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핵산(DNA,RNA 모두 포함) 순도 |
|
|
안녕하세요, DNA 순도측정을 하려고 하는 석사생입니다..장비는 나노드랍이 없어, 스펙트로미터 흡광도를 보고 측정중입니다.
원래 종자 DNA 순도측정을 진행하였으나, 너무 낮게 나와 잎으로라도 시도해보고 있습니다.
그러다 제가 사용한 프로토콜이 핵산 추출법(DNA,RNA)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따라서 Rnase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현재 연구실에 Rnase가 없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이 프로토콜로 진행한후, 향후 pcr이나 업체에 sequencing하여 dna만 보면 상관없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다만 dna '순도'측정은 불가하지않을까 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진행 상황입니다.
종자 핵산 260/280=1.3, 230nm=0.3 , 잎의 핵산 260/280=2.4, 230nm=-0.1
1. 핵산 추출물로 순도측정에 의미가 있을까요...
2. 순도측정을 멈추고 전기영동을 해보는게 나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석석석사 | 2021.03.15 |
|
Q. |
아가로스겔 전기영동 결과 이상 질문합니다  |
|
|
pcr 전기영동 결과인데요 몇번을 해도 사진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뜬적이 없는데 왜그러는지 혹시 알수 있을까요?
버퍼는 1X TAE용액 사용했어요
|
|
찝게 | 2021.02.15 |
|
|
Q. |
dna 추출 실험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실험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최근에 동아리에서 브로콜리 dna추출 실험을 하였는데요,
급속 냉동 브로콜리의 경우 dna추출이 안되었고 생 브로콜리는 엄청 잘 되었습니다.
몇번을 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여기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냉동이 브로콜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기에 추출이 되지 않는 건가요? |
|
ryul7957 | 2020.12.05 |
|
Q. |
인삼뿌리 RNA 추출 미스테리 |
|
|
인삼 뿌리에서 RNA 추출과 관련된 논문 서치를 해보면 서울대 농대와 경희대학교에서는 Q사의 plant RNA 추출 kit를 써서 2 ㎍의 RNA를 얻었다고 하는데 동일 KIT로 뽑아도 수율이 거듭 낮게 나옵니다.
colume형 kit이기 때문에 손을 타지도 않을텐데 이 미스테리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막막합니다.
kit의 lysis buffer를 알아봤을때 polysccharide는 CTAB으로 polyphenol은 PVP로 잡는다고 알고있는데 어느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인삼 뿌리에서 RNA 추출 경험이 있으신분 조언을 주실 수 있다면 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진주린 | 2020.10.08 |
|
Q. |
식물 DNA 추출건에 관한 질문 |
|
|
안녕하세요.
DNA추출과정에 사용되는 버퍼들의 역할이나
이 과정을 왜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쭙게 되었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추출키트(geneall)를 이용하고 있는데
첫번째로는 초반에 식물조직 파쇄하고, PL버퍼 넣고 왜 65도의 드라이배스에 배양하는지? 궁금하구요.
두번째로는 PD버퍼 넣은 후 왜 5분간 냉각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매뉴얼에는 따로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가설명을 찾을 수가 없어 여쭙게 되었습니다~
|
|
Saint.K | 2020.07.24 |
|
Q. |
메디아병 ? 유리시약병 세척 어떻게 하시나요? |
|
|
1.시약이 오래돼서 버리고
똑같은 새시약 만들어서 넣을건데
세제로 씻고 증류수로 헹구고 바로 사용해도 될까요..?
2. 만약에 같은 종류 말고 다른시약 넣을거면 오토클레이브로 멸균하고 해야하나여?
|
|
초보연구인 | 2020.06.06 |
|
Q. |
벼도열병 접종 실험 후 데이터 |
|
|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 논문으로 벼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 분리를 테마로 연구중에 있는 학생입니다.
저항성이 확인된 RILs 집단으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저항성 표현형이 제대로 나오지를 않습니다.. 벼가 5~6엽기일 때 detached method로 M.oryzae 균주를 접종 했습니다. 그런데 저항성을 보여야 할 집단이 감수성을 보이네요.. 어느 부분에 문제인걸까요?
또한, 이 실험으로 표현형에 대한 데이터를 얻은 후에 어떤 방법으로 저항성 유전자를 분리해내는 것이 좋은가요? 같은 연구를 진행 중인 박사는 NLR Knock out방법과 Real target linkage 분석 두가지로 하고 있습니다. 어떤 흐름으로 해야하는지 가르쳐 주실 수 있을까요. 논문을 찾아봐도 너무 다양해서 갈피를 잡지 못 하고 있습니다.
제가 기초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S.won | 2020.06.03 |
|
Q. |
vector stock을 불리는 과정에서 질문입니다 |
|
|
vector stock을 불려야 하는데
찾아보니까 Selectable marker가 tet, hph 라면
LB broth에 tet만 넣고 배양하면 되나요?,,
|
|
epwkdhk | 2020.03.09 |
|
Q. |
TAIL PCR 전기영동BAND 끌림현상  |
|
|
activation tagging을 진행한 애기장대의 T2개체의 잎에서 DNA를 추출하여 TAIL PCR로 진행했을 때 2nd, 3rd PCR band가 사진처럼 끌림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현상을 줄이거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P7과 TR1,2,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고 Gell은 Agarose 1.5%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
유디아 | 2019.07.18 |
|
Q. |
열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실험 intro 질문드립니다! |
|
|
보통 열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된 논문을 적을때 주 키워드가 Hsp고목적이 지구온난화에 의한 환경적 스트레스, 내하고성이나 고온에 의한 식물의 생리적,형태적 손실 등 이러한 이유로 실험을 하는데 저런 내용으로 인트로를 시작하는데 인트로에 저런 소재 말고 다른 키워드나 내용이 있을까요?아니면 저런 인트로로 시작하는게 아닌 다른 인트로로 시작하는 논문이 있을까요? |
|
으윽윽 | 2019.01.18 |
|
Q. |
근두암종균 (agrobacterium tumefaciens) |
|
|
안녕하세요.IB Diploma를 수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이번에 졸업에 필요한 소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근두암종균을 이용해 항생제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려고 합니다.근두암종균은 T-DNA를 주입해 식물에 종양을 유도하는 박테리아입니다..다만, 근두암종균을 개인이 구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라서요..또는 저희 학교를 통해 구할 수 있을까요?일단 technician에게 메일을 보내놓긴 했는데 이게 식물에게는 치명적인 박테리아라서 나라에서 막아놓았을 법도 하구요...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
|
hmkim20 | 2019.01.10 |
|
Q. |
Plant의 성질을 띄는 미세조류 PCR 관련 질문 |
|
|
안녕하세요. 저희 실험실에서 Plant처럼 cellulose 세포벽을 가지는 미세조류를 가지고 실험하고 있습니다.plate 상에서 colony의 형태로 자라고, Broth 에서 단일세포로 자라서 homogenization 과정도 따로 필요 없습니다.그런데, 저희가 이 미세조류를 가지고 Transformation 실험을 하고있는데요.T/F 확인을 하기 위해서 PCR을 하는데, 꼭 DNA extraction을 따로 해야하나요?일반적으로 세균을 가지고 실험을 하게되면 자라고있는 colony나 배양액을 그대로 Template로 사용해도 Band가 나타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Plant에서는 따로 DNA extraction 없이 PCR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궁금합니다. |
|
이드 | 2018.06.02 |
|
|
Q. |
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 |
|
|
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세균등 이름과 구입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
하하후후 | 2018.04.16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