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defined culture medium을 37도로 데우면 안 되는 이유가 뭔가요? |
|
|
제가 처음 HCnEpC(대장염 세포)를 다루는데 정해진 medium들이 있더라구요 그 중 defined culture medium이 있는데 상온으로 데우고 절대 37도로는 데워서는 안 된다고 되어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thawing medium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데 이전에 세포 배양을 할 때에는 medium을 37도로 모두 데운 뒤 사용했는데 세포 배양 설명서에 thawing medium에 대해서는 데우라는 말이 없어서 데우는 것이 맞는지 확신이 안 드네요ㅜㅜ
|
|
원생093 | 02.08 |
|
Q. |
일반실험실 agrobacterium 구매 |
|
|
일반실험실에서 종양 유전자가 존재하는 Agrobacterium을 구매하고 싶습니다
KCCM에서 agrobacterium 균주를 찾긴 했는데
궁금한게 있어서 여쭙니다
KCCM : 11683, ATCC : 11325, IFO : 13257, DSM : 30148
▷ History
(Agrobacterium rhizogenes): |
|
cosx | 02.08 |
|
Q. |
glycerol 변색 |
|
|
PBS에 글리세롤을 20%되게 넣어 autoclave한 후에 확인하니 노란색으로 변색되었습니다. 원래 둘이 같이 멸균하면 안되나요? 따로 해야하나요?
|
|
대학원생(진) | 02.08 |
|
Q. |
감압추출/농축기 관련한 질문입니다 |
|
|
본 장비가 헥산제거에 가장 효율적인 장비로 알고 있는데
혹시 자연물에서의 추출이 어느 범위까지 가능한가요?
저희는 이종골 이식재를 제조하고 있는데
지질 제거 공정에 헥산을 투습침지로 사용하고 헥산과 지질 모두 제거해서 버
려야 되는데요, 이 감압농축기를 사용시 시료에 데미지를 주거나(뼈가 약해질
가능성) 제거가 안되어 남아있는 경우(다공성이다보니 덜 빠져나온다던가)가 있
을까요?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레드빈라떼 | 02.08 |
|
Q. |
분말 희석 계산 |
|
|
안녕하세요
고형분 90% 분말 20g을 희석하여 0.4% 농도로 만들려고 하는데
구하는 방법 좀 알 수 있을까요?ㅠㅠ |
|
asdkfj2l34 | 02.08 |
|
Q. |
CFU 계산 좀 도와주세요.. |
|
|
안녕하세요
균을 계수를 했는데 이런 경우엔 어떻게 결과값을 내야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g으로 채취한 샘플을 10배 희석해서 1ml을 취해 실험한 결과
10,000,000 CFU/g 나왔습니다.
만약에 표기값이 CFU/2g 일 경우 10,000,000 X 2 = 20,000,000
으로 계산하면 되는건가요?
|
|
egfhty24 | 02.08 |
|
Q. |
당류 분석 중 시료뭉침현상 |
|
|
당류 분석시 현재 녹말종류를 하고 있는데 증류수와 녹말이 73도씨에서 실험한 뒤 식히고 원심분리기에 돌리면 그대로 떡져서 상층액을 추출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떡짐현상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
|
실험잼미니 | 02.08 |
|
Q. |
hypoxia 유도시 cocl2, cocl2 hexahydrate 차이 |
|
|
HEK293 cell에서 hypoxia 상태를 유도하려고 cocl2를 처리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한 논문들 에서는 cocl2 (sigma aldrich) 를 사용했다고 나와있습니다. (catalog 안적혀있음)
실제 검색결과 cocl2, cocl2 hexahydrate 두가지 제품군이 나오는데 hypoxia 실험을 할 때 둘 중 무엇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cocl2 hexahydrate를 사용하였다면 논문에서 material 기재 시 cocl2가 아닌 cocl2 hexahydrate라고 적어놨을까요?)
|
|
Dozmal | 02.08 |
|
Q. |
동결건조 후 Powder 제작 |
|
|
합성을 진행 한 후 동결 건조를 해준 뒤 동결 건조 된 것을 powder 형태로 만들려고 하는데 powder로 만드는 순간 정전기 때문에 로스도 너무 크고 보관하기가 많이 힘든 상황입니다. 혹시 이 처럼 정전기가 많이 일어나는 샘플은 어떤 식으로 powder로 만들어야 하나요..?
제가 합성한 것이 기업에서도 판매를 하는 합성물인데 기업에서 판매하는 것은 powder 형태로 잘 나오는데 어떤 공정을 거쳐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
HSSS | 02.07 |
|
Q. |
MEGA11 |
|
|
혹시 맥북 쓰시는 분들 중에 MEGA 프로그램 사용하시는 분 계시나요?
쓸만한가요?
복사 붙이기가 안된다고 하던데 맞나요?
|
|
슴일곱 | 02.07 |
|
Q. |
실험실 SARS-CoV-2 사용 가능 여부 (PCR) |
|
|
안녕하세요
교수님께서 SARS-CoV-2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자고 하시는데,
실험실에서 SARS-CoV-2를 사용할 때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BL2, BL3)
제가 보기에는 그런것이 전혀 없는 상황인데 SARS-CoV-2를 이용하여 PCR 실험을 진행할 수 있을까요..?
구글링을해도 안전 수칙을 찾기가 힘드네요 ㅠㅠ |
|
세코 | 02.07 |
|
Q. |
western blot 밴드 background  |
|
|
안녕하세요, western blot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대학원생입니다.
western blot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현재 western blot을 여러번 진행하고 있는데, background가 있어서 BSA 농도를 올려서 blocking 과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계속 lane에 따라 backgound가 있으며, marker를 분주한 lane에도 background가 보이는데, 혹시 어떻게 하면 backgound 없이 밴드를 확인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바안지 | 02.07 |
|
Q. |
SDS 겔이 사진처럼 흐리게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
|
위 사진처럼 gel이 흐리게 나와서 APS도 바꿔보고 기계도 바꿔봤지만 계속 너무 흐리게 나옵니다. 문제가 뭔지 정말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전기영동 내리는데 4시간이나 걸리는데 혹시 이것과 관련된 문제라면 어떤 것이 원인인지 또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드리며 삐악이 석사생에게 도움을 주세요 ㅠㅠ |
|
jeansflow | 02.07 |
|
|
Q. |
세포에 오일 샘플 처리 방법 |
|
|
안녕하세요 ! 선배님들
식물 종자유에서 세포 실험중 입니다.
항염증 (NO 생성 억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샘플이 오일이라 DMSO에 녹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농도별로 샘플처리를 하였는데요, 결과가 자꾸 거꾸로 나옵니다.
저농도에서 NO 억제가 가장 좋게 나옵니다. 그리고 결과의 오차가 엄청납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오일샘플이라 잘 섞이지 않아서 오차가 큰건지.. 저농도에서 왜 활성이 더 좋은건지.. ㅠ
지금 반복실험중인데 할때마다 엉망이네요.
논문도 찾아봤으나 저같이 거꾸로 나오는 결과는 없고, 어떤 용매에 희석했는지도 나오질 않아 너무 답답해서 여쭙니다
|
|
쿠이크이 | 02.07 |
|
Q. |
세포동결 시 용기 |
|
|
세포 동결(stocking) 시 질문 있습니다.
제가 배웠을 때는, 세포 동결할 때 cryovial에 넣은 다음, container에서 24시간동안 freeze 후 질소탱크로 옮기라고 배웠는데
제가 동결하다가 그만 vial하고 e-tube와 헷갈려서 사진처럼 생긴 e-tube에 cell line을 동결하고 질소탱크로 옮겼습니다.
혹시, 이거 때문에 세포가 오염되거나 thawing할 때 잘 안자랄 수도 있나요?
만약에, 이게 문제가 된다면 thawing하고 나서 다시 vial에 옮겨줘야 하는지도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펑리수 | 02.0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