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scratch assay proliferation |
|
|
scratch assay를 해서 proliferation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FBS를 low level dmem을 상용해야하나요? 일반적인 증식용 media를 쳐서 대조군과 증식 속도를 비교할 순 없을까요?
|
|
별헤는밥 | 03.13 |
|
Q. |
confocal microscopy 질문 |
|
|
안녕하세요.
저희 랩에 이번에 confocal 현미경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INCell 1000(GE) 모델을 사용했는데 고장나서 수리하려고 하니
서비스 기간이 끝나서 수리가 안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confocal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어떤 모델이 좋을까요?
자이스 LSM 800 모델을 보고 있긴 한데, 괜찮을까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조사에 그나마 최근 모델이라 괜찮을 것 같아서요.
대부분 대학교랑 공동기기실이에 자이스가 많더라구요.
실제 사용하는 실험자 입장에서 어떤 제품이면 좋을 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잠시만... | 03.13 |
|
Q. |
HPLC를 이용한 분배계수및 용해도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
|
|
현재 HPLC를 이용해 분배계수를 측정하고 여러가지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분배계수를 측정하고 있는데 보고서에 '옥탄올과 물이 HPLC 검출 한계 이하로 분산되는 것으로 측정 되어 옥탄올, 물은 분배 계수를 측정 할 수 없다.' 라고 하는 뜻은 물과 옥탄올에 용해되지 않는다 라는 뜻으로 해석 하면 되나요? 친수성도 소수성도 아니다 ? 그렇타면 혹시 다른 용매를 사용해 분배계수를 측정 해야 하는건가요 ??
|
|
융융11 | 03.13 |
|
|
Q. |
세포 약물처리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석사 재학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이번에 세포 실험을 진행하게 되어 여성 태반에서 추출한 무한 증식이 가능한 세포에 프로피온산 나트륨이랑 아세트산 나트륨 두 가지 물질을 처리하려고 하는데
프로피온산 나트륨이랑 아세트산 나트륨을 희석하기 위한 용매 선정과 희석 농도에 선정에 대해 어려움이 있어 도움받고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여러 논문을 참고해 본 결과 이 두 약물을 처리하는 이유가 방부제 역할로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 외 다른 이유도 존재하나요?
그리고 이 약품들을 어느 용액에다가 몇 퍼센트 농도로 희석해야 할지 논문을 계속 찾아보는 상태인데 물이나 에탄올 등에 대한 용해도에 대한 정보만 존재하고 희석 농도에 관련된 정보는 찾을 수가 없었으며, 관련 논문을 찾는 것조차 쉽지 않습니다...
혹시 참고할 만한 논문이나 이에 관련된 실험 지식 조언 좀 얻을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
미미니 | 03.13 |
|
Q. |
백신 |
|
|
로타바이러스 생백신이 1가와 5가 총 2가지가있는데,
1가를 맞으면 5가를 맞지 않아도 되는건지 문득 궁금합니다.
분명 두 개가 다른백신이니 두 개다 맞아야 모든 혈청군에대해 보호받을 수 있는게아닌지요? 예를들어 1가를 맞았다면 5가를 맞는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건지... |
|
happylove9.. | 03.12 |
|
Q. |
마우스 경구투여 용매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석사 재학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이번에 마우스 실험을 진행하게 되어 실험 물질을 경구투여하기 위한 용매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도움받고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녹여야 하는 샘플은 메톡시플라본과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의 물질입니다. (두가지 모두 녹일 수 있는 용매)
Saline에 녹지 않고 EtOH나 DMSO에 녹고, 논문 참고해보니 Propylene Glycol, DMSO, DW를 혼합하여 만든 용액에 녹여 투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경구투여한 논문들은 약동학 확인을 위한 단일 투여지만, 몇주간 장기 경구투여를 진행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마우스에게 발생할 독성과 영향이 우려됩니다.
마우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녹이기 위해서는 어떤 용매에 용해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석사병아리 | 03.12 |
|
Q. |
mRNA로부터 합성한 cDNA를 다시 template으로 해서 cDNA 합성해도 되나요? |
|
|
안녕하세요 항상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요즘 RT-qPCR 실험을 계속 수행하고 있습니다.
mammalian cell에서 RNA를 추출한 후, oligo dT primer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구요 (약 800ng/μL의 농도로 20μL 얻음)
그렇게 얻은 cDNA를 template으로 qPCR 수행합니다. (튜브당 0.5μg 사용)
그런데,, qPCR 장비에 문제가 생겨서 여러 번 샘플을 날렸습니다ㅠ
중요한 샘플인데 얼마 남지 않아서,, 혹시 이걸 template으로 다시 cDNA를 합성해도 타당할지 궁금해졌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cDNA 안에는 Gapdh 도 있고 기타 여러 interested gene들의 cDNA가 일정 비율로 혼재되어있을텐데요
이걸 template으로 다시 cDNA로 합성하면, 그 안에 있던 여러 종류의 cDNA들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증폭되지 않을까요??
Cell 다시 키워서 RNA 다시 뽑으면 되긴 하는데,, 귀찮음 보다는 material 을 아끼기 위함이 큽니다 ㅠ.. cell culture 할 때 사용하는 cytokine이 많이 고가여서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
크리스12 | 03.12 |
|
Q. |
Serial dilution 농도 |
|
|
안녕하세요. 검체로부터 발생하는 최대한 많은 종류의 균을 배양하려고 하는데, 이때 Serial dilution 시에, 저는 이렇게 하려고 합니다.
10ul의 액체배지를 990ul의 증류수에 주입&볼텍싱 - 거기서 또 10ul를 따서 990ul의 증류수에 주입&볼텍싱 - 4번 반복한 뒤 고체배지에 평판도말.......
할려고 하는데 아무리봐도 농도가 너무 낮은거 같아서요. 이래도 될까요?
다른 분들 보니, 10ul:증류수 90ul 정도로 하시는 것 같던데, 둘 중 뭘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이게 딱히 매뉴얼도 없고, 그냥 생*나라에서 액체배지 중에 PC broth로 하는 실험이라......... 적정 농도가 어떻게 될지 막막하네요.
참고로, 균수 계산이 목적이 아니라, 그냥 한 번만 도말해서 거기 어떤 균이 있는지 보고 싶은 겁니다. 그런데 농도를 어느정도로 해야 될지 모르겠네요.
|
|
jaehunjeon.. | 03.12 |
|
Q. |
평판도말 시 |
|
|
미지의 여러 종이 섞인, 즉 혼합 균주를 PC broth 액체배지에 배양한 뒤 BHI 고체배지에 평판도말하여 동정하려고 하는데, 이래도 문제 없나요? 목표는, 검체에 포함된 모든 균 중 최대한 많은 부분을 확보하고 동정하는 겁니다.
|
|
jaehunjeon.. | 03.12 |
|
Q. |
mini prep |
|
|
mini prep 당시 protocol에 따라 진행하였습니다.
Resuspension buffer를 넣고 lysis buffer를 넣어서 sticky해진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문제는 여기인데요. Neutralization buffer를 넣어 cloudy된 것을 확인 후 centrifuge 하고 상층액을 따려고 했는데 sticky 하였습니다. 그래서 centrifuge를 protocol보다 더 over해서 돌렸으나 여전히 sticky해서 상층액을 따려고 해도 pellet이 딸려옵니다. 혹시 buffer에 추가되어야 하는 것이 있거나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설명해주실 분 계실까요? |
|
베베이 | 03.12 |
|
|
Q. |
suspension cell culture |
|
|
안녕하세요.
suspension cell culture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K562 cell culture 준비 중입니다.
adhesion cell culture 에 사용되는 cell culture plate 에서 suspension cell culture 해도 괜찮을까요?
|
|
나의라임오렌지나무 | 03.11 |
|
Q. |
박테리아 배양 실험 실패의 이유가 뭘까요...  |
|
|
담수와 정제수를 일정 비율 혼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실험을 위해 받은 플레이트 뚜껑에 습기가 차 있었지만 배지는 굳어있어서 바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배지 테스트를 위해 박테리아만 스프레딩한 배지는 결과가 잘 나왔지만
혼합샘플은 배양된 박테리아 수가 너무 적네요ㅠㅠ
( 실험 후 다음 날은 거의 보이지 않았고 두번 째 날은 2~3개의 원형 관찰)
혼합샘플 - 담수 100 μL + 정제수 900 μL
담수는 강물을 사용하였습니다!
|
|
어보구 | 03.11 |
|
Q. |
mini prep purity |
|
|
mini prep의 순도가 1.8 이하일 때 , 1.9 이상일 때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 세포벽, 세포막 파괴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일까요 ?? |
|
원지지 | 03.11 |
|
Q. |
DMEM 배지 섞어도 되나요? |
|
|
큰 통의 DMEM에 FBS와 항생제를 섞어서 각각 분주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DMEM serum free만 엄청 남게 되었는데요....
DMEM은 계속 같은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 다른 날짜에 분주했지만 뚜껑을 열거나 사용하지 않았던 배지들을
섞어서 FBS와 항생제를 타서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
|
차몬드 | 03.11 |
|
Q. |
일반배지콜로니  |
|
|
일반,곰팡이 고체배지에 어떤시료를 도말했는데요 처음보는 콜로니가 나왔어요;; 사진은 일반배지인데 곰팡이배지도 마찬가지로 콜로니가 똑같이 생겼어요 혹시나 어떤콜로니인지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ㅜㅜ
|
|
응쟈 | 03.11 |
|
Q. |
cell thawing |
|
|
안녕하세요.
cell thaw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K562 cell stock 을 RT 에서 천천히 녹인 후 culture plate 에 깔았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천천히 녹이게 되면 ice crystal 로 인해서 cell 이 죽게 된다고 들었는데 plate 에서 cell 이 잘 자란다면 괜찮은걸까요?
|
|
나의라임오렌지나무 | 03.10 |
|
Q. |
미지의 혼합균 배양 |
|
|
안녕하세요. 미지의 시료로부터(사육장 벽면 같은 곳) 미지의 조성을 가진 균들을 면봉으로 채취하여 면봉을 통째로 액체배지에 넣어서 배양한 뒤 최대영양고체배지에 다시 옮기면 거기 있는 거의 모든 균들이 배양이 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jaehunjeon.. | 03.10 |
|
Q. |
액체시료 희석 ppm 여쭤봅니다!! |
|
|
액체시료 원액 100프로라고 가정하고 500ppm 만들려면 어찌해야할까요
고체시료는 1mg /1ml 이 1000 ppm인데
액체는 1마이크로리터/1ml 이 1000ppm 맞을까요? |
|
ehdjfkgkck.. | 03.10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