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brain tissue OCT embedding cryosection |
|
|
안녕하세요,
brain OCT embedding 준비 중인 석사생 입니다.
아래와 같은 프로토콜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1. Perfused with 0.9% saline (NaCI) ç 20~30ml (4.5~5 min Perfusion 기계를 좌심실에 꽂고, 우심방 터트리기)
followed by fixation with 4% paraformaldehyde in 0.1 M PBS ç 15ml
Trans-cardiac perfusion of PFA prior to removal of the organ from the body.
2. Isolate the brain and wash it with 0.1M PBS (Cold PBS)
3. Post-fixed in 4% PFA (0.1M PBS) at 4°C for 24h.
4. Put the tissue in 15% sucrose in PBS (0.1M) until the tissue sinks (6~12h) at 4°C
5. Put the tissue in 30% sucrose in PBS (0.1M) until the tissue sinks (Overnight) at 4°C
è 물기 제거 필수.
6. PBS wash
7. Embed tissue in OCT. (Removal of the bubble.) è -80°C
-조직에 OCT 뿌리기(OCT가 조직 안으로 스며들게)
-mold labeling
-mold/집게 등 다 차갑게 유지(드라이아이스 위에 두기)
-mold에 OCT 조금 뿌리고 굳히기
-OCT가 뿌려진 조직을 mold에 똑바로 세우기
-mold를 적정하게 채울 정도로 OCT 넣기
-기포 없애기
-굳히기(너무 오랜 시간 동안 냉동하지 않게 주의하며, 90%정도 굳었을 때 꺼낸 뒤 -80°C)
---------------------------------------------------------------------------------------------
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프로토콜에 문제점이나 더 좋은 방안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저는 Mold를 드라이아이스 위애서 차갑게 만든 후에, OCT compound를 조금 넣고 굳힌 다음, 30% sucrose에서 꺼낸 brain(mold에 꽃기 전에 OCT로 먼저 분주)을 mold에 바로 embedding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 프로토콜에서는 30% sucrose에서 꺼낸 뇌를 액체질소에 아이소펜탄을 이용하여 frozen시킨 후, OCT를 이요하여 embedding 하더라구요...
-두 방법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인지,
-brain으로 IHC를 하려고 하는데 두 방법 다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이 더 적절한지,
-액체질소 없이 드라이아이스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ㅎ
|
|
척척석사_ | 01.05 |
|
Q. |
토끼 마취 질문입니다. |
|
|
항혈청을 얻기 위해 토끼 마취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약 3~4kg의 토끼를 마취하여 심장채혈 할 예정인데
찾아보니 졸레틸 or 케타민과 럼푼을 섞어서 많이 사용하시더라고요.
그 중 졸레틸은 성체 토끼의 경우 마취하는데 있어 적합하지 않다는 말이 있어 케타민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근데 아무리 찾아봐도 용법과 mix 비율을 찾을 수가 없어서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용법을 보더라도 이걸 얼마나 써야하는건지 주변에 알려줄 수 있는 분이 계시지 않아
오로지 혼자 찾아서 이해하고 진행해야하는데 찾더라도 맞게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네요.
이전 랩에서는 주로 mouse만 써봐서 ether만 사용하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주사마취제를 사용하게 되어서 너무 아는 것이 없습니다.
경험있으신 분들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
|
흑묘단단 | 2022.12.02 |
|
Q. |
마우스 해부 시 림프절의 위치가 궁금합니다. |
|
|
안녕하세요!
balb/c mouse 모델로 아토피 실험 진행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아토피 관련 논문들 보다 보니 해부 시 림프절 크기도 많이 비교하더라구요
mouse 림프절의 종류가 다양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아토피 실험에서 주로 보는 림프절이 따로 있는것인지
아니면 떼기 편한 림프절을 떼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혹시 관련 실험을 진행해보셨다면 어느 위치의 림프절을 보셨는지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jineee | 2022.11.30 |
|
Q. |
아토피 유발 mouse 해부 관련 문의입니다. |
|
|
안녕하세요
balb/c mouse 모델로 아토피 유발 실험중인 대학원생입니다.
현재 실험 진행중이며 곧 해부를 생각하고있는데
mouse의 털 자라는 속도가 너무 빠르더라구요
바리깡이랑 제모크림으로 제모 후 실험 시작했는데 지금은 꽤 많이 자란상태입니다.
이런경우 해부 시 제모크림과 바리깡 이용해서 제모 후 피부 조직을 취하는게 맞는 방법일까요?
제모크림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주진 않을까요?
다들 balb/c mouse 모델 사용해서 아토피 실험 시 피부조직 취하는 방법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jineee | 2022.11.28 |
|
Q. |
tail vein injection 때 마다 혈관이 막힌것 처럼 약물이 안들어가는데 이유 아시는분 있나요? |
|
|
제목대로 b6 마우스로 tail vein을 연습 중인데 이게 참 어렵네요
영상등을 참고로 기구와 환경을 만들고 뜨거운 스팀타월로 혈관을
확장 후 찾는거 까지는 마쳤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액체를 넣으려고 하면 매번 마우스마다 전부 혈관이 막힌것 처럼 안들어가고 억지로 넣으려고 하면 바늘이 들어간 곳으로 오히려 역류하는게 보입니다
이게 정상은 아닌것 같아 찾아보니 혈관에 넣는 약물이 너무 차가울때 가끔 일어난다고 하는데 , 제 약물은 제 손 온도만큼 따뜻한 상태이니 온도가 문제는 아닐겁니다
약물의 차가운게 원인이 아니라면 다른 원인이 있다는 말인데...
이 문제 원인이 마우스 문제인지 아니면 애초에 찾은 혈관이 정상혈관이 아니고 피부를 뚫은건지 어느게 원인인지 감조차 안오네요.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
|
행운13 | 2022.09.01 |
|
Q. |
mouse injection용 PBS 문의 |
|
|
안녕하세요
Mouse에 1xPBS base로 dilution한 약물을 injection하려고 하는데요
저희 lab에서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10xPBS를 사서
미리 autoclave된 3차 DW와 mix하여 1XPBS를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제가 이렇게 만들어진 1XPBS로 바로 mouse injection에 사용하였는데
혹시 1XPBS 자체를 autoclave할 필요는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10XPBS는 멸균처리된 상태로 파는걸까요? 해당 제품 찾아봐도 멸균여부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네요 ㅠ
|
|
tkdnsel | 2022.08.25 |
|
Q. |
고등학생 해부실험 |
|
|
유튜브에서 생선의 아가미를 열고 대동맥에 카데터를 삽입해서 온몸에 간장을 넣는 영상을 보았습니다.
비슷한 실험을 진행하고싶은데 동물 보호법에 위법이 아닌 방법으로 고등학생이 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학교 선생님은 심의위원회 개최는 어렵다고 하셨습니다) |
|
이효재 | 2022.07.15 |
|
Q. |
직접 혈압 측정 방법 질문드립니다. |
|
|
동물 카데바에서 혈관 조작 후 카테터 삽입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실험을 생각중인데요, 혹시 혈압을 측정할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
krkdwlgns | 2022.02.11 |
|
Q. |
마우스나 랫드 다리에 접착성 있는 붕대가 micropore말고 또 있나요? |
|
|
마우스랑 랫드 털을 바리깡으로 밀고 난 후에 샘플을 다리에 올려놓은 상태로 micropore로 꽉 감싸요.
다리 표면에 샘플이 잘 부착해야해서 micropore로 꽉 감싸는데 쥐가 자꾸 몸을 비틀거나 걸음걸이가 이상해요, 정상 쥐인데도 불구하고요.
그리고 micropore 접착력이 너무 약해요. 쥐 피부에 잘 안 붙어요.
micropore처럼 접착성은 있되 이거보다 더 접착력이 강한 붕대는 또 없을까요?
추천 부탁드려요. |
|
데이지꽃 | 2021.12.21 |
|
Q. |
CSF (cerebrospinal fluid) 뽑아보신 분 계신가요?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rat에서 CSF 를 뽑게 되었습니다.
CSF 채취는 저희측에서 하고 분석은 다른 팀에서 하는데요,
그런데 그쪽 팀에서 CSF 분석하려면
공시료 (Normal rat의 CSF)가 5mL 이상 필요하다고 하시네요
원래 50mL 말씀하셨는데 소동물은 그렇게 안나온다고 말씀드려서
대체공시료든 뭐든 다 알아보시고 5mL 이상 필요하다고 말씀해주셨어요
그런데 문헌 검색해보니까
rat에서 뽑을 수 있는 CSF는 100ul - 150ul 정도인 것 같은데요
공시료만 5mL이 필요하다는 것은 아무런 실험군도 아닌 쥐만 34마리 ~ 50마리에서 CSF 추출만 주구장창 해야 한다는 의미같은데요..ㅠㅠ
1. 원래 CSF 분석은 이렇게 되나요?
2. 그리고 최대한 채취량 늘리려고 하는데, 쥐들 나미 많을수록 CSF 양도 더 많아지는지도 여쭈어봅니다.
|
|
=ㅅ= | 2021.08.09 |
|
Q. |
Ether 이용 흡입 마취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마우스 이용 동물실험을 계획 중입니다.
부득이하게 흡입 마취로 에테르를 사용할까 하는데요..
솜에 적셔서 마취할 때 쓰는 에테르가 Diethyl ether 맞나요?
시그마에서 파는 pure한 거 아무 종류나 상관 없을까요?
아니면 halothane과 같은 흡입마취제가 더 좋을까요?
|
|
nodneb | 2021.04.28 |
|
Q. |
멸균된 상태에서의 동물 실험 |
|
|
동물실험시 멸균된 상태로 진행하는 protocol에 대하여 조사중입니다 참고할만한 논문, 문서, 웹사이트 상관 없이 추천해 주세요!
제가 말한 protocol이라 함은 ex) 장갑착용법, 수술자(실험자)에게 주사기 전달법, 실험시 멸균 유지법 등등을 말합니다.
최대한 많은 정보가 필요해서 부탁드립니다!
|
|
낸장할 | 2021.03.30 |
|
Q. |
고혈압실험하시는 선생님들 |
|
|
부임하신지 얼마 안되신 교수님과 단둘이 실험하는 떡잎 연구원입니다.
이번에 mice에 고혈압을 유발하고 싶은데,
Angiotensin II 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이 Angiotensin II 를 osmotic pump를 이용해서 넣은 것 같은데..
혹시 맞을까요? (혹시 프로토콜이나 .. 아니면.. 어떻게하시는지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식이 가난한 이 연구원에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
|
=ㅅ= | 2020.11.04 |
|
Q. |
아킬레스건 수술 가능한 비임상 CRO업체 찾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병원 소속 연구원입니다.
저희원에서는 현재 Rat 아킬레스건을 파열시킨 후, regeneration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수술이 가능한 업체 혹시 아신다면 추천 가능하실까요?
감사합니다.
|
|
검고91 | 2020.10.05 |
|
Q. |
mouse stz 처리한 바늘에 찔렸을때 |
|
|
제목 그대로 mouse에 stz 처리하고나서 바늘 캡을 다시 씌우다가
손가락 마디 부분쪽을 바늘에 찔렸습니다.
장갑은 라텍스 2겹으로 하고 있었기는 했는데, 찌르는 느낌은 났습니다.
장갑 벗어보니 살짝 찔린 듯하고 피가 많이 나는거는 아니였습니다,,
혹시 몰라서 바로 장갑 벗어서 상처부위 짜고 흐르는 물에 씼고
70% etoh 그냥 손 전체에 뿌렸는데 너무 걱정이 됩니다...
stz 약물에다가 mouse에 ip injection 까지 한거라,,,
괜찮을까요?
|
|
머머원생 | 2020.06.15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