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천양테크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Laboratory Animals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돼지피부 침투 실험 (H&E Staining)
안녕하세요. 화장품 성분을 돼지피부에 도포한 후 표피 및 진피까지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1. 돼지피부 preparation   2. 화장품 성분에 형광인자 결합   3. H&E Staining protocol   4. Microtome, 광학현미경 등 필요 장비들   위 4가지 내용과 관련해서 경험 있으신 분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ㅠ
회원작성글 qwe123  |  06.07
Q. 아토피 유도 DNCB 물질 접촉사고
안녕하세요 마우스 등에 DNCB를 도포하여 아토피 유도모델을 제작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0.5%로 제작한 DNCB를 도포하는 중 금일 손에 실수로 쏟아지는 일이 발생해 바로 흐르는물에 씻고, 장갑을 교체하였는데 혹시나 찝찝해서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브릭 회원분들 중 DNCB유도를 하다가 손에 접촉해보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증상이 미미하게 일어났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90ㅎㄱ  |  06.07
Q. Mouse experiment가 필요한데 도움주실 분 계신가요
Mouse experiment 관련 경험이 필요한데, 도움 주실 분 있으실까요, 제가 지원하는 분야에 1번 이상은 해봐야해서,제가 지금 한번도 경험이 없습니다. 후하게 사례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닉네임노노  |  06.07
Q. 4% PFA로 조직 고정하고 최대 며칠까지 안정한가요?
mouse skeletal muscle 단면을 촬영하려고 합니다. 조직 분석 의뢰 맡기려고 하는데 다음주 수요일에나 가능하다네요 ㅠ 수요일까지 괜찮을까요?
회원작성글 Brady  |  06.02
Q. Pig pbmc isolation
돼지 혈액에서 pbmc를 분리하려고 합니다. 한번도  pbmc isolation를 해본적이 없는데 찾아보니까 많은 분들이 kit를 사용하여서 분리하시더라고요! 그리하여 ficoll를 사용하여 분리하려고하는데 ficoll은 human blood에서 사용하신다고 하셔서요. 돼지에서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한가요? 검색해보아도 돼지혈액에서  pbmc isolation를 하신분은 없으셔서 없으셔서 질문합니다 ㅜㅜ 돼지에서  pbmc isolation 하신분 있으시면 좀 도와주세요!!! 열심히 검색하고 공부하고 있는데 모르는점이 너무 많습니다.
회원작성글 oneday  |  06.01
Q. mice plasma 추출 퍼센트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연구실에서 serum은 40~50% 추출되고 있는데,   plasma 추출이 처음이라 추출전 대략 whole blood에서 몇 퍼센트 정도 추출되는지 찾아 보려했으나 논문마다 30%, 45%, 55% 다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혼란스럽네요.   물론 상황에 따라 추출되는 %가 다 다르겠지만 보통 mice에서 plasma 추출시 몇 퍼센트 정도 추출되시나요?    
회원작성글 라이  |  06.01
Q. zebrafish neurobehavior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zebrafish 관련해서 실험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zebrafish 실험 중에 tail coiling, locomotion behavior, touch-evoked response 등의 실험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참고하기 좋은 자료라도 첨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elelelelel..  |  05.31
Q. mouse 실험을 진행한 뒤 피부 조직 분리 및 효능평가 관련 출장 및 의뢰 관련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SKH-1 mouse에 UV-B 자극을 주어 광노화 피부 개선 유효성평가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동물 실험을 진행한 뒤 피부 조직 분리 및 효능평가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실험 종료후에 출장 및 의뢰를 통해 replica 제작 및 silico replica 제작 후 현미경 촬영, 수분, 주름, 두께, 탄력도, TEWL 측정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업체 또는 기관이 혹시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Original  |  05.26
Q. 마우스 실험 질문-기초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이번에 처음으로 마우스 실험을 시작하는 대학원생입니다.  우선 마우스를 받기는 받았는데 처음 하는 일이기도 하고, 찾을 수 있는 정보도 적어 도움을 받고자 질문을 드립니다. 너무 기본적인 내용을 여쭈게 되어 부끄럽기 그지 없으나 도움을 주신다면 몹시 감사드리겠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에 사용하는 마우스는 되도록이면 같은 mating cage에서 같은 시기에 태어난 마우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들었는데, 그럼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마우스의 조직은 실험에 사용을 못하는건가요...? 그리고 보통 마우스를 몇주령 정도부터 실험에 쓰기 시작하나요..? 논문들을 보면 어떠한 약물 주사나 식단 조절 등 실험조건을 변경하는것은 6~9주쯤이고 15~16주쯤에 sacrifice하는 것 같은데 옳게 알고있는지 궁금합니다. 도움주시는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깨꾹깨꾹  |  05.25
Q. A260/A280 1.8~2.1로 맞추는 방법
조류(bird) 혈액 카드 샘플을 이용해 gDNA 추출 중입니다.  키트는 QIAamp DNA Micro kit 사용하였습니다.  참고한 메뉴얼은 Dried blood spots 부분입니다.  추출한 gDNA의 A260/A280 값이 1.56~2.4 사이로 나오는데 순도를 적절하게 맞추면서 농도를 높게 추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원하는 순도는 1.8~2.1정도입니다.  carrier RNA는 사용하지 않았고 AE 버퍼 40ul 도포 후 5분 이상 배양했는데 이것이 문제였을까요? 혈액카드에 묻은 혈액은 적은 것도 있고 한두방울 적셔진 카드가 여러 개인 샘플도 있습니다.  혹은 순도가 높아지더라도 농도를 높게 뽑은 후, RNA purification 맡기면 될까요..
회원작성글 animal21  |  05.25
Q. 마우스 혈장에서 동결 침전물발생에 관하여
현재 마우스 혈액에서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냉동 보관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ELISA를 이용해서 측정해보고자 합니다.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이때까지 실험을 하면서 알게 된 혹은 발생한 의문들에 대해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합니다. 전에 마우스 혈장을 분리해서 -20'C에서 냉동 후 상온에서 해동하니까 찌꺼기? 같은게 경우마다 랜덤하게 많이 혹은 적게 생겼습니다. 이것 때문에 정보를 탐색해보니 이것이 흔히들 이야기하는 동결 침전물인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동결 침전물은 혈장내의 섬유체 들이 뭉쳐져서 발생을 하고 침전물에는 혈장에 존재하는 성분들이 대부분 포함이 된다 하더군요. 그러면 일종의 혈장 성분을 분석하고자할 때 물질이 loss가 발생 했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이 동결 침전물의 발생이 실험 결과에 영향이 있을까요? 이밖에 좀더 찾아보니 -80에서 보관을 권장하거나 혈장을 분석하기 위해 해동하는 과정은 37'C같은 워터배스를 이용해서 급속 해동을 권장하는 말들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동결침전물을 의도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식이 냉동과 저속해동을 반복하는 거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혈장을 분석하기 위해 해동하는 과정에 급속 해동을 추천하는 이유는 이런 동결 침전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일까요?
회원작성글 찰떡백설기  |  05.23
Q. 안와채혈
안녕하세요? 마우스 안와채혈시 capillary tube를 사용하는데, heparin 은 혈소판이 깨진다 하여 EDTA 코팅된 capillary tube를 찾고있는데, Vitrex에서 판매하는데, 국내 수입되는 곳이 없네요. (수입업체 정보 알고싶습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heparin capillary tube 로 흠집을 낸 후 EDTA 들어있는 E-tube 에 옮기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채혈과정이 좀 불안해서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적절한 제품이 있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공부중입니다  |  05.23
Q. in vivo injection 농도 계산
A 약물을 20g mouse 기준으로 200ul(1mg/ml)주입 하려 하는데 A 약물이 100mg/ml 로 DMSO에 녹여 스탁되어있습니다. 10mg/ml 로 하면 3ul(스탁) + DMSO 27ul 1mg/ml로 하면 10mg/ml 에서 2ul + PBS 198ul 하면 되는게 맞나욘
회원작성글 디도디  |  05.22
Q. 마우스 조직 염색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물실험 종료 후 조직 염색을 맡기려고 하는데 관련 업체 추천을 부탁드리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원래 랩실에서 맡기던 업체가 있는데 현재 조직 염색은 진행하지 않는다고 하여 새로운 업체를 찾으려는데 국내에서 조직 염색이 가능한 업체가 너무 다양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큰 저널에 실린 것을 기준으로 하는지 큰 업체별로 견적을 받아보고 저렴한 곳에서 해야하는지 기준을 모르겠네요...(샘플 수가 많아 가격이 너무 높은 곳에서는 어렵지 않을까..합니다.) 좋은 곳 아시는 분 계시다면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ㅠㅠ 동물실험은 정말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네요.. 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좋은 일만 가득하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햅삐  |  05.21
Q. 약물 dmso 용해 후 pbs 희석 시 석출
안녕하세요. mouse ip를 위해서 약물을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DMSO 농도를 최대한 줄여보려고 PBS에 희석하려합니다. drug 4mg에 DMSO를 100ul 넣고 녹인 후 PBS를 넣으면 바로 석출이 일어나더라구요   이 경우가 DMSO가 너무 소량이라 그런건가요? 아니면 대체할만한 용매가 있을까요? mouse 17g 기준 100ul 씩 injection하려면 DMSO가 ul까지 안전할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asdd221  |  05.18
Q. 출산직후가 아닌 암컷 마우스도 foster (위탁모)가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breeding하는 마우스들이 자꾸 새끼가 태어나면 죽여서 문제입니다. 그래서 foster mom으로 새끼를 구출(?)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출산 직후가 아닌 암컷 마우스로도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어서 이게 진짜 가능한지 궁금해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대학원생인가노예인가  |  05.10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대학원 3개월차 RNA정량 원리도 제대로 모르면... [9]
DNA midi prep 질문 있습니다! 도와주세요ㅜㅜ [4]
5% skim milk... 왜 아무것도 안 나올까요? [5]
dna 전기영동 [1]
L929 세포 모양 [7]
sds-page 전기영동 결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3]
HPLC 분석관련 문의드립니다. [3]
Enzyme cut 이후 Gel purification에서 Insert와... [2]
데이터 조작..? [3]
300kDa 이상 단백질, REV3L western blot band 확... [5]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푸른고래

대왕개구리강시

알efrd

개구리CBD 김선..

올챙이pasg1345

개구리Eigen

대왕개구리SPEED

알닉네임노노

대왕개구리엘피스

꽃개구리느림보

개구리Kim

꽃개구리juno

꽃개구리Kozmoj

꽃개구리개그

개구리별숲

개구리하늘을달려라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