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논문 figure 해석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
|
figure 아래에 The data are represented as mean±s.e.m. N=6–8,
*P<0.05 (two-tailed Student’s t-test). 이렇게 적혀있는데 그래프를 어떻게 봐야하는걸까요? 아래 그림에 달린 문장입니다.
|
|
HuiJ | 01.12 |
|
Q. |
Sigma 효소 제품 unit 관련 질문입니다! |
|
|
Sigma사 P3111(50ML) Protease from Bacillus sp.를 구매하였습니다.
제품 자체가 liquid이며, mL당 단백질(protease) 함량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Specific activity ≥16 U/g로 표기되어 있던데, mL당 몇 unit인지 궁금합니다.
16U/g가 일반적인 16U/g(효소 g당)이 아니라 16U/g(liquid 시약 자체 g당)으로 봐야하는 건가요?
기재된 다른 정보에는 찾을 수가 없어 여쭤봅니다!
관련 링크 : https://www.sigmaaldrich.com/KR/ko/product/sigma/p3111
|
|
알려주세요. | 01.12 |
|
Q. |
Flag tag gene 확인하는 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Flag tagging된 protein을 연구하고 있는데
실험실 내에 이미 만들어진 Flag X(protein) vector가 있더라구요
근데 Transfection 시 Flag도 안뜨고 Protein도 차이가 없어서
Vector에 문제가 있는지 sequencing을 하고 싶은데
(물론 Transfection의 문제가 있을 수 있음)
Vector transformation 후 miniprep하여 protein에 관해서
sequencing을 요청했을 때, 맞는 결과를 얻었는데,
혹시 Flag를 sequencing 요청할 수 있나요??
그렇다면 primer를 어떻게 짜야 할까요??
|
|
수끼리 | 01.12 |
|
Q. |
ICR mouse의 순환교배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
|
|
안녕하세요.
Mouse의 순환교배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순환교배에 대해 자세히 나오지 않아 질문 올립니다.
혹시 순환교배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실까요?
(Random 교배에 대해서 같이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EHu | 01.12 |
|
Q. |
C9orf72 혹은 FMR1 의 repeat seq을 분석 해주는 회사가 있을까요? |
|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ALS의 유전형으로 알려진 C9orf72 유전자 내 GGGGCC repeat seq과 FXS의 유전형으로 알려진 FMR1 유전자 내 CGG repeat seq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PCR방법으로는 detection이 불가하여 회사측을 통하여 정확한 repeat이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이를 분석해주는 회사가 있을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
|
|
도비가공짜 | 01.12 |
|
Q. |
웨스턴 타겟 단백질, 하우스 키핑 단백질을 하나의 필름에 현상 |
|
|
웨스턴 시 타겟 단백질과, 하우스키핑진을 꼭 같은 필름에 현상해야하나요?
타겟 단백질의 발현이 매우 낮은 경우 길게 exposure해야하는데 그럼 하우스 키핑 단백질이 너무 두껍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하우스 키핑 단백질을 다른 필름으로 확인한 뒤 타겟은 더 길게 exposure해서 타겟단백질/하우스키핑 단백질 로 계산해서 control cell과 exp cell을 비교하는데 이렇게 하면 잘못 된건가요?
|
|
별헤는밥 | 01.12 |
|
Q. |
protein A가 protein B dependent하게 protein C를 조절하는것을 증명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
|
1. Protein A가 protein B를 downregulation 시킨다.
2. Protein B가 protein C를 downregulation 시킨다.
위 두가지를 전제로 했을 때
3. Proetein A가 Proetein C를 upregulation 시킬 때, protein B에 dependent하게 up 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려면 어떻게 생각을 해보는게 좋을까요?
두개가 up / down 이런식으로 반대 역할을 할 때는 생각하기 쉬웠는데 이렇게 down / down 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보는데 쉽지 않네요 ㅠㅠ
혹 이런 경우를 연구한 논문이나 괜찮은 실험 방법이 있다면 공유나 힌트라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
Dozmal | 01.12 |
|
Q. |
FTIR |
|
|
FTIR로 처리 전 후 C-N등의 결합의 강도가 얼마나 바뀌었는지 등을 관찰하고자 하는데 액체시료로 하려고 합니다. 알아보니까 다른 전처리가 필요없는것으로 생각되는데 FTIR을 시료를 의뢰맡길려면 따로 전처리를 해야하는게 있을까요?
|
|
짱이되고싶어여 | 01.11 |
|
Q. |
siglecf? |
|
|
siglecf가 뭔가요? 무슨 역할을 하는 건가요
|
|
남홀 | 01.11 |
|
Q. |
혼합물의 농도 |
|
|
논문에서 1mM/L * 용액을 같은 부피의 1mM/L **용액과 혼합함.(참고로 몰비율 1:1로 혼합하였습니다)
이라고 되어있어서 둘을 혼합하여 총 2L의 0.5mM의 용액을 얻어냈어요.
//이부분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그래서 이 0.5mM의 용액을 희석한다면 0.1mM및 0.3mM의 용액도 얻을 수 있다는 것까지 이해하였습니다.
그럼 0.7mM 및 0.9mM의 용액은 어떻게 계산하여 얻어야 하는 건가요?
|
|
짱이되고싶어여 | 01.11 |
|
Q. |
세포 현탁액 |
|
|
세포 현탁액을 얻으려고 하는데 adherent cell도 현탁액을 얻을 수 있나요?
|
|
커아 | 01.11 |
|
Q. |
CFSE staining 도와주세요ㅠㅠ |
|
|
epithelial cell line 이용해서 CFSE staining 하고 있는데요..
보통 CFSE를 T cell에 stimulation 주고 proliferation 되면 peak가 여러개로 뜨는 걸로 알고있는데
분명 cfse staining 후 peak는 잘 뜨는데 culture 후에 peak가 intensity가 낮은 쪽으로 이동은 하는데 여러개로 나눠지지가 않습니다..
이게 세포 특징으로 생각해야하는건지.. 아니면 T cell 처럼 stimulation 주는게 없어서 그런건지 잘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epithelial cell은 잘 이용 안하시는거 같더라구요 혹시 cfse는 T cell이 아닌 다른 세포에서는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
|
ahhhy | 01.11 |
|
Q. |
바다(환경) 샘플링 신청, 절차, 요구 사항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외부 샘플링과 관련하여 질문드리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저는 분자 실험에 매진중인 박사 과정생입니다. 학위를 준비하는 중 실험실에서만 진행하는 실험 결과에 한계를 느껴 환경 샘플링 후, 실험 및 분석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다만, 제가 위치한 연구실 역사상 바다 샘플을 나간 경험이 없어 신청 절차 또는 과정에 대해 무지합니다.
연안에서 200~500m 떨어진 항구, 만 또는 양식장 근처의 해수 샘플링(2~3L)이 필요합니다. 낚시 배라도 타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다른 연구자 선배님들께서는 어떻게 샘플링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또, 근처에 연구소가 있어 지원 요청을 드리거나 공문을 보낼때는 전화, 메일, 공문 등 어떤 절차를 거쳐 요청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
팡 | 01.11 |
|
Q. |
실험결과 해석부탁드릴게요  |
|
|
1레인에 1Kb
2레인에 100 베이스페어
3456레인에 플라스미드라고 추정되는 것들을 로딩하여 전기영동한 결과입니다.
결과 해석 부탁드릴게요...
|
|
| 01.11 |
|
Q. |
플라스미드 전기영동 후 결과 질문  |
|
|
사진은 플라스미드 추출 후 전기영동한 사진입니다. 맨 끝에는 농도가 다른 bp이고, 가운데는 pGLO로 끌어낸 gm109입니다. bp가 10000보다 위에 놓여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플라스미드 크기가 크다는 의미인가요?
|
|
Restoria | 01.11 |
|
Q. |
Stock된 Ecoli cell의 DNA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
|
Ecoli에서 단백질 발현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Cloning 중에 50% glycerol을 1:1 비율로 넣어서 스탁을 만드는데,
언제부턴가 보관 기간을 막론하고 스탁을 키워서 prep 하면 DNA band가 나오긴 하나, 확연히 연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발현용 cell line 스탁은 기존에 잘 되던 것들인데도 단백질 발현이 안되고 있습니다.
원인을 찾고있는데 glycerol이 contamination 되어도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그리고 다른 이유가 무엇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
딸기마루달래 | 01.11 |
|
|
1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