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식물 비타민D 주입 |
|
|
식물이 지용성 비타민D를 흡수할 수 있도록 비타민D를 에탄올에 희석시켜 식물이 자라는 토양에 주입하려고 합니다. 이때 에탄올과 비타민D의 비율은 10:1로 하려고 하는데요, 에탄올의 농도는 몇 퍼센트가 가장 적절할까요? |
|
jmshim | 06.01 |
|
Q. |
옥신과 사이토키닌 함께처리하는 이유 |
|
|
논문을 읽는데, 식물(상추)의 자엽절편을 NAA와 Kinetin을 포함한 ms고체 배지에 pre-culture한다고 나와있습니다.
1. pre-culture 시 옥신계열인 naa와 사이토키닌계열의 Kinetin을 함께 사용하나요?
2. 그리고 상추를 pre-culture할때 왜 naa와 Kinetin을 사용하나요?
|
|
움 | 05.19 |
|
Q. |
종자 황산처리와 소독처리 |
|
|
종자 발아실험 시작단계입니다.
황산 처리를 한 후에 1% Agar 배지에 치상했습니다.(96% 황산 30min, 증류수 세척 후 증류수에 24h 침종)
약 20일이 지났는데 오염이 심하게 났습니다.( 곰팡이 등)
그래서 황산처리와 함께 종자 소독도 병행해야 할것 같은데
황산 처리 후 종자소독을 하는게 나을까요, 종자 소독 후 황산처리를 하는것이 나을까요?
관련 자료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모르겠오요 | 05.17 |
|
Q. |
식물 염색체 counting 관련 조언구해봅니다 |
|
|
양치식물 염색체 counting과 관련해서 실험 진행중에 있는 학생입니다.
배수체를 확실하게 파악하고 싶어서 유세포 분석기 말고, 직접 카운팅을 하려 하는데, 여러 조건을 바꿔가면서 실험을 진행해봐도 문제가 있어 질문글 올립니다.
사진상에서 저게 metaphase 단계가 확인이 되는데 염색체 수가 많고 크기가 작아서 저렇게 뭉쳐 보이는 것인지(2n=74), 아니면 실험상의 문제로 interphase 단계만 관찰이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염색이 잘 되지 않은것 같기도 해서 염색시간과 방법에 변화를 줘볼까 하는데, 현재로서는 일단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하기 어려워 조언을 구해봅니다.
Method: 1)Metaphase arresting - 0.02 M 8-hydroxyquinoline, 4h
2)fixation - Carnoy's solution, 24h
3)cell dissociation - 1 N HCl, 30s in 60°C(사진 1) / 1 N HCl, 30min in 60°C(사진2)
4)staining - aceti-orcein, 10min, squash method
5)observation - 10*100X, Olympus BX51T
|
|
Woodsia | 05.16 |
|
|
Q. |
Gradient PCR 질문입니다. |
|
|
제가 바이러스 진단법을 개발 중에 있는데, 보통 프라이머의 적정 annealing Tm을 맞추기 위하여 gradient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실행한 gradient 실험은 54도부터 2도씩 증가시켜 54,56,58,60,62도를 설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은 45도부터 60도까지 전부 안했다면서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질문을 했는데요. 제가 실험설계를 잘못한것일 까요?
|
|
현76 | 05.11 |
|
Q. |
0.1M sodium phosphate buffer 7.0 제조 관련 질문 |
|
|
위에 사진은 제가 제작하고자하는 0.1M sodium phosphate buffer 제작 방법을 나타낸 프로토콜입니다.
위에 add 3.0g of NaH2PO4 ~ 여기 부분은 pH7.4에 대한 방법을 묘사한 것 같은데 그럼 7.0에 대한건 Na2HPO4 57.7 ml, NaH2PO4 42.3 ml를 넣어서 섞으면 제가 원하는 pH 7.0 buffer를 만들 수 있는 걸까요?
검색을 해보니 모노와 다이를 섞어서 pH를 조절하라는 의견을 많이 봤는데 혹시나 조언을 해주신다면 감사할것 같습니다
|
|
유인12 | 05.11 |
|
|
Q. |
논문에서 나오는 Cold-Stratified와 Vernalization(춘화처리) 차이가 궁금합니다. |
|
|
논문을 읽던도중 종자 발아실험 전에 대부분 Cold-Stratified작업을 거친다고 적혀있길래 뭔가해서 찾아봣더니, the process of exposing seeds to cold and moist conditions to encourage germination. 이라고 나오더라고요. 대충 해석해보니까 차갑고 습한 환경에 씨앗을 노출시키는 작업이라는데... 이게 춘화처리(Vernalization)와는 다른 개념인건가요??
춘화처리도 책 설명보니까 2년생식물의 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저온 처리를 하는것이라고 나와있어서요.
이 둘이 완전히 같은개념인지...아니면 조금 다른건지... 궁금하네요ㅠㅠ...정말 단순히 발아와 개화의 차이만 있는건가요???
|
|
동물생리학 | 05.03 |
|
Q. |
HPLC 칼럼 조건 |
|
|
1.coumaric acid
델타, 파라
2.세사미놀, 세사몰린
column 조건 알 수 있을까요? |
|
반만이 | 04.27 |
|
Q. |
배지 pH |
|
|
식물배지를 기존 pH 보다 0.4가 높은 상태로 만들어서 배지를 이미 모두 부어버렸는데 사용해도 괜찮을까요??ㅠ |
|
Keep going | 04.26 |
|
Q. |
cDNA 제작 과정 중 질문  |
|
|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하는 2step RT-PCR 과정에서 RT와 PCR 단계를 제 자신이 봤을 때는 제대로 했는데 2주째 결과가 안나와서 다른 시약으로 진행을 하려고 하는 도중에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1. Template RNA total RNA <= 5ug, mRNA <- 1ug 이 부분에서의 의미를 도저히 모르겠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전에 사용하던 시약에서는 Template < 500ng라고 해서 cDNA가 500ng 이상의 값이 나오면 1ul이하로 넣었었는데 그럼 이 경우에는 대체 어느정도를 넣어야하는 건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1 ng/ul = 0.001 ug/ul이라고 나오던데 그렇다면 0.005를 넣으면 된다는 이야기 인걸까요?
2. RNase Inhibitor 20U, PrimeScript Reverse Transcriptase 100-200U 부분에서 이 U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단순하게 20U를 ul 로 바꾸고 싶다고 찾아보니 따로 단위 전환과 관련된 부분을 알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20U와 100U 는 1:5의 비율이니 그냥 1ul, 5ul을 넣는 방법은 너무 착오적인 발상일까요?
그냥 프로토콜을 보고 바로 이해하고 싶은데 아직 실력이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
유인12 | 04.21 |
|
Q. |
C3,C4,CAM 이외의 식물 분류 |
|
|
C3,C4,CAM 이외의 식물 분류가 있나요? K식물 같은걸 들어본 것 같은데 그런 것들에는 무엇이 있나요? |
|
ReDLuX | 04.20 |
|
Q. |
primer 희석과 관련한 질문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Taq 이용을 하다가 Upstream primer, 10uM volume을 0.25~2.5ul 어떤건 primer 1 volume을 0.2 ~1.0 uM 이렇게 여러가지 경우를 이야기해주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저 범위 안에서 적당하게 넣으라는 의미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려는 primer에 OD=3, 15nmole, TM=57.3, MW 6374.1, vol for 100 pmol/ul = 150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1. 15nmol/l= 0.015uM라고 나오던데 그렇다면 DW90 PRIMER 10 이렇게 희석한걸 0.2~1.0uM 혹은 0.25~2.5uM 범위에서 넣으면 되는것이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
|
유인12 | 04.19 |
|
Q. |
pcr 온도 설정  |
|
|
안녕하세요 pcr 온도 설정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온도설정을 제가 잘못하고 있는건지 알고싶습니다.
1. pcr 기계에서 blank pcr을 선택
2. 1 stage 2 stage 3 stage 각 1개씩 만들기
3. 1 stage에는 denaturation의 98도 10초 30 x 설정
4. 2 stage에는 annealing의 57도 30초 30x 설정
5. 3 stage에는 extension의 72도 1분 30x 설정
6. pcr 기계를 돌린다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이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유인12 | 04.18 |
|
Q. |
전기영동 결과 관련한 질문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RT-PCR을 진행하는 도중 아예 안나오다가.... 그래도 약간의 끌림이 있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질문을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다른 분들의 cDNA 전기영동 결과는 깔끔한 band가 나오는데 계속해서 아예 안나오거나, 저렇게 흐리멍텅하게 나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그렇다고 프라이머를 적게 넣은 것도 아니고 100ppmol로 만든걸 10uM으로 변환하고 희석해서 적절하게 넣었습니다. 또한 cDNA 만들기 전 RNA의 상태가 정말 나쁜가 싶어서 그냥 one step PCR을 돌렸지만 positive와 똑같은 위치에서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기에 RNA의 상태가 나쁜건 아니라고 판단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cDNA 나노드랍의 결과를 무조건 좋은 위치(1.8~2.2 정도였나)가 나올때까지 계속 진행해서 하는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인데... 나노드랍 결과도 260/230의 결과가 1.5에 달하긴 하지만 그래프의 모양이 적절한 모양이라고 판단되어서 실험을 진행한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cDNA를 제작하는 SSIV나 그 이후의 taq에서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cDNA를 만들고(RT) taq를 형성하는(PCR) 과정 이후 loading dye를 이용해 PCR을 한 결과가 위의 이미지입니다. 과연 어떤 부분이 잘못된 것일까요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
유인12 | 04.18 |
|
Q. |
안녕하세요 전기영동 결과가 이상해서 질문을 남겨봅니다  |
|
|
안녕하세요! 첨부한 이미지는 2step pcr 과정을 통해 나온 cDNA를 6X loading dye에 넣은 뒤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허나 ladder 다음에 두 칸정도가 진한 검은색으로 뜨기는 했지만 옆에 positive와 다르게 더 아래로 내려가있기도하고 흰색밴드가 안떠서 실험이 잘못된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처음에 진행한 RT 과정에서 TEMPLATE RNA(10pg-5ug) total RNA or 10pg-500ng mRNA) 이 프로토콜에서 나노드랍으로 농도확인 안하고 그냥 11ul 최대를 넣은게 잘못인지(근데 이렇게 했을때 260/280은 1.91 260/230은 1.51이 나왔고 그래프도 그렇게 나쁜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면 두번째 가설로는 ex taq 사용에 있어서 오류를 범한 것 같은데 template의 크기가 500ng 이상이라 0.7ul을 넣고 primer들은 각각 0.5씩 넣고 그 외 필요한 재료들을 넣고 sterile purified water를 depc를 넣어서 생긴 문제인지 감이 잡히지않아 상세히 서술합니다 가르쳐주신다면 배우겠습니다!! |
|
유인12 | 04.13 |
|
Q. |
SNP 파일로 돌연변이 부분 검색하는법 |
|
|
안녕하세요
현재 돌연변이형 애기장대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MutMap분석법으로 SNP데이터를 얻었고 SNP에 위치한 후보 유전자들을 추려냈습니다.
각 후보유전자들의 mutation type을 알고싶은데 지도연구원은 Snapgene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후보유전자 시퀀스를 넣고 어떤 코돈이 돌연변이인지 보고 그게 어떤 단백질이 연관됐는지 보라고 하는데 SNP데이터를 이용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며칠째 고민중입니다..
혹시 이에 대해서 알고계신분이 있다면 꼭 도움부탁드리겠습니다.
|
|
녹다운 | 04.12 |
|
Q. |
2 step pcr을 진행하는 도중 의문점이 생겨 질문을 드립니다. |
|
|
SSIV로 cDNA를 추출하고 Ex Taq을 이용하여 PCR을 하려고 하는 도중 갑자기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 전기영동 하기 전 겔에 pcr 산물을 집어 넣는데 이때 위에 SSIV와 Ex Taq을 이용한 산물은 염색약(?)이 없는 투명한 흰색인데 이걸 바로 겔 넣는 구멍에 넣어도 전기영동을 진행하면 기존에 pcr 2x 그 산물처럼 ladder가 뜨나요? 따로 염색 과정이 없어도 괜찮은 걸까요?
|
|
유인12 | 04.12 |
|
Q. |
ex taq 사용 중 의문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
|
|
우선 프로토콜 먼저 올려봅니다
takara ex taq (5U / ul) 0.25 ul
template < 500ng
sterile purified water up to 50 ul
1. 이 프로토콜 첫부분에 사이즈가 250U Conc.가 5U/ul로 나와있는데 이 부분에서 takara ex taq 는 그낭 0.25ul를 넣어도 괜찮은걸까요?
2. 1 ng/ul = 0.001 ug/ul이라고 하기에 500ng 미만이면 최대 5ul를 넣으면 되는게 맞는걸까요?
3. sterile purified water의 경우 DEPC든 DW든 크게 상관 없다고 하던데 그렇다면 50에서 0.25+5+4+5+1+1 = 16.25(sterile purified water제외) 한 값인 33.75를 water로 사용하면 되는걸까요?
혼자서 알아보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서 도움을 구해봅니다 |
|
유인12 | 04.1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