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Gordon Research Conference: Neuroimmunology in Organismic Function: Shared Mechanisms and Reciprocal Interaction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Laboratory Animals > Animal Dosing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마우스 경구투여 용매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석사 재학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이번에 마우스 실험을 진행하게 되어 실험 물질을 경구투여하기 위한 용매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도움받고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녹여야 하는 샘플은 메톡시플라본과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의 물질입니다. (두가지 모두 녹일 수 있는 용매) Saline에 녹지 않고 EtOH나 DMSO에 녹고, 논문 참고해보니 Propylene Glycol, DMSO, DW를 혼합하여 만든 용액에 녹여 투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경구투여한 논문들은 약동학 확인을 위한 단일 투여지만, 몇주간 장기 경구투여를 진행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마우스에게 발생할 독성과 영향이 우려됩니다. 마우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녹이기 위해서는 어떤 용매에 용해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석사병아리  |  03.12
Q. 동물실험 약물 농도 계산
안녕하세요 처음 동물실험 진행하는거라 약물 농도 계산법이 헷갈려서 질문 올립니다. 동물한테 10mg/kg로 투여할 예정이고 동물한테 주입하는 약물의 최대 volume은 3ml로 총 rat 3마리에 투여할 예정입니다. saline 20ml에 녹이려면 필요한 약물이 몇 mg일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안뚱스  |  02.17
Q. 인젝션 최종 농도
약물 MW : 4514.1 약물 농도 : 1mM (1mg stock을 220ul에 녹임)  mouse 한 마리당 약물 1mM 농도로 2ul씩 인젝션을 하려고 합니다.  그럼 주입되는 최종 농도(XmM, Xug)이 어떻게 될까요?        
회원작성글 ssh_cell  |  02.17
Q. 긴급!! mouse i.p injection 농도 문의
mouse 에 i.p 로 1mg/kg 주입하려 합니다. 대부분 마우스는 20g 이고 토탈 200ul i.p 하려는데 물질을 녹이는 것은 1% DMSO 입니다.  최대 몇 mg까지 녹일 수 있을까요? (더 녹일 수 있다면 10mg/kg 로 변경하려 합니다. ) 고수님들 도와주세용,,,
회원작성글 eheks753  |  01.30
Q. 추출물의 효능평가가 성분의 효능평가보다 선행되어야 하나요?
A라는 추출물의 효능평가와 기전탐구를 만성 염증 관련 동물모델을 통하여 진행하였습니다. A라는 추출물의 효능평가와 기전탐구에 앞서, A의 추출물과 각 분획의 항산화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부탄올, 헥산 분획, 추출물 순으로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저는 분획의 항산화 효능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이 높으나 각 분획의 효능이 보고되어있지 않고, 면역 강화 효과를 가지는 분획이 있을 수 있으며, 추출물의 항염 효과가 이미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총 추출물의 효능 평가가 선행되는것이 안전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때 궁금해진것이 추출물의 효능평가가 성분의 효능평가보다 선행하는것이 혹시 routine 한것인가 하는 궁금증이였는데요. 선배님들의 좋은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회원작성글 caco2  |  2022.11.30
Q.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평가에서 용량 의존성 반응이 나오지 않을 경우
자가면역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한 후보물질의 효능 평가를 비임상 CRO를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을 포함하여 시험물질 3가지 용량 (3mpk, 10mpk, 30mpk)를 2~3주 1회/1일 경구투여하여 효능 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  임상학적 평가, H/E 염색을 포함하여  몇 가지 조직형태학적 평가를 진행했는데, 양성대조군은 문제없이 효능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런데 시험물질 3가지 용량의 경우 대조군 대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효능 있음은 확인되었지만, 3가지 용량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습니다.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후보물질의 용량 의존적인 효능 결과 확보가 필요한데 이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회원작성글 iwill75  |  2022.11.25
Q. dss유도 장염 모델은 어째서 female로도 실험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실험 동물 사용시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로 인하여 이를 배제하기 위해 수컷으로 실험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실험을 기획할때, DSS의 농도가 정해져있지 않아 농도확립을 위한 실험을 하여야 하고, 유도시 마우스가 희생되거나, 유도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암컷이 DSS에 저항성을 가져 보다 높은 농도에서 유도되며, 수많은 논문에서 암컷을 실험동물로 쓰는것을 확인한 후, 암컷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왜 수컷으로 실험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이 들어왔을 때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는 사라지지 않았고, 심지어는 estradiol이 보호효과를 보인다고 논문화 되어있더군요. 실험에서는 변수를 줄이는게 기본이고.. 그래서 암컷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데도 불구...  이런 기본적인 문제가 존재함에도 어째서 암컷으로 실험한 논문이 많은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caco2  |  2022.11.24
Q. 블랙 마우스, 마취 후 IV 투여
고정틀 사용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마취 후에 IV 투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마취를 하면 혈류가 약해 보이던 혈관도 잘 안보인다던데 블랙 마우스를 마취를 하면 꼬리 혈관을 찾을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혹시 경험있는 분이 계실까요? 아니면 도움이 될만한 Tip 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아이좋아  |  2022.11.16
Q. 실험용 플라나리아 구매 방법
플라나리아에게 약물을 투여해서 경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계획 중에 있는데요 플라나리아가 워낙 깨끗한 물에 살 수 있어서 안 그래도 키우기 까다로운데 선생님께 여쭤보니 온라인으로 구매해서 택배로 올 경우에 오는 동안에 플라나리아가 스트레스를 받아서 도착하면 얼마 살지 못하고 죽어버린다고 하시더라구요ㅜㅜ그렇게 되면 다 죽어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다 죽지는 않더라도 오는 동안 스트레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수 있으니 실험 결과를 신뢰하지 못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래서 혹시 다른 대학교 실험이나 연구실에서는 플라나리아를 어떤 경로로 구하시는지, 혹은 배달되는 동안 플라나리아가 스트레스를 받는 것에 대해 해결책이 있는지 등이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ginnie  |  2022.09.23
Q. 근력 관련 마우스 실험 dexamethasone 어떤 걸 쓰시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근력 관련하여 마우스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선생님들은 sigma dexamethasone D4902 쓰시나요 아니면 D2915 (Water-soluble) 쓰시나요? 2. D4902 쓰셨다면 어디에 녹였는지와 투여량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D2915와 비교하였을 때 섭취량이 좀 많더라구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ㄹㄹ  |  2022.07.25
Q. Mouse TA muscle injection에 대한 정보를 알고싶습니다.
Mouse TA에 vaccine 주사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Mouse tibialis anterior muscle과 다른 근육간의 차이가 뭔가요?? TA 근육에 Injection 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관련된 논문이나 자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WhiteGlove  |  2022.05.31
Q. OA Rat modeling MIA 농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관련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OA(Osetoarthritis :퇴행성 관절염)를 유발 시키기 위해서 MIA(mono-iodoacetate)를 투여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논문을 참고해보던 도중에 투여량 계산을 참고하려던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혹시나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 하여 글을 남깁니다. 출처: Xu, J., Yan, L., Yan, B., Zhou, L., Tong, P., Shan, L. Osteoarthritis Pain Model Induced by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ono-Iodoacetate in Rats. J. Vis. Exp. (159), e60649, doi:10.3791/60649 (2020)   위의 내용입니다. 1번의 NOTE부분에서는 0.5mg, 1.5mg, 3mg의 MIA를 50ul의 saline에 녹이라고 되어있는데 2번에서는 MIA를 15mg/mL , 30mg/mL, 60mg/mL의 solution을 준비하라고 나와있어서 이부분에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가령 0.5mg MIA / 50ul Saline의 비율을 ml로 바꿨다고 하더라도 x20을 하면 10mg/mL이 되는것 같아 저 농도가 갑자기 어떻게 나타난건지 혼란스럽습니다..   요약하면 밑줄친 부분의 두가지의 농도가 왜 다른것이고 어떤 농도로 투여한것인지 해석이 되지 않아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실험이 가까운데 머리가 좀 아프네요.. 도움 주실 수 있는분들 잠깐만 도와시면 감사할것 같습니다.
회원작성글 늦은입학생  |  2022.05.23
Q. 마우스 경구투여 약물처리 계산법이 궁금합니다.
이제 학부생입니다. 동물실험 초짜여서 고견 부탁드립니다. 약물이 1000mg/10ml stock이 있습니다. 이 약물을 20g 마우스 에 100ul씩 20mpk로 경구로 주고싶습니다. 계산식 좀 알려주세요. 
회원작성글 하하하하호호호호  |  2022.04.12
Q. 종양원성 시험 측정 단위
안녕하십니까 최근 iPS  cell을 이용한 종양원성 시험을 진행중인 연구원입니다. 종양원성 시험을 진행할때 분화된 product의 종양형성능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입증해야하는 과제를 받아 이에 관련된 동물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실험 과정이 길기도 하고 control group의 경우 종양으 빠르게 생성되어 sacrifice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데 pilot 실험이기도 해서 군설정을 일부 브로드 하게 정해놓아 이것을 좀 더 구체화 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동물 실험에서 논문을 참고해보니 종양원성을 측정할때 "TPD50"단위를 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인것을 확인했습니다. Tumor-producing dosee at the 50% endpoint 의 약자로 "50%의 확률로 종양이 발달되는 세포 수"를 나타내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the number of cells required for tumor development with 50% probability) Kuroda, T., Yasuda, S. & Sato, Y. Tumorigenicity studies for human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products. Biol. Pharm. Bull. 36, 189–192. https://doi.org/10.1248/bpb.b12-00970 (2013). 단순한 궁금증으로 왜 이런 복잡한 단위를 사용해 평가를 하는지 의문이 들어 군 설정과 group 별 injection dose를 정하는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입니다. 솔직히 그래프가 그려져도 무엇을 의미하는건지 가늠이 잘 되지 않구요..(수학이 약하기도하고..log graph를 그리는 것 같습니다) Kawamata, S.; Kanemura, H.; Sakai, N.; Takahashi, M.; Go, M.J. Design of a Tumorigenicity Test for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Derived Cell Products. J. Clin. Med. 2015, 4, 159-171. https://doi.org/10.3390/jcm4010159   혹시 이런 분석쪽에 재능이 있으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늦은입학생  |  2022.03.07
Q. 쥐에 패치를 붙여야하는데요
쥐에 패치를 붙여서 1시간 가량 유지해야되는데   털은 제대로 깎았다는 가정하에   얘들이 계속 움직이거나 스트레스로 서로 물어 뜯이면서 떨어지는데   마취라는 좋은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혹시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신분 추천 부탁드립니다!    ps.쥐 양이 많아서 좀 간략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회원작성글 긁자에요  |  2022.02.28
Q. 마우스 IP injection시에 DMSO농도
dexamethasone이라는 물질을 DMSO로 녹인 뒤 PBS에 희석하여 마우스에 IP injection하려 합니다. (sarcopenia modeling) reference들 보니까 10일 동안 매일 injection해야 되더라고요. 마우스는 C57BL/6 체중은 20g가량입니다. 현재 계산해보니 100ul injection한다고 가정하면 DMSO가 20% (20ul) 주입되고요, 200ul로 injection volume을 좀 더 높여 희석하면 DMSO가 10% (20ul) 주입됩니다. DMSO는 어느정도의 농도 혹은 양까지 마우스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안전한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려요. 1. 전체 injection volume의 몇%인지? 2. 하루 몇 ul까지 안전한지?
회원작성글 jeongjjang..  |  2022.01.27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4]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4]
gel %가 안 맞습니다...ㅠ, running gel 만들 때 가끔씩... [4]
랩 초보 대학생입니다 클린벤치 사용 시 오염에 대해 궁금한점 [5]
primer 부착 여부 확인 방법 [2]
Cell culture 문의 드립니다. [3]
어떤 것에 의한 contamination 인지 봐주실 수 있으신가요? [3]
cell culture시, 이거 오염된건가요?ㅠㅠ 키우면 키울수록 의아합... [5]
분석 시료 전처리 [3]
penicillin 넣을 용량 계산문제입니다.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새슬

올챙이답답한아이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실험조아

알시아프로즌

대왕개구리강시

알매드사이언스

알Y.Y

꽃개구리juno

꽃개구리Ip Man

개구리처음처럼

개구리Daegu*

개구리냥냥아빠

개구리얕은지식

개구리안녕난세포야

대왕개구리강시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