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N-cyclohexyl-propanamide 구매 |
|
|
GC-MS 분석을 위한 스탠다드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알고 있는 유명한 사이트는 모두 찾아보았는데,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N-cyclohexyl-propanmide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나 좋은 방법을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구계획을 사유로 시간이 많지 않아 국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
|
금마생노 No.31 | 03.18 |
|
Q. |
GC-FID로 biodiesel 분석 시 피크 문제  |
|
|
GC장비 사용한지 얼마 안 된 학부생입니다.
GC-2010 plus 장비 사용해서 biodiesel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스탠다드 물질 찍어서 calibration curve 만들려고 하는데, 첨부한 사진에서와 같이 stearate와 oleate 따로 분석 했을 시 RT가 다른 시간에 피크가 찍히는데
서로 혼합해서 찍으면 피크가 합쳐져서 찍히게 됩니다. 조건을 바꿔가면서 찍어봐도 계속 반복 되길래 질문 드립니다.
사진에 나온 피크 분석 조건으로는
HP-20m 25m-0.20mm Film Thickness 0.2um
injection volume: 2ul, temperature: 210℃
carrier gas: N2 1ml/min, pressure:168.1kPa linear velocity: 35.9cm/min
split ratio 1:20
120℃(5min holding) > 200℃(5min holding) 2℃/min, total time 50min
detector temperature: 250℃
이 조건을 사용했습니다.
논문 찾아보니 오븐 온도를 보통 220℃로 제가 사용하는 200℃보다 더 높게 사용하는데, 컬럼 최대 수용 온도가 220℃라 불가능한 상황이고
또 피크가 겹치는 문제가 컬럼 길이가 짧아서 그렇게 되는건가 싶어 컬럼을 더 긴 제품으로 바꿔야하나 생각중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컬럼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까요?
|
|
어허허허허헝 | 03.17 |
|
Q. |
HPLC 관련 질문 드립니다. |
|
|
HPLC 분석을 진행하던 도중 peak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아서, 중간에 실험을 중단하고 column 세척을 위해 ACN:H2O = 20:80 비율로 90분간 진행했는데 baseline이 안정화가 되지 않아, 이에 대해 해결책을 얻기 위해 질문 드립니다.
baseline 안정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면 column 교체가 답일까요
|
|
연람 | 03.15 |
|
Q. |
CO2 incubator 를 청소하면서 생긴 질문 |
|
|
연구소 보안상 모든내용은 사실여부와 무관할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말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느 연구소 인턴으로 근무중인 사회인(?)입니다. 다름아닌 학문적으로 호기심이 생겨 질문을하려고 하는데, CO2 incubator를 청소에 관한 내용이며 녹이 쓸어 에메랄드 색 내부 의 상태의 incubator 였습니다.
근데 청소 세척을 하는중 에탄올로 청소하면 mycoplasma는 에탄올로 제거가 안된다는 말이 있어 물로 세척도 필요하단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세척을 물로 하다 우연히 구리받침대(incubator 내부 층을 분리하는 판대기)를 세척중 세제(일반세제?)에 닦은 부분이 광택이 나면서 엄청나게 깨끗한게 된겁니다..... 너무 깨끗해서 전후 차이가 너무 심한것 입니다. 그래서 티안나게 전부 닦았는데 녹슨 부위까지 모두 닦인것 입니다(힘들었지만 닦이긴하네요).
요점은 세제로 닦아도 되는것 이냐? 입니다! 알류미늄의 산화 피막이라고 아시죠? 그것처럼 구리도 산화피막 있어서 제가 그걸 몽땅 닦아버린게 아닌가? 그런 의문이 생겨 걱정됩니다. 깨끗한건 좋은데 이렇게 해도 될까..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2번째는 왜 incubator 내부는 구리인가? 입니다. 많은 금속들중 굳이 구리를 쓰는 특별한 기능이나 특징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CO2가 배지에 NaHCO3에 중화시키는것처럼 뭔가 화학 반응이 있나? 의문도 가졌지만 여기 분야는 공부를 해본적이 없어서 알아볼 방법이 난감합니다.
3번째는 구리판에 얼룩입니다! 당연히 웬만한 금속 재질 기구는 시간이 지나면 변색되고 이물질이 묻어나서 생기는게 정상이지만 이 얼룩이 매번 에탄올로 세척을하는데도 안지워졌던 얼룩입니다. 그리고 물로도 잘 안닦이는데 이상하게 세제묻은 수세미에 잘 닦여나간거에 얼룩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정말 궁금하지 않나요? 그 위에 배양액을 쏟는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부위가 생긴 어두운빛갈색 변색같은데 배양액으로 인한 것 같진 않단 말이죠! 그럼 도대체 누가 만든 걸까요? 씻고 마르면서 생긴 물때? 아니면 세척용 에탄올과 무언가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진 부산물? 아니면 진짜 구리의 산화피막? 아니면 1차증류수나 수돗물같은 세척으로 미량의 무기물이온과 화학반응물? 혹 잔류세제에있는 글리세롤? 궁금해서 하루종일 머릿속이 구리뿐입니다! 도대체 무슨일이 일어났었던걸까요?
|
|
고로쇠물 | 03.14 |
|
Q. |
황화물계 시료 GC-MS나 ICP-OES 찍어보신 분 계신가요? |
|
|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연구중인데,
예를들어 원재료인 Li2S에서 Li이랑 S의 함량(wt%), 그외 나머지 불순물원소들(ppm)을 알고싶어서 ICP-OES 분석을 한다면
Li2S가 대기중에 노출되면 산화가 엄청 빠르게 진행되는 물질인데 그럼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원래라면 Li2S 중에서 Li랑 S 함량이 99.9% 이상이였는데 (불순물 0.1%)
산화되면서 99.9%보다 낮아질 수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ㅠㅠ
|
|
혜온 | 03.14 |
|
Q. |
항암제 키트 |
|
|
혹시 항암제 키트 또는 세트를 판매하는 곳도 있나요? GBM 실험을 위해 항암제를 구하고 있는데 교수님께서 항암제 세트?를 본 적이 있다고 하셔서요..
|
|
별헤는밥 | 03.13 |
|
Q. |
confocal microscopy 질문 |
|
|
안녕하세요.
저희 랩에 이번에 confocal 현미경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INCell 1000(GE) 모델을 사용했는데 고장나서 수리하려고 하니
서비스 기간이 끝나서 수리가 안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confocal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어떤 모델이 좋을까요?
자이스 LSM 800 모델을 보고 있긴 한데, 괜찮을까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조사에 그나마 최근 모델이라 괜찮을 것 같아서요.
대부분 대학교랑 공동기기실이에 자이스가 많더라구요.
실제 사용하는 실험자 입장에서 어떤 제품이면 좋을 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잠시만... | 03.13 |
|
|
Q. |
HPLC 용매병(4L) 처리 방법 |
|
|
저희 실험실에서 HPLC 용매를 굉장히 많이 사용하는데(4L 갈색 병)
이 유리병을 세척 후 의료폐기물 박스에 넣어서 버려야 하나요?
아니면 세척 후 라벨 떼고 그냥 유리 제품 분리수거 하듯이 버리면 될까요??
저희가 사용하는건 Water와 Methyl alcohol 입니다!!
병이 너무 많아서 처리 해야하는데 방법을 모르겠어서 질문 합니다 ㅜㅜ
|
|
하남시보안관 | 03.06 |
|
Q. |
TEM grid 데시케이터 질문 |
|
|
안녕하세요, 미생물 실험실에서 연구중인 석사생입니다.
저희가 TEM사진 찍는데 사용하는 TEM grid를 그냥 상온에 보관을 하였었는데, grid를 진공 데시케이터에 보관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서 데시케이터를 알아보고 있는 상황에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다른 실험실에서는 어떤 데시케이터와 펌프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모양, 모델, 사이즈, 수동 펌프인지 등)
2) TEM grid 보관시, 보통 감압은 어느정도까지 해야하나요?
3) 감압 상태에서 펌프를 끈 다음 연결을 해제한 상태로 그대로 나두면 되는 것인가요?
|
|
sw9712 | 03.05 |
|
Q. |
TEM grid 데시케이터 질문 |
|
|
안녕하세요, 미생물 실험실에서 연구중인 석사생입니다.
저희가 TEM사진 찍는데 사용하는 TEM grid를 그냥 상온에 보관을 하였었는데, grid를 진공 데시케이터에 보관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서 데시케이터를 알아보고 있는 상황에서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다른 실험실에서는 어떤 데시케이터와 펌프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모양, 모델, 사이즈, 수동 펌프인지 등)
2) TEM grid 보관시, 보통 감압은 어느정도까지 해야하나요?
3) 감압 상태에서 펌프를 끈 다음 연결을 해제한 상태로 그대로 나두면 되는 것인가요?
|
|
sw9712 | 02.28 |
|
Q. |
GC FID makeup gas |
|
|
GC FID 검출기 사용하고 있는데, 어제부터 makeup gas의 유속이 흔들려 분석을 진행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ㅜ
검출기 쪽 column을 다시 결착 한 후에 일정 시간동안 유속이 유지되어 분석을 시작하였는데 sample 1개 분석하고나니 다시 유속이 흔들리기 시작하더라구요 .....
makeup gas를 off 하고 분석해도 된다고 해서 이렇게도 진행해보았는데, 같은 sample 6반복간의 RT 가 일정하지 않았습니다. (5.267, 5.106, 5.212, 5.237, 5.165)
FID 검출기를 사용할 때에 makeup gas는 필수로 On을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off는 해도 되는데 RT가 흔들리는 제 결과가 잘못된건가요 ㅜ
|
|
으아앙ㄱ | 02.24 |
|
|
Q. |
AAS 기준흡광도값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
|
지금 사용하고 있는 램프에 대한 평가를 해야되는데
알아보니 각 ppm별로 기준흡광도 값이 어느정도 정해져있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검색해봐도 안나오는데 혹시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
|
Brleua | 02.21 |
|
Q. |
올바른 마이크로피펫 사용법 |
|
|
이동상 목적으로 5mM 황산 용액 2L를 만들려고 합니다. (소량의 water에 600 uL 황산을 넣고 2L 표선까지 water로 채우는 방식)
1. 마이크로피펫으로 황산을 피펫팅 해도 될까요?
에펜도르프 피펫, PP 재질 팁 사용 중입니다. 피펫 사용 시 강산은 되도록 지양하는게 좋다고 알고 있는데 소량이라 일반 유리피펫 등으로는 어려울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공용이라 다른 실험의 영향인지 황산 영향인지는 모르겠는데 시험으로 해보고 팁을 제거하니 팁 끼는 구멍? 근처에서 갈색 액체 같은게 묻어나왔는데 이 영향인걸까요)
2. 매스실린더에 황산을 옮길 때 후드에서 진행하는 것이 맞을까요?
알려줄 땐 소량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그냥 하셨는데 황산 후드에서 취급해야 한다고 알고 있어서요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dgyr | 02.16 |
|
Q. |
flask waist auto 돌리고 세척 후 다시 auto .. |
|
|
일반적으로 waist flask auto 돌린 후에 세척하고 다시 멸균 스티커 붙여서 auto 돌리는 게 맞나요 ? 아니면 auto하고 워싱 후에 건조해서 그냥 사용해도 될까요 ? 전 전자로 알고 있긴 한데 .. 혹시 제 생각이 맞는가 싶어 질문올립니다. |
|
푸리링 | 02.1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