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식물 원료 용매 추출법 유기용매 관련 |
|
|
여러가지 실험 논문들에서 식물성 원료를 추출할 때 메탄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등으로 추출하고 항산화능, 향균활성을 보는데 이들은 인체에 사용 못하지 않나요? 그렇다면 메탄올 추출을 진행하는 이유와
메탄올 추출물이 사용되어질 수 있는 범위와 식품, 화장품, 의약외품에서 사용허가된 유기용매를 알려주세요ㅜ
|
|
홍치 | 2020.11.09 |
|
Q. |
식물 큐티클 층 에탄올 추출 |
|
|
동백나무와 소나무의 큐티클을 얻기 위해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에탄올 추출시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과, 큐티클 성분은 어느정도 포함되어 있는지 알고 싶은데, 관련 자료나 정보가 있을까요?
|
|
judike | 2020.11.08 |
|
Q. |
형질전환 실험 중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
|
1. DH5a를 competent cell로 쓰는데 LB broth에 overnight culture한뒤에 다시 cell을 LB broth에 1%로 접종해서 2시간 배양한다고 합니다. 왜 굳이 2번 배양하는 것인가요?
2. 동결보존시에 10% glycerol을 넣는데 왜 하필 10%인가요?
3. competent cell에 vector를 넣어준뒤에 42도씨에서 1분 30초간 heat shock을 하는데 왜 하필 42도인가요?
4. heat shock을 하면 세포막의 인지질층에 틈이 벌어지고 vector가 세포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되고 다시 얼음에 넣어두면 인지질층이 닫히면서 안정화되는것이 아닌가요?
5. 원심분리시에 RPM과 시간은 어떻게 정하는 건가요? DH5a를 접종한 LB broth를 5000RPM/10min으로 원심분리하는데 이 RPM과 시간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모르는 것이 너무 많네요ㅠㅠ 찾아봐도 원하는 답이 없어 이곳에 질문해 봅니다 도와주세요!
|
|
diamond | 2020.11.03 |
|
Q. |
잎 디스크 광합성 실험 |
|
|
잎 디스크 광합성 실험을 해 보려고 합니다. 이 실험은 나뭇잎을 펀치로 뚫어서 여러 개의 디스크를 만든 뒤, 주사기에 넣고 음압을 가해 해면조직에 물이 들어가게 하여 가라앉게 하고, 이를 다시 베이킹 소다를 넣은 물에 넣어 햇빛에 노출시켜주는 실험입니다. 이 잎들이 햇빛,물, 이산화 탄소에 노출되었으므로 광합성 작용이 일어나면서 해면조직에 산소가 차오르게 되고, 결국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이로써 광합성의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실험은 보통 살아있는 식물(시금치, 브로콜리 잎, 케일 등)의 초록 잎을 펀치로 뚫어서 바로 실험을 진행하더라고요. 그런데 지금이 겨울이라 주위에 초록 잎이 살아있는 양지식물이 없어서 마트에서 시금치를 사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마트에서 파는 것들은 대부분 적어도 딴지 2~3일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딴지 2~3일 정도 된 식물에서도 광합성이 일어날 수 있을까요??
|
|
snu | 2020.11.03 |
|
Q. |
논문공부중인데 complementation에 대해서 이해가 안가는 것이 있습니다 |
|
|
막 입학해서 공부중인 새내기입니다
논문에서 depletion 시킨 유전자에 대해서
complementation 시킨다고 나와있었는데요
뒤에 덧붙여서 inactive mutant라고 나와있어서 이 부분이 이해가 안되네요
저의 생각으로는 knock down이나 knock out 시킨 mutant에
complementation을 시키면 기능이 회복된다고 알고있는데
회복은 됐으나 inactive하다? 앞뒤가 맞지않는것 같아서요
설명을 부탁드려요
|
|
soonlok | 2020.10.28 |
|
Q. |
애기장대 mutant line구입 과련해서 변이에 대한 검증이 되있는 곳이 있을까요? |
|
|
안녕하세요. 애기장대 변이체를 가지고 실험을 계획중인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ABRC에서 대부분의 유전자의 변이체들을 판매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보면 그중 대다수가 어떤 큰 프로젝트를 통해 T-DNA나 transposon insertion등으로 만들어진 개체들 같더라고요.
아마도 몇몇 라인들은 실제로 타겟 유전자가 재기능을 하지 못하는 지
확인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믿고 구입할 수 있을지 염려가 됩니다. 같은 유전자의 여러 변이체 라인을 구입하면 좋겠지만 원하는 background품종에서 단일 유전자에 변이가 생긴 것은 구매의 폭이 상당히 좁은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ㅠㅠ.
혹시 다른 연구자들이 이런 자원센터에서 구입한 애기장대들에 대한
코멘트를 남기고 기록하는 곳이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목적 유전자가 재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걸
알 수 있을까요???
|
|
후_추 | 2020.10.26 |
|
Q. |
인삼뿌리 RNA 추출 미스테리 |
|
|
인삼 뿌리에서 RNA 추출과 관련된 논문 서치를 해보면 서울대 농대와 경희대학교에서는 Q사의 plant RNA 추출 kit를 써서 2 ㎍의 RNA를 얻었다고 하는데 동일 KIT로 뽑아도 수율이 거듭 낮게 나옵니다.
colume형 kit이기 때문에 손을 타지도 않을텐데 이 미스테리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막막합니다.
kit의 lysis buffer를 알아봤을때 polysccharide는 CTAB으로 polyphenol은 PVP로 잡는다고 알고있는데 어느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인삼 뿌리에서 RNA 추출 경험이 있으신분 조언을 주실 수 있다면 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진주린 | 2020.10.08 |
|
Q. |
total flavonoids 와 total polyphenols 함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
|
|
제가 식물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s을 gallic acid를 기준물질로,
total flavonoids를 catechin으로 분석의뢰 하여 분석을 완료하였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상식으로는 total polyphenols함량이 total flavonoids 함량 보다 높게 나와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저의 결과값중에는 total flavonoids 함량이 높게 나온 식물 추출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검색해본 결과로는 기준물질에 의해서 나온 값이기 때문에 이런 수치가 나올수 있다는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이 결과를 discussion 할만한 reference 가 없다는 것입니다.
혹시 이런 경험이 있으신 선배님이 계신다면 reference 추천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
|
조성욱`1 | 2020.10.07 |
|
Q. |
Agrobacterium 배양 액체 배지 |
|
|
식물 형질전환에 사용할 Agrobacterium 배양 시 선발제를 포함한 고체 YEP배지에 스트리킹하여 얻은 콜로니를 액체 YM배지에서 24시간 배양 후 사용하고 있는데요, 배양 후 24시간쯤 지나 OD값을 측정하였을때 OD600값이 0.4 후반대쯤으로 낮게 나오고 이후 정지기를 보이는듯 하여 질문드립니다.
YEP배지에서 콜로니가 뜨는것을 보면 균 stock의 활력이 낮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아 액체 YEP배지와 액체 YM 배지에 비슷한 크기의 콜로니를 취하여 24시간 배양하였고 액체 YEP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OD600값이 YM배양 현탁액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1) YEP배지와 YM 배지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2) YEP배지에서 배양한 균이 같은 시간이 흘렀을때 이전 YM배지에서 배양하였을때보다(이번 실험 뿐만 아니라 이전의 실험들을 포함해서요!) 더 높은 OD값을 보였는데 균이 더 잘 생장할 수 있는 조건이 있나요?
(추후 실험을 통해 몇번의 반복구를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YEP배지에서 균이 더 잘 자란다면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현재 Agrobacterium 균주는 GV3101을 사용하고 있으며, 28도씨의 암조건에서 진탕배양합니다!
감사합니다~
|
|
name158 | 2020.09.23 |
|
Q. |
Callus 유도와 관현하여 질문드립니다! ( 병풀 캘러스 유도 해보신 분 있으실까요?) |
|
|
안녕하세요 병풀 생모종에서 캘러스 유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S 배지에서 2,4-D(2,4,6,8,10um)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논문 근거해서 다양한 농도로 실험 중인데 도무지 유도가 안되고 있습니다.
혹시 특정 배지나 다른 종류의 Auxin을 이용해서 유도해보신분이 있으실까요? 아니면 이미 캘러스 유도 해서 유지 중 이시라면 약간 분양이 가능하실지 문의 드려봅니다. 노지에서 구한 생모종을 이용해서 유도하다보니 오염이 너무 심해서 캘러스 유도가 정말 어렵네요 ㅠ-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ligation만.. | 2020.09.18 |
|
Q. |
기공의 개폐 관찰 실험 |
|
|
기공의 개폐 관찰 실험에서 잎의 표피를 벗겨 물이 아닌 KCl이 포함된 bathing media에 담그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삼투압과 관련된 건가요??
|
|
doolle | 2020.09.15 |
|
Q. |
R프로그램 |
|
|
R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예가 쉽게 뭐가 있나요??
식물의 성장 속도나 성장 차이를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나타낼수 있나요? |
|
dhghghgh12.. | 2020.09.14 |
|
Q. |
환경호르몬 관련 실험 궁금한 게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한 고등학생입니다
이번에 제가 혼자 실험을 해보려고 계획하고 있는데요
PVC에서 유출되는 DEHP와 다른 환경호르몬에 대해 실험하려고 합니다. 조사해보니 DEHP를 개인이나 학교 수준의 환경에서는 추출이나 측정이 불가하더라구요. 그래서 PVC의 환경호르몬이 생물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에 대해 간단한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PVC는 열에 약하고, DEHP를 다량 함유시 지속적으로 공기중에 노출된다고 하나 가열했을 때 유출량이 많아지고, PVC랩으로 알코올이나 기름기가 많은 음식과 접촉했을 때도 DEHP를 비롯한 환경호르몬이 유출된다고 알고 있어요.
여기서
1. 불꽃실험을 이용하여 PVC를 함유한 물질을 찾고, non-PVC용기(유리, 종이팩 등) 와 앞서 찾은 PVC를 함유한 용기에서 콩나물/새싹 을 기르고, 그 생장속도를 비교하기
2. PVC랩을 가열한 물과 증류수를 물벼룩에 투여한 후 경과 관찰하기
이렇게 두 가지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DEHP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고 들었는데, 콩나물/새싹을 기를 때 탈지면에 PVC를 녹인 기름과 물을 함께 묻히면 실험 오류가 발생할까요? 이외에 고등학생이 할 수 있는 수준에서 개선점을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과학적 지식이 아주 풍부한 편은 아니라 복잡한 실험은 못하지만 열심히 머리굴려서 생각해봤어요. 과한 비난은 삼가주세요........
|
|
jinnn0901 | 2020.08.27 |
|
Q. |
Spectinomycin resistance cloning이 잘 안돼요. |
|
|
식물용 expression vector를 만드느라 spectinomycin resistance backbone plasmid와 다른 PCR product를 이용해 Gibson assembly를 하는 중입니다.
총 두가지 종류의 클로닝 중인데 사이즈는 각각 13700bp+700bp / 9200bp+5000bp 입니다.
Gibson용 bridge는 25bp로 잡았고 재료들은 각각 enzyme cut 후 gel elution, PCR 후 gel elution으로 준비했습니다.
Transformation은 기본적으로 backbone을 50ng 기준으로 1:3이 되도록 이용하고 있고 c.cell은 DH5a를 이용, c.cell 50ul와 gibson 50℃ 1hr를 한 총 20ul mixture를 섞어 얼음에 5m 대기, heat shock 42℃ 1m30s, 다시 얼음에 5m 대기. 그 후에 항생제 없는 LB media에 1h 37℃ shaking incubation 후 spectinomycin 100ug/ml LB plate에 spreading 합니다.
현재 여러번 시도해 보았는데 (1:3인 비율을 바꾸거나 backbone을 100ng 이용한다거나) colony를 한 번 밖에 보지 못했고 그마저도 false positive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Spectinomycin을 이용하는 cloning을 처음해서 그런데 위 과정에서 잘못되거나 수정하면 좋을만한 procedure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
ade95a | 2020.08.25 |
|
Q. |
염생식물 조직배양법에 대한 질문 |
|
|
염생식물을 조직배양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MS 배지를 사용하여 예비 실험을 해봤는데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고 조직이 그대로 조금 성장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만든 배지에 담배잎을 치상하였을 때는 결과가 잘 나온것으로 보아 배지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조직배양의 실패 원인을 찾으려고 하는데
염생식물의 표면이 다른 식물에 비해서 딱딱한 것이 조직배양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요? 아니면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쳐서 실패한 걸까요?
|
|
조수빈 | 2020.08.20 |
|
Q. |
한약재 성분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
|
|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2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한약재의 성분을 추출하여 구강내의 세균을 통한 항균 실험을 계획 중 입니다.
한약재의 성분을 추출할 때 70% 에탄올로 추출하려고 합니다.
여러 학술지들을 참고해 보았는데 진공 농축기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데 그 과정을 거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에탄올을 추출한 후 에탄올을 분리시키고 실험을 진행해야할지, 아니면 혼합용액(?) 그대로 사용해도 될지 질문드리며 분리해야한다면 비싼 실험 기구 없이 분리할 수 있는 방법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너무 많은걸 바래서 죄송합니다ㅠㅠ
|
|
인화단결 자강불식 | 2020.08.17 |
|
Q. |
열수추출방법 |
|
|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과학동아리로 저희가 실험을 계획해서 실험을 진행해야하는데요
저희 주제는 이눌린의 효과적인 섭취방법입니다
일단은 돼지감자를 건조해서 먹기, 불에 직접 가열해서 먹기, 쪄서 먹기로 나눠서 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쪄서 먹기로 설명을 드리자면
돼지감자를 찐 다음에 건조해서 가루형태로 분쇄시킨 다음 열수추출을 해야하는데요.
열수수출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돼지감자 이눌린 추출 방법' 논문에서 60~90도의 열수가 적절하다고 써져있습니다.
증류수에 돼지감자 가루를 넣고 약 80도로 가열하면 증발되면 열수추출이 되는건가요???
또 논문에 교반기도 쓰인다고 써져있는데 교반기는 어떨때 쓰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
|
우나 | 2020.08.16 |
|
Q. |
은행잎에 플라노보이드와 토페노이드의 함유량은?? |
|
|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첨 글쓰는 고등학생인데 너무 급해서요ㅠㅜ 이번에 9월에 대회를 나가는데 대회를 나가려면 실험을 해야하거든요 그 실험에 꼭 필요한 정보가 있기에 질문을 합니다.
1.은행잎에 살충성분인 플라보노이드와 토페노이드가 얼마나 들어있나요?
2.전착제에 들어가는 천연성분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실험 큐엔에이가 아니라 죄송합니다. 꼭 답변해주세요 |
|
카트값줘체리 | 2020.08.15 |
|
Q. |
Tween 20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종자 표면 살균과정에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기내에서 종자발아 하는 과정에서 기존 프로토콜로 진행하였을때 오염이 안나다가 약 한달 전부터 균, 곰팡이 오염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요, 종자 자체의 문제인지 과정에서의 문제인지 생각해보다가 전착제에 대해 의문이 생겼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전착제는 tween 20이고, 지금까지 연한 노란색을 띠는 것을 사용했는데 다 써서 새로운 병을 오픈했더니 훨씬 진한 황금색 느낌이더라구요 혹시 보관과정에서 제품이 변질된것인지 아니면 원래 색깔이 다를수 있는건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
name158 | 2020.08.14 |
|
Q. |
식물 DNA 추출건에 관한 질문 |
|
|
안녕하세요.
DNA추출과정에 사용되는 버퍼들의 역할이나
이 과정을 왜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쭙게 되었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추출키트(geneall)를 이용하고 있는데
첫번째로는 초반에 식물조직 파쇄하고, PL버퍼 넣고 왜 65도의 드라이배스에 배양하는지? 궁금하구요.
두번째로는 PD버퍼 넣은 후 왜 5분간 냉각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매뉴얼에는 따로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가설명을 찾을 수가 없어 여쭙게 되었습니다~
|
|
Saint.K | 2020.07.2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