고 LC도 처음찍는거라 칼럼도 선택해야하고 좀 복잡하네요,,,,;;; |
|
흰둥이 | 2015.10.20 |
|
Q. |
PEG autoclave 해서 사용해도 괜찮나요? |
|
|
Rice protoplast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40% PEG solution을 만듭니다.조성은 아래와 같습니다.40% (w/v) PEG 3350 (또는 4000)0.6 M Mannitol0.1 M CaCl260도 오븐에서 녹여야 다 녹을 정도로 귀찮은데요,Syringe filter로 걸러내는 것이 일반적인 프로토콜입니다.그런데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중노동입니다...-_-혹시 위 조성 용액을 autoclave해서 사용해도 무방한지요? |
|
유전학도^^v | 2013.03.21 |
|
Q. |
이론적인거 여쭤봅니다. |
|
|
viral vector 와 binary vector와 개념이 무엇인지요..바이너리 벡터는 식물체에 감염시키기 위해 아그로에 형질전환시킨 벡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35s가 식물발현 기능이라는 거 정도...예를 들면 pCAMBIA2300 35s target gene 바이랄 벡터는 잘 모르겠습니다. 요 벡터는 혹시 프로모터가 T7 기능이 되는 건지요.. 그렇담 T7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요건 예를들면 pUC이라던지 아님 티벡터에 들어있는 것을 말하는건가요??타 전공을 배워서 이론적인걸 좀 이해 하기가 힘드네요..좀더 자세한 내용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
soon | 2011.03.08 |
|
|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