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dna 전기영동 |
|
|
쥐를 해부하고, 쥐의 다양한 기관의 세포에서의 DNA를 추출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는데 실험 지식이 거의 없다보니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1. 브로모 페놀이 포함된 로딩 다이만 첨가하고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EtBr은 넣지않았는데 왜 노란빛을 띄는 걸까요?
2. 저는 브로모 페놀이 특정 염기수만큼의 DNA가 내려는 속도와 같아 겔의 특정부분에만 나타난다고 알고 있는데 노란빛이 브로모페놀이 맞다면 왜 겔의 전체적인 부분에 퍼져있는 걸까요?
사진은 교수님께서 전기영동 후 컴퓨터로 보여주신 사진입니다
https://s128.convertio.me/p/6Etm199PPqxPJF5BBjidAA/aaf6c4fab69c70faaabe1b18b7fff717/IMG_5182.jpg |
|
starrynigh.. | 06.04 |
|
Q. |
DNA midi prep 질문 있습니다! 도와주세요ㅜㅜ |
|
|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몇 가지 여쭤보고 싶어서 글 남깁니다!
1. mini prep으로 진행하였던 LB media를 이용하여 midi prep을 진행하고 싶은데, mini prep LB media 200ul를 100ml LB에 키워서 midi 진행해도 되는 건가요?! (전에 mini 했을 때 3ml에 키워서 1ml로 mini 하고 2ml 보관 중입니다)
2. mini LB media를 그냥 4도씨에 2주 정도? 보관 중인데 사용 해도 될까요..?
3. 1번 질문이 진행이 가능 하다면, midi prep 과정은 일반 midi prep 하듯이 진행하면 되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
|
쿵쿠따리쿵쿠따 | 06.03 |
|
Q. |
시액 조제 희석 질문 입니다ㅠ |
|
|
조금 헷갈려서 ..
테트라페닐붕소나트륨용액 (1->30) 5.0ml 를 넣는다 치면
1ml 저 테트라페닐붕소 나트륨용액 이고 30ml 물
로 희석 한다음 그걸 5.0ml 를 따서 넣으라는건지
아님
용액 5.0ml 과 물 150ml (5.0×30) 해서 총 155 만들어서 이걸 5.0ml 를 따서 넣는건가요 ??
|
|
639 | 05.09 |
|
Q. |
RNA prep 키트 농도가 너무 낮아요 |
|
|
안녕하세요
BIOFACT RNA prep 키트 사용해서 cell에서 RNA 추출 실험을 하는데
농도가 굉장히 낮게 나옵니다 5~30정도로 나오는데 문제는 선배가 똑같이 할경우 100정도가 나옵니다. 가장 큰 원인은 cell harvest 과정인데 6-well plate에서 EDTA 처리 후 media로 cell harvest 하는 과정에서 loss가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선배에게 보고 배운대로 따라하는데도 농도가 잘 나오지 않아 혹시 해결법이 있을 경우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알팍하 | 05.07 |
|
Q. |
에탄올 침전 |
|
|
실험과정이
Headpiece에 aop를 붙인뒤에 에탄올침전법로 침전물만 얻어낸 다음, deprotection시켜서 다시 에탄올침전으로 침전물을 얻어내야합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침전물 농도를 nanodrop으로 측정해보니 침전이 하나도 안되었더라구요ㅠㅠ
추측할 수 있는건 nacl을 안넣거 에탄올만 넣은채로 원심분리기에 돌렸다고 볼 수 있을거같아요
그래서 상부액으로 버리려고 했던걸 다시 dry시켜서 사용해야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상부액이 첫번째 반응 이후의 침전 상부액인지 두번째 반응 이후의 침전 상부액인지 구분이 안되게 표기해뒀어요 제가ㅠㅠ
한 상부액을 nanodrop으로 측정했더니 초기 headpiece보다 3배 농도가 나오더라구요..?
Headpiece가 deprotection은 되었는데 aop는 떨어지지 않은 상태면 나노드랍에 그렇게 세 배 농도로 나올 수 있나요?? |
|
고래릴라 | 05.05 |
|
Q. |
DNA 정제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현재 석박과정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박테리아 쪽을 제균하고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제가 사용하는 물질이 박테리아의 DNA를 손상시켜서 죽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확인 방법으로 물질을 처리후 바이오니아사의 genomicDNA extraction 키트를 이용하요 gDNA를 추출하고 전기영동을 진행해보았는데, 손상이 되면 smear하게 퍼지는 양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했지만 깔끔하게 BAND가 나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생각한 부분이 손상된 DNA는 kit column에 부착되지 않아 제거되서 멀쩡한 gDNA만 남은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의견을 구하고자 질문 남깁니다...
사소한 것이라도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이가텔 | 05.04 |
|
Q. |
plasmid prep 할때 |
|
|
원하는 plasmid를 prep 할때 ..
DH10beta strain에 담겨있는 plasmid를 prep해왔었는데
DH10beta strain은 Transformation 해준 plasmid외에 자신만의 plasmid를 못 만들어내나요?
Genotype을 살펴보니 F- 라고 되어있던데 F plasmid 외에도 여러 plasmid가 존재하지 않나요?
|
|
bylab | 05.01 |
|
Q. |
DNA loading dye와 섞은 상태에서 정제 가능/불가능? |
|
|
안녕하세요
Positive DNA 샘플 많이 만들다가 loading dye를 미리 전부 섞고 gel 확인하였더니
생각보다 농도가 낮은터라 밴드확인이 하기 힘들어 loading dye가 섞인 상태에서 정제/농축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에탄올 침전이나 column을 사용하던가 해서 정제 농축하고자 하는데
column은 제가원하는 농도로 농축이 힘들어 보이고
에탄올 침전을 해야 하나 싶은데 에로 사항이 있을지요? 경험있으신분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vaccum centrifuge로 농축 시도할까 생각중입니다.
|
|
얼음보송이 | 04.27 |
|
Q. |
ethanol 침전법 |
|
|
Ethanol 침전법 이용하여 DNA 농축을 시도하고 있는데요.
농축만 하면 오히려 loss가 일어나,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Protocol
1. 3M sodium acetate 0.1 vol, 100% ethanol 2.5 vol 첨가 후 -20도 2시간
2. centrifuge 20분 후 상등액 버림
3. 70% ethanol 500 ul 첨가 후 centrifuge 20분 후 상등액 버림
4. TE buffer 30 ul 첨가
어디서 loss가 나는건지 도무지 모르겠었어요... 분명 상등액 버릴때도 조심히 버리는데 왜 loss가 나는걸까요?
|
|
분자생물학도 | 04.26 |
|
Q. |
에탄올을 이용한 침전법과 culoumn의 농도가 차이나는게 정상인가요? |
|
|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글을 써보는거라 카테고리나 질문이 미흡할 수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DNA Extraction 추출을 두가지 방법을 이용해서 하였는데,
하나는 침전법, 하나는 column을 이용하였습니다.
하단의 표와 같이 결과가 침전법에서의 DNA 농도가 진하다는 것이 보였고,
하단의 사진과 같이 책에서도 다른 정제방법은 희석추출한다 라고 쓰여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 내용을 레포트로 제출하였더니 하단과 같이 감점을받았는데 책이 틀린것인지 조교님의 채점이 미흡한것인지 아니면 제가 어떠한 설명이 부족했던것인지 고수님들의 도움이 필요하여 이렇게 글을 작성하였습니다.ㅠㅠ
더불어 제가 책에 있는 표현을 그대로 썼는데 감점이되면서 피드백을 적어주셨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한번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
누눈ㅇ | 04.12 |
|
Q. |
glycerol e.coli stock을 바로 액체 LB배지에 배양해도 되나요? |
|
|
갖고 있는 e.coli stock으로 midi prep을 하려고 하는데요, 얼어 있는 stock을 긁은 다음 액체 배지에 바로 접종하여 배양해도 되나요? 아니면 고체 배지 plate에 streaking 하여 single colony 획득 후 액체 배양으로 넘어가야 하는 건가요?!? |
|
neeulb | 04.01 |
|
Q. |
tris, tris aminomethane |
|
|
DNA 영동에 사용하는 TBE를 만드려하는데요,
Tris, boric acid, EDTA 가 들어간다고 하여서
TRIS 견적을 보냈는데
tris, tris aminomethane
두 종류가 왔습니다.
tris, tris aminomethane는 다른 건가요?
혼용 가능한지요?
|
|
궁궁궁굼 | 03.28 |
|
Q. |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
|
|
DNA cloning을 하기 위해서 enzyme cut이후 blunt end를 만들고 gel extraction kit의 filter tube에 넣고 washing 후 elution하였습니다. 그리고 nano-drop측정을 하였는데 loss가 너무 많이 일어나서 다시 진행하였습니다.
-enzyme cut 이후에도 gel extraction kit로 DNA만 얻었습니다.
-한 쪽만 blunt end를 만들기 위해 enzyme cut시 잘려나가는 부위는 없고 linear 형태가 됩니다.
이번에는 enzyme cut만 하고 이전과 같은 방법으로 DNA를 얻었는데 2ug을 사용했던 DNA의 양이 약500ng만 남게 되었습니다.
주변에 물어보니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 왜 그러냐는 소리를 듣다가 브릭에 올려봅니다.
cloning에 대하여 아는 것도 많이 없고 머리 싸메다가 올립니다. 고수님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asdf1212 | 03.27 |
|
Q. |
DNA를 자연건조시켜 농축한 후 다시 물에 녹여 사용할 수 있을까요? |
|
|
cDNA를 합성한 후 5ng/ul의 농도를 일괄로 맞춰 qPCR을 진행하고자 넣어야 하는 물의 양을 샘플별로 기록해놨었는데,
실험하다 정신을 놓았는지 모든 샘플에 일괄로 많은 양의 DW를 넣어 터무니 없이 낮은 농도로 희석된 상황입니다 ^^;
흔히들 사용하는 speedvac은 연구실에 없어 사용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혹시 55~70도 정도의 dry oven이나 RT에서 자연건조시킨 후 다시 물에 녹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qPCR을 진행하면 실험에 문제가 생길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ㅠㅠ
|
|
매실나무 | 03.21 |
|
Q. |
mini prep purity |
|
|
mini prep의 순도가 1.8 이하일 때 , 1.9 이상일 때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 세포벽, 세포막 파괴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일까요 ?? |
|
원지지 | 03.11 |
|
Q. |
DNA Maxi prep 후 하얀 침전물 |
|
|
DNA Maxi kit(Q 사) 에서 free H2O buffer 넣고 30분 centrifuge 돌린 뒤 나오는 펠렛을 말린 후 D.W에 녹여 maxi DNA를 만들었는데요,
이번에 Maxi한 DNA를 보니 하얀 침전물들이 둥둥 떠다니더라고요, 7개 중 3개 정도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던데,, 왜 그런걸까요. 너무나 펠렛을 많이 건조해서 그런거 일까요..??
|
|
누눙 | 03.09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