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Microbiology > Bacteria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GXII minimal media
CGXII minimal media 조성에 대해 알고싶은데 정보를 구할 수가 없습니다. 해당 배지를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도 추가로 알 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aslkdnaslk..  |  03.15
Q. 정성시험 위양성 질문
대장균 정성시험(한도시험) EC 배지 입니다. 이렇게 듀람발효관 안에 작은 기포들이 생기는데 확인을 해보면 항상 아닙니다. EC 배지가 아니여도 LB, BGLB든 상관없이 저런 기포들이 종종 생깁니다. control에도 생겨요. 랜덤입니다. 만든지 오래된 배지일 수록 더 잘 생겨요. 확실하게 양성일때는 저것보다 크게 기포가 생기더라구요. 작더라도 관 윗부분을 덮을 정도는 생겨요.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멸균이 잘안되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yeasting  |  03.15
Q. 미생물접종시 이쑤시개 사용
이쑤시개를 사용해서 접종할때 그냥 나무이쑤시개를 멸균해서 쓰면 안되겠죠? 보통 플라스틱 이쑤시개를 멸균해서 쓰시나요?
회원작성글 갈인  |  03.15
Q. TCBS 배지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가 억제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TCBS 배지와 SS 배지에 미생물 실험을 하였는데, TCBS와 SS에 동일하게 sodium thiosulfate와 sodium citrate 가 있는데도 SS에서는 대장균이 배양되고 TCBS에서는 배양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SS 배지에서는 왜 vibrio 종이 자라지 않는 지도 알고 싶습니다!! ㅠㅠ 구글링 실력의 부족인지 찾아봐도 도통 나오지 않네요.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gkfkdakfkd..  |  03.14
Q. Cloning 문제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셔틀벡터를 이용해서 E. coli와 환경균주에서 분리한 Pseuarthrobacter에 사용되는  pSVJ21 vector를 이용해서 cloning을 하고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관련된 유전자를 transformation 한 뒤에 insert 양쪽 50 bp 씩 떨어진 곳에 primer을 제작해서 size를 확인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아래 confirm 사진) 여기서 이상한게 액체에서 키우면  cell 상태가 좋지 못하고 plasmid도 unstable해 지는것 같습니다.   셔틀백터를 처음 다뤄서 그러는데 제가 알지못하는 이유가 있는걸까요?    
회원작성글 오월준  |  03.14
Q. western blot 시 skim milk 증류수에 녹이면?
안녕하세요, western blot 시 생각없이 1차 항체 처리과정까지의 skim milk를 3차 증류수에 녹여서 사용했네요,,, 아직 디벨롭을 안해서 결과를 모르는데 망한건가요? 어떻게될까요,,,
회원작성글 서리태콩물  |  03.13
Q. 평판도말 시
미지의 여러 종이 섞인, 즉 혼합 균주를 PC broth 액체배지에 배양한 뒤 BHI 고체배지에 평판도말하여 동정하려고 하는데, 이래도 문제 없나요? 목표는, 검체에 포함된 모든 균 중 최대한 많은 부분을 확보하고 동정하는 겁니다.
회원작성글 jaehunjeon..  |  03.12
Q. 박테리아 배양 실험 실패의 이유가 뭘까요... 첨부파일
담수와 정제수를 일정 비율 혼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실험을 위해 받은 플레이트 뚜껑에 습기가 차 있었지만 배지는 굳어있어서 바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배지 테스트를 위해 박테리아만 스프레딩한 배지는 결과가 잘 나왔지만  혼합샘플은 배양된 박테리아 수가 너무 적네요ㅠㅠ ( 실험 후 다음 날은 거의 보이지 않았고 두번 째 날은 2~3개의 원형 관찰) 혼합샘플 - 담수 100 μL + 정제수 900 μL 담수는 강물을 사용하였습니다!
회원작성글 어보구  |  03.11
Q. 미지의 혼합균 배양
안녕하세요. 미지의 시료로부터(사육장 벽면 같은 곳) 미지의 조성을 가진 균들을 면봉으로 채취하여 면봉을 통째로 액체배지에 넣어서 배양한 뒤 최대영양고체배지에 다시 옮기면 거기 있는 거의 모든 균들이 배양이 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jaehunjeon..  |  03.10
Q. 유산균수 시험 결과차이
제가 유산균수 시험을 처음 해봤는데 MRS 배지로 같은 샘플을 2번 시험한 결과 각각 137억, 138억이 나왔습니다. 동일 샘플을 검사기관에 맡겼더니 270억이 나왔더라구요. 이런 차이는 시험자 간에 나오는 차이인가요? 아니면 배지 종류에 따른 영향이 클까요? 균주는 혼합유산균+김치유래유산균입니다. 혼합유산균은 200억 짜리였는데 보관상태가 좋지 못해서 김치유산균을 추가로 첨가하였다고 들었습니다. 찾아보니 MRS배지보다 BL배지가 더 균이 잘 자라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런 차이가 흔한가요?ㅠㅠ
회원작성글 yeasting  |  03.09
Q. pronase 가 활성을 안보이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ㅜㅠ
박테리아에서 total membrane 을 추출해서 protein을 없애려고 pronase를 쳤는데 활성을 안보입니다 ㅜㅜ BCA assay로 효소 치기 전, 후를 확인하는데 다를바가 없네여 ㅜㅜ 조건은 60도에서 overnight으로 반응시킵니다  경험자들 부탁해요ㅜㅜ
회원작성글 나야나93  |  03.08
Q. LB broth를 만들 때 마그네틱바로 섞어주는 이유가 뭔가요??
이제 LB broth와 LB plate를 만드려고 하는데요.. LB broth는 yeast extract, NaCl, tryptone을 넣고 마그네틱바로 섞어주는데   LB plate는 여기에 Agar만 추가할 뿐 마그네틱바로 교반해주지 않고 autoclave해서 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즉, LB broth만 마그네틱바로 교반해서 섞어준 다음 autoclave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응애연구생  |  03.08
Q. 유당발효를 하지 않는 대장균도 있나요?
대장균군 시험을 했는데 유당배지법에서 가스 음성(유당비발효)이 나오고 BGLB 배지법에서도 가스 음성(유당비발효)이 나왔는데 색이 갈색으로 변하고 침전이 생겨서 EMB agar에 접종했습니다. EMB agar에서 24시간 지났을땐 음성이었는데 혹시 몰라 그냥 배양기에 두었더니 오늘 아침에 확인해보니 희미하게 녹색금속광택(대장균)을 띄는 콜로니들이 보입니다.   유당을 발효하지 않는 대장균도 있나요?    
회원작성글 yeasting  |  03.08
Q. 유리구슬 재사용 궁금한 점
Tween 80사용할 때 유리구슬을 넣고 실험을 진행하는데,  실험 끝나고, 유리구슬을 재사용하라고 하셔서요.  안에 균을 넣었어서, 전체 멸균 한번하고 유리구슬 꺼내서 다시 멸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Tween이랑 유리구슬 넣은거 멸균하고 다시 빼려면 너무 번거롭고,, 주변 다 미끄러워지는데 혹시 tween 넣었을 때 유리구슬 재사용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세균걸  |  03.07
Q. pour법 균 카운팅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pour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시료 1ml넣고 배지 넣고 8자로 4번정도 흔들어서 진행했는데,  사진처럼 균이 뭉쳐서 자란건지 퍼져서 자랐습니다. 카운팅을 진행하기 어려워서 재실험을 해야할 것같은데, 주입평판법으로 하면 저렇게 자꾸 뭉치거나 퍼져서 자랍니다.  혹시 pour 법에서 주의해야할 과정이 있을까요? 5개씩 페트리디쉬를 겹쳐서 섞어서 그런걸까요..?  
회원작성글 세균걸  |  03.06
Q. 액체배지(BGLB) 침전현상
Brilliant Green Bile Broth 2% 배지로 대장균군 시험을 했는데 사진에 왼쪽 시험관 같이 색소가 침전되었습니다.(오른쪽은 대조입니다.) 샘플은 초코음료이고, 샘플 용기가 부풀어있는 상태였습니다. 처음 배지에 접종했을때도 초콜렛 음료 자체의 갈색 침전이 있었지만  2일 후 이 배지 자체의 brilliant green이 침전된 느낌입니다. 듀람관 내부에 가스가 차진 않았구요.. 식품공전을 보면 확정시험에서 'BGLB배지에서 35~37℃로 48±3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배지의 색이 갈색으로 되었을 때에는 반드시 완전시험을 실시한다.' 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게 그런경우인가요?
회원작성글 yeasting  |  03.06
이전  01 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단백질 induction 시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적혈구 vs 구강상피세포 [1]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6]
전기영동에서 band가 어떤걸 의미하나요? [1]
Trypton,pepton [2]
pLentivirus 을 이용한 target gene insertion... [4]
pcr 조건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만 봐주세요.. [6]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3]
cloning 실험하는데 dna 몇 최소 ng 있어야 사용가능한가요? [1]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기적

개구리촉촉한촉수

알Ekdrkddkwl

알나는야학부생

알김스키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아이이이잉

올챙이효옹

꽃개구리착한사람

개구리G.P.Ts

개구리냥냥아빠

개구리flu...

개구리얕은지식

개구리애니

꽃개구리visavis

꽃개구리Ip Man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