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배양받으신 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HEK293cell을 배양(culture)상태로 받으려고 하고있습니다.
한 번도 한국세포주은행에서 세포구매를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t-flask에 배지를 채워서 보내줄 것 같습니다.
일단 한국세포주은행에서 세포를 배양받았을 때 상태가 썩 좋지 않았다는 의견도 꽤 있어서 걱정이 되는데요, 한국세포주은행 측에서 택배를 이틀전에 보냈는데, 택배가 오늘 오후는 되야 올 것 같습니다...
이틀 넘게 아이스박스에 있는 셀들이 괜찮을지 걱정이 됩니다..
혹시 이런 경험이 있으신 분들, 셀이 괜찮았는지 한 번 여쭤보고 싶습니다
|
|
돔돔 | 05.26 |
|
Q. |
시판 PBMC 뭉침 현상 |
|
|
안녕하세요
연구실에서 면역실험 목적때문에 PBMC 를 구매하여 사용해보았는데요, 37도 워터 배스에서 녹인 후 10 % RPMI 에 Cell down 시키면 cell 이 서로 뭉침 현상이 있고 resuspending 이 되지 않습니다. (덩어리가 져서)
그래서 녹인 후 cell down을 하면 wash 도 잘 못할만큼의 aggregation이 생기는데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받은 후 바로 LN2 Tank에 보관했고, 10% FBS가 들어간 RPMI1640에 Cell down 했습니다,, 배지가 안맞는 것인지 써본적이 없어 원인을 모르겠네요..
|
|
enginginel.. | 05.26 |
|
Q. |
jurkat e6-1 t cell activation 급합니다.!!ㅠㅠㅠㅠ  |
|
|
혹시 jurkat e6-1에서 t cell activation 실험해보신 분들에게 여쭤볼게 있습니다.
현재 랩에서 dynabeads를 이용하여 1.2x10^6cells/beads 12ul로 하여 cell : beads ratio를 5:1로 하여 24시간 동안 incubation 후 protein prep을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protein CD25 ab를 붙여서 ecl로 detection 하면 밴드가 전혀 뜨고 있지 않습니다. 혹시 il-2를 처리해주지 않아서 안나오는 걸까요???
beads 처리 후 protein prep전에 aggregation 되는 것은 확인은 했지만, 단백질 detection이 되고 있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제가 사용한 jurkat e6-1 cell line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CELL LINE으로 진행하였고 PASSAGE는 P17일 때, CELL을 SEEDING하였고, beads는 dynabeads treg expander 2x10^7 beads/ml을 2x10^4 beads/ul로 환산 후 10x10^4 beads/5ul-> 5cells : 50x10^4 cells인데 jurkat을 1x10^6으로 진행하고 싶어서 beads 용량을 2배로 늘리고 beads로 인한 cell loss를 생각하여 cell을 120X10^4 cells/ 12ul beads를 처리하고 나서 24시간 후 beads를 제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밴드가 뜨지 않았습니다.
꼭 해야하는 실험이니 해보신 분들께서는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 몰라서 참고한 Protocol 같이 첨부합니다.
|
|
연구원지망생 | 05.26 |
|
|
Q. |
HL-60 배양 중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
|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HL-60 Cell Line를 분양받아 배양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Conical tube에 RPMI1640과 FBS에 담겨서 배송 온 cell을 그대로 petri dish에 부어 CO2 incubator에 넣고 배양중입니다. 그런데,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본 경우 아무리 봐도 논문이나 ATCC에 수록된 Cell의 사진과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광학현미경의 배율을 바꾸어 보아도 똑같은 image가 보이고,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습니다. 항상 아래 첨부한 사진과 같게 나타납니다.
혹시 현미경 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Cell의 Condition에 문제가 생긴 것인지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관찰은 액체배지가 든 petri dish 그대로 재물대에 올려 관찰했습니다. 미숙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배지에서자란새싹 | 05.25 |
|
Q. |
DPPH 시료 색 관련 질문드립니다!! |
|
|
항산화 기능 식품 첨가량을 다르게 한 발효주를 제작한 후 항산화 기능 측정을 위해 DPPH를 측정하려고 하는데요 시료 색이 너무 진해서 값이 부정확하게 나옵니다
시료는 4000rpm에 20분 원심분리(최대 rpm이 4000까지 밖에 설정을 못하네요.....) 후 상층액을 취해 사용했으며 control에는 70% EtoH을 사용했습니다. control+DPPH용액, 시료+DPPH용액을 측정했습니다. 첨가량이 많을수록 시료 색도 진해지고 흡광도도 더 높게 나오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전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
|
모라요 | 05.25 |
|
Q. |
시린지를 밀어주는 압력 측정 |
|
|
안녕하세요.
Repligen 사의 microkros를 이용한 Tangential Flow Filtration을 하고 있는데요,
이 기기는 다음과 같이 두가지 방법으로 시료를 넣어줄 수 있습니다.
1) PUMP 이용
2) SYRINGE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밀어주기
펌프를 이용 할 경우 최대 2 bar 압력까지 사용 할 수 있는데요,
시린지를 직접 끼워 사용 할 경우 손으로 밀어야 하니 압력을 직접 조절 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1) 시린지를 밀어서 액체가 나올 때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이 있을까요?
2) 시중의 peristaltic pump들의 경우 대부분 분당 몇 ml, μl 밀어준다 이런 식으로 부피 기준으로 투여량을 조절하는 기기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압력 단위로 밀어주는 syringe pump가 있을까요?
|
|
잔망루피. | 05.25 |
|
Q. |
약물의 dialysis bag (cellulose membrane) 통과 .. 제발 도와주세요!! ㅜㅜ |
|
|
Dexamethasone palmitate 를 가지고 dialysis bag release 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Release medium을 1% Tween80 PBS부터 50% EtOH PBS 까지 정말 여러번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기존 in vitro release test 에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Dialysis bag (1, 3-4. 6-8. 10kD 등등 다양한 pore size 로 모두 시도해보았습니다.) 을 약물이 전혀 통과하지 못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논문들에서도 Dexamethasone palmitate 약물의 in vitro release 실험 자체를 진행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혹시 약물과 membrane사이에 interaction이 있어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까요? 그렇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해야 방출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비슷한 경험을 해보셨거나, dialysis bag method 가 아닌 방법으로 약물 방출 시험을 진행해보신 분이 계시다면 어떻게 진행하셨는지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ㅜㅜㅜ |
|
bymbym | 05.25 |
|
Q. |
MIC contamination 문제 |
|
|
MIC 실험 중입니다.
사용하는 균은 E.coli입니다.
그런데 요즘 계속 초록색으로 contamination이 발생하여 Macconkey 배지에 키운 후 pseudomonas contamination이 없음 확인 후 재실험 하였습니다.
그런데, 또 연두색으로 배지가 변하네요.
이상한 점은
배지만 있는 것, 항생제만 있는 것, 원액균만 있는 것 모두 contam이 없는데 원액균에 항생제 처리한 well만 연두색으로 변했습니다.
이유가 도대체 뭘까요 ㅜㅜ
|
|
pjy25n | 05.25 |
|
Q. |
코로나-19 진단키트 허가  |
|
|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식약처 허가를 앞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진단키트의 간섭물질 농도 선정기준을 어떤식으로 해야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농도 선정기준에 대한 관련 문서나 서적이 있을까요??
|
|
옆엽 | 05.25 |
|
Q. |
세포 배양시 CO2 조건 |
|
|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보통 셀을 배양시 5% CO2 조건으로 해서 인큐베이터 키우는 것로 알고 있는데 이때 CO2 조건을 높이것나 낮추면 어떤 현상이 발생 하는지에 대해 고수 선생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일어나 실험해야지 | 05.25 |
|
Q. |
Western blot background 관련 질문 드립니다.  |
|
|
갑작스럽게 웨스턴을 하게 된 초보자입니다.
첨부한 사진과 같이, 밴드와 함께 background가 세로로 길게 나타나서
band가 선명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mouse 근육조직을 보고있구요,
biosesang사 blocking buffer 사용중이고
1차 항체는 1:1000 (mouse mab)
2차 항체 1:5000
워싱은 10분씩 3번
ECL은 femto 사용하고있습니다.
장비는 chemidoc입니다.
원인이 뭘까요? 2차 항체 농도 때문일까요?
|
|
Brady | 05.25 |
|
Q. |
마우스 실험 질문-기초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이번에 처음으로 마우스 실험을 시작하는 대학원생입니다.
우선 마우스를 받기는 받았는데 처음 하는 일이기도 하고, 찾을 수 있는 정보도 적어 도움을 받고자 질문을 드립니다. 너무 기본적인 내용을 여쭈게 되어 부끄럽기 그지 없으나 도움을 주신다면 몹시 감사드리겠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에 사용하는 마우스는 되도록이면 같은 mating cage에서 같은 시기에 태어난 마우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들었는데, 그럼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마우스의 조직은 실험에 사용을 못하는건가요...?
그리고 보통 마우스를 몇주령 정도부터 실험에 쓰기 시작하나요..? 논문들을 보면 어떠한 약물 주사나 식단 조절 등 실험조건을 변경하는것은 6~9주쯤이고 15~16주쯤에 sacrifice하는 것 같은데 옳게 알고있는지 궁금합니다.
도움주시는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
|
깨꾹깨꾹 | 05.25 |
|
Q. |
이건 어떤 프로그램으로 돌린걸까요? |
|
|
안녕하세요. 엑손 양 옆에 있는 인트론 두개 사이에 palindromic한 서열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오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은데요. 어떤 프로그램인지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 ㅠ
우선 EMBOSS palindrome은 아니고,,, 다른 프로그램 뭐가 있나요?
|
|
bioer | 05.25 |
|
Q. |
Suspension cell 배양에 T flask를 사용하는 이유 |
|
|
간단한 질문인데 구글링을 해봐도 명확한 답을 찾을 수가 없어 질문 드립니다.
Suspension cell을 키울 때 T flask에 키우는 이유가 있을까요?
(부착 cell의 경우 cell수를 많이 늘려줄 때 쓴다라고는 알고 있습니다.)
T flask도 TC treat 된 것도 있고 안 된 것도 있는데
TC treat된 걸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
|
비타구미 | 05.25 |
|
Q. |
cell line 서치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대학원 준비중인 학부생 입니다.
저희가 BRCA1/2 mutation 이 있는 breast cancer cell line 을 찾고 있습니다.
해당 세포주로 약물실험을 할 예정입니다.
BRCA1/2 mutation 만 있는 세포주를 찾아보고 있는데요.
ATCC 에서도 찾아보고 cosmic 에서도 찾아보고 여러 논문도 찾아보고 있는데요,,
ATCC 에서 cell별로 mutation 이 나와있는 data sheet 를 다운받아서 확인해 보았는데 그 data sheet 에는 없다고 나와있는 mutation 이 cosmic 에는 있다고 나오고,
cosmic 이랑 cosmic cell line project 에서 검색한게 각각 다르게 나오고
(cosmic 에서는 없다고 뜬 mutation 이 cell line project에서는 찾아집니다.)
논문에는 BRCA1/2 mutation 이 있는 cell line 으로 소개되어 실험됬던 cell line 이 ATCC data sheet 에는 mutation 이 해당 cell line 에는 없다고 나오고, cosmic 에서는 있다고 나오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구요..
해서 질문드릴 내용입니다.
선배님들은 주로 원하는 mutation 이 있는 cell line 을 찾을때 해당 정보들을 전부 종합해서 ATCC 든 cosmic 이든 논문이든 어느곳에 하나라도 있으면 있는것이라고 생각하고 주문을 하시나요..?
ATCC 에서 cell 을 주문을 할건데 ATCC 에는 있다고 나와있지 않은 mutation 이 cosmic 에는 있다고 나오고, 몇몇 논문에서는 그런 cell line 들을 해당 mutation 을 갖고있는 cell line 으로 실험을 하기도하고, 몇몇 논문에서는 해당 mutation 이 없는 cell line 으로 해서 control 군으로 쓰기도 해서요..
ATCC data sheet 에는 없는데 그냥 있다고 생각하고 주문을 해도 될지..
고민입니다..
|
|
초초초초초보 | 05.2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