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cetrimide agar에 glycerol 불순물  |
|
|
이번에 cetrimide agar를 구입했습니다.
아가 파우더 넣고 멸균 전에 글리세롤을 주입하는데,
50도까지 식히고 페트리디쉬에 분주하니, 첨부한 사진과 같이 불순물이 보이더라구요...
아무래도 글리세롤이 아닐까 싶은데..
글리세롤 주입하고 핫플레이트에서 충분히 교반해야 했을까요?
아니면 멸균 후에, 조금 뜨거운 상태에서 분주해야 했을까요ㅠㅜ??
원래 글리세롤 넣는 아가는 이런식인가요..??
|
|
꾸러어어 | 05.18 |
|
Q. |
caco-2 투과도 문의 |
|
|
안녕하세요. 투과도 문의 드립니다.
투과율 계산 시
Paap=dQ/dt x 1/A xC
이렇게 되어 있는데 dQ/dt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혹시 계산법을 알고 계신 분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예시로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아무리 봐도 몬말인지 모르겠어서요 ㅠㅠ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초심자 | 05.18 |
|
Q. |
staphylococcus aureus 검출 키트에 대한 문의 드립니다. |
|
|
우선 검출 키트를 사용하는 목적은 wild type의 S.aureus를 추출하였을 때 대략적인 농도를 알수 있도록 standard curve를 완성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농도가 10^8로 동결건조된 S.aureus를 사용을 하는데, 동결건조 상태의 파우더를 바로 nuclease freewater에 넣으면 안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sample DNA를 만들 때, 정확하게 농도를 알고있는 S.aureus의 Sample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PCR에 지식이 부족해서 말이 매끄럽지 않을수 있는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
|
그레나딘시럽 | 05.18 |
|
Q. |
리스테리아균 판독  |
|
|
안녕하세요
실험실에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균 정성실험(*가공식품)진행하였는데 제가 알던 리스테리아균이 아니라서요..
양성이라하여야하는지 음성이라하여야하는지 혼동이 됩니다.
배지에 곰팡이 같은 균들이 있어 자체 오염인것은 같은데..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저는 음성인 것 같기는한데 정확한 확신을 못가지겠네요ㅜ 이런 경우는 처음봐서ㅠㅠ
|
|
밍꾸 | 05.18 |
|
Q. |
Elisa 실험관련 질문입니다. |
|
|
단백질 생산후 ELISA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background 값이 높게 나오더라구요
ELISA 진행시
1xPBS로 antigen 희석하여 coating
1xPBST (0.05% Tween 20) + skimmlik로 blocking
sample , 2nd antibody 분주
1XTBST(0.05% Tween 20) 으로 washing
TMB 분주 합니다.
결과값이 안정적으로 나오다가 갑자기 background 값이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ELISA 진행 할때마다 buffer 도 새로 바꾸어 주었고, washing 장비도 전날
70% EtoH로 청소 합니다.
각 ELISA에 사용하는 buffer 도 확인해보았는데.. 정상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한 3주째 이문제로 씨름 중입니다ㅠㅠ
어디서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ㅠㅠ
|
|
mito59 | 05.18 |
|
Q. |
HL-60 cell 실험하신분들 질문있습니다! |
|
|
선생님들..
HL60 cell을 분양받아서 stock을 풀어 subculture를 하는데,
cell이 너무 늦게 자라는것 같습니다. 일주일에 한번 subculture를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media change 제외)
저는 지금 RPMI + 15% FBS + Penicillin 으로 medi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10% FBS로 사용했지만, 너무 cell이 안자라서 5%를 추가적으로 넣었는데, 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culture dish는 100pi dish에서 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flask에서 해야되지만, 첫 부유세포라 flask가 없어 100pi에 subculture를 하고 있습니다.
incubator 청소도 자주 해주며, 온도와 CO2농도를 calibration하여 37도 에 5%으로 설정되있습니다.
혹시 HL-60 cell로 실험하셨던 분들이 계시다면, 팁이라도 부탁드리겠습니다. ..
|
|
Flb | 05.18 |
|
Q. |
낮은 ph에만 녹는 물질, 나중에 중화시키면 어떻게 되나요? |
|
|
안녕하세요,
pH 2.5 정도에 녹는 물질이 있는데 이걸 1차적으로 HCL solution에 녹이고
이후 NaOH solution으로 pH 7로 맞추게 되면 염인 NaCl 이 생기는건 알겠는데 제가 녹인 물질이 다시 결정화 되는건가요?
물질이 비싸서 연습을 해볼 수가 없네요..
|
|
기웃기웃 | 05.18 |
|
Q. |
고압멸균기 문제,, |
|
|
배지를 만들기 위해 고압멸균기를 121도 15분으로 설정하고 돌리는데, 특정온도에서 더이상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데,,,
이건 무슨 문제인가요,,,?
그리고 offset 온도? 이건 몇도로 맞춰나야하나요?? |
|
라라요 | 05.18 |
|
Q. |
ADSC cell counting할 때 세포 수가 너무 적습니다. |
|
|
ADSC cell viability를 보기 위해 cell counting을 하는데 4칸 평균 5개 밖에 안 나옵니다.
confluency 70%에서 진행했고 배지는 DMEM입니다.
배지 제거 - PBS 2회 세척 - incubator에서 TE 2ml 2min.(cell 다 떨어진거 확인함) - centri. 1100rpm 3min. - 배지 1ml에서 pipetting 후 10ul만 따서 cell counting(전에 cell counting했을 때도 cell 수가 너무 적어서 희석/염색 안 함)
희석/염색도 안 했는데 cell 수가 너무 적어서 막막하고 어디서부터 잘못됐는지 짐작이 안 갑니다.
그리고 원래 ADSC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자라나요
제발 도와주세요ㅜㅜ
|
|
으드히 | 05.18 |
|
Q. |
ECL 반응 시간 |
|
|
western blot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ECL를 뿌려 band를 확인하는데, 보통 1분 해보고 약하면 2-4시간, 많이 약하면 overnight까지 노출시킵니다.
아무래도 ECL를 뿌린 직후가 신호가 강하지 않을까 싶어 요즘은 짧은 시간을 보지 않고 X-ray film을 두 장 겹쳐 장시간 노출한 뒤 확인합니다.
보통 장시간 노출을 할 때는 2시간 이상 합니다.
그런데 효소 반응이다보니, 2시간이나 4시간이나 overnight나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은데 혹시 ECL 반응 시간이 얼마나 가는지 아시나요?
효소반응이다보니 30분이면 반응이 끝난다는 내용도 보았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굳이 몇 시간 또는 overnight까진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이에 대한 내용이 찾기 어려웠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D
+) ECL은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
차몬드 | 05.18 |
|
Q. |
약물 dmso 용해 후 pbs 희석 시 석출 |
|
|
안녕하세요.
mouse ip를 위해서 약물을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DMSO 농도를 최대한 줄여보려고 PBS에 희석하려합니다.
drug 4mg에 DMSO를 100ul 넣고 녹인 후 PBS를 넣으면 바로 석출이 일어나더라구요
이 경우가 DMSO가 너무 소량이라 그런건가요?
아니면 대체할만한 용매가 있을까요?
mouse 17g 기준 100ul 씩 injection하려면 DMSO가 ul까지 안전할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asdd221 | 05.18 |
|
Q. |
EC건조필름배지 검은색균 |
|
|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EC건조필름에 10^1 희석하여 배양시
기포없이 검은색 형태가 나타났습니다.
기포가있고 검은색(푸른색)이 나타나면 대장균이라고 하는데,
기포없이 검은색이면 어떤건가요?
희석배수를 추가하여 배양하면 대장균으로 나타날 수 있나요?
|
|
달두 | 05.18 |
|
Q. |
SW480 계대 |
|
|
SW480 셀을 키우고 있는데 edta를 이용해서 떼어내다가 너무 안떨어져서 스크래퍼로 긁어서 계대배양 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 |
|
석사감옥 | 05.18 |
|
|
Q. |
오래된 PFA fixed frozen tissue protein degradation 관련 질문 |
|
|
저희 실험실은 파라핀 섹션으로 안하고
cryosection으로 절편을 만들어서
glycerol, ethylene glycol 등으로 만든 solution에 담궈서
4도에서 장기 보관하고 있는데요.
몇년된 조직도 염색은 어느정도 잘 되긴하는데
혹시, enzyme 관련한 단백질들 같은 경우는 분해되는지요?
DAB staining을 하기 위해서 endogenous peroxidase를 없애기 위해
인위적으로 과산화수소수 3%를 처리하는 작업을 거치잖습니까?
이때 효소랑 반응해서 거품이 보글보글 나오는데
이게 한 2,3년 지난 조직 갖고 염색하려고 처리하면 거품이 안생기더라구요.
혹시 enzyme protein 같은 경우에는 분해되거나 inactivation되거나 할 수 있을까요? 현재 논문 때문에 조직염색을 해야하는데 새로 실험할 여유가 없어서 예전에 잘라둔 조직에서 다시 염색을 하려고하는데 제가 염색하려는게 enzyme이라서... 작년에 실험해둔 마우스 조직에서는 찐하게 염색 잘되는데
이번엔 듬성듬성되가지구...혹시나싶어서 여쭤봅니다...ㅠㅠ
|
|
토라 | 05.17 |
|
Q. |
qPCR 트러블슈팅 중입니다만 풀릴 기미가 안보입니다ㅜ  |
|
|
qPCR 결과에서 지속적으로 컨트롤군이 낮게 나타납니다..사진 첨부했습니다
실험실에 나노드롭이 없다보니 정량을 하지 못하고 그냥 실험 들어가라고 하더군요.. (박사님도 나노드롬 없는게 이해 안되는 눈치신데 교수님과 랩장님은 주문한지 오래됬는데 아직 배송이 안되서 그렇다고 하십니다.)
어쩔때는 결과 그래프가 예쁘게 나오는데 10번 중 8번은 이렇게 나타납니다ㅎ;
이렇게 나타난 이유가 RNA 농도 차이가 나서 그런걸까요? 정량을 할 수가 없으니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RNA prep후에 건조하는데 건조가 끝난 시점에서 튜브 내에 분홍색 액체가 들어있었는데 페놀 성분이 섞여들어온건가요?
이게 문제라면 순도가 낮아져도 이런 그래프가 나타날 수 있나요?
|
|
까아악 | 05.17 |
|
Q. |
Thiolated sodiuym alginate |
|
|
sodium alginate에 thiol group을 붙이기 위해 thioglycolate acid를 반응시켜 Thiolated sodium alginate를 만들었습니다. 그냥 sodium alginate는 cacl2와 반응하여 beads 생성이 원활하게 되는데 Thiolated sodium alginate는 cacl2와 반응할때 beads 생성이 원활하게 생성되지 않습니다. 혹시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
찬논노 | 05.17 |
|
Q. |
qPCR threshold 임계값 설정 |
|
|
제가 샘플이 많아서 몇 플레이트로 나누어서 실험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RFU가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매 플레이트마다 house keeping gene과 함께 돌리고 있는데 각 플레이트마다 threshold값이 달라도 되나요?
결국 중요한건 Ct값이고 상대정량이기 때문에 문제는 없을 것 같긴 합니만 괜찮나요?
|
|
별헤는밥 | 05.17 |
|
Q. |
종자 황산처리와 소독처리 |
|
|
종자 발아실험 시작단계입니다.
황산 처리를 한 후에 1% Agar 배지에 치상했습니다.(96% 황산 30min, 증류수 세척 후 증류수에 24h 침종)
약 20일이 지났는데 오염이 심하게 났습니다.( 곰팡이 등)
그래서 황산처리와 함께 종자 소독도 병행해야 할것 같은데
황산 처리 후 종자소독을 하는게 나을까요, 종자 소독 후 황산처리를 하는것이 나을까요?
관련 자료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모르겠오요 | 05.17 |
|
Q. |
혹시 NCI-H292 cell 키워보신 분 계신가요?  |
|
|
안녕하세요. 저는 NCI-H292 cell로 실험하고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혹시 이 cell을 키워보셨던 분이나 잘 알고계시는 분 있을까요?
사진에 나와있듯이 이 cell을 키우면서 계속 구멍이 보이고 ATCC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다시 cell을 구입해 키웠을 때도 역시 구멍이 관찰됩니다ㅠㅠㅠ 배지도 사이트에 나와있는 조성으로 똑같이 만들었는데도 그랬습니다.
이 영향때문인지 western blot을 했을 때도 CTL에 stimulant를 넣지 않았는데도 유도가 된 것처럼 나타나서 실험이 제대로 진행이 되고있지 않아 답답합니다ㅜㅜ
원래 CTL이 높게 잡히는 cell인지와 이 cell은 구멍이 원래 나타나는 cell인지 궁금합니다!
|
|
아이스티맛있오 | 05.1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