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Plant Biology > Photosynthesis/Respiration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식물 광합성능(클로로필) 측정
안녕하세요^^수중식물을 이용한 정화기술을 연구하는 초보 학생입니다.브릭 고수님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독성물질에 노출시킨 수중식물의 효소반을 측정하려고 해서, 노출 후 액체 질소를 이용해 식물을 급속 냉각시킨 후, 냉동 보관해 놓은 상태 입니다.지금 문제가 되는 것이 제가 냉동 보관전에 광합성능을 측정했어야 하는데, 그 과정을 건너 뛰고 모두 냉동 액체 질소에 얼려버렸네요.(T.T)냉동 보관된 식물의 일부로, 클로로필 측정 시험을 진행해도 될까요>>>클로로필 측정을 위해서는 식물 분말이 필요하니, 상관이 없을것도 같은데, 궁금하네요. 전문가 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m.ha  |  2011.06.21
Q. 박테리아 광합성 확인 실험
안녕하세요-purple photosynthetic bacteria 라고 생각되는 미생물이 정말 광합성을 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실험이나 장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CO2 고정은 못 하고.. 정말 광합성. 그러니까 광합성에 관련 된 단백질들이 정말 기능을 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식물의 광합성 기구들의 기능과 H+ 흐름 등등을 측정 할 수 있는 장비는 있다고 알고 있는데 박테리아에 적용 할 수 있는 그런 장비도 있나요?
회원작성글 멍멍  |  2010.08.13
Q. pBBR122_broad host range vector cloning 실험 하신분... 첨부파일
안녕하세요.제가 이번에 받아서 실험을 진행해야할 벡터가 바로... pBBR122 입니다.다름 아니라. 제가 공대다 보니까 생물쪽에 많이 약한대요...그 동안 cloning 실험을 pET-21a 로 해봐서... 새로운 벡터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적응할지 몰라서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질문사항으로는...1. 벡터 맵에는 특별히 따로 promoter가 없는것 같은데... 그렇다면 제가 따로 넣어줘야 하는건가요? 그리고 혹시 이 때 저는 광합성 균주 (Rhodobacter sphaeroides)에서 발현을 할 예정인데요. 거기에 맞는 promoter를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따로 벡터에 맞는 프로모터가 있는건가요?2. XL1-blue 라는 호스트(아마도 E.coli) 에 있던 pBBR122를 추출했는데...  같이 추출한 pET-21a에 클로닝된 플라스미드 양보다 반절 정도로 낮은 농도로 추출되었는데  이 벡터의 경우는 low copy 인가요? high copy 벡터라고 해야는지요?  홀직히 low 와 high copy 벡터라는 개념을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따로 설명서에는 내용이 적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3. pBBR122는 broad host range vecter 라고 써있는데요.. 그렇다면 cloning 후의 타겟유전자의 발현에는 아무런 이상없이 잘 발현되어 working하는지요?혹시 cloning 했는데.. 발현안하면.. 말짱꽝일 것 같아서..질문이 조금 많은 것 같은데요..혹시 벡터에 대한 내용은 첨부파일에 함께 올리겠습니다. 실험해보신분과 아시고 계시는 분.... 부탁드립니다.                   박주용올림.3.  
회원작성글 박주용  |  2010.06.10
Q. PCR& Enzyme Cut 고찰및 결과물 해석 질문입니다 첨부파일
이번에 미생물학 전공실험으로 광합성세균과 콩과식물뿌리혹세균의 PCR&Enzyme Cut 실험으로 나온 결과물에 대한 고찰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광합성세균은 농화배양을 거쳐 순수분리하여 G-Spin(tm) Kit로 GDNA 추출, PCR, Enzyme Cut뿌리혹세균은 28도에서 배양된 Sample을 광합성세균 GDNA추출 Kit를 사용, PCR, Enzyme Cut(둘다 Gram Negative 사용방법으로 실험)여기서 광합성세균과 뿌리혹세균 GDNA추출에서 굉장히 애를 먹었습니다.광합성세균에는 Pufm, 16S  Primer를 사용하였는데 4번의 실험중 Pufm은 단 한번도 밴드에서 확인이 되지않았고 16S는 간신히 하나를 건졌습니다.뿌리혹세균에는 NODC, 16S Primer를 사용하였는데 역시 4번의 실험중 단 하나의 밴드도 확인이 되지않았고 Chelex를 사용하여 GDNA추출, PCR하여 두가지 모두 밴드에서 확인이 되었습니다.실험이 잘 안된것에 대한 고찰로 생각해본것이1. 실험에 사용된 광합성세균이 광합성세균이 아니었다? - 액체배양시 세균이 빨간색으로 변하여 광합성세균이라고 생각했었으나 실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2. 뿌리혹세균은 Gram Negative가 아니었다? - 그람염색으로 확인하였는데 둘다 Negative였습니다.3. 실험의 물리적인 변동 - 도구, 실험기구및시약, 방법 등 모두 동일하였지만 여기서는 아무래도 Pipetting문제일듯합니다.두 세균 모두 Enzyme Cut 한 사진을 첨부했는데이 사진을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모르겠네요;사진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Vae  |  2010.06.05
Q. 계통수 작성과 homology
rbcL의 cds를 가지고 계통수를 그릴려고 합니다. homology가 아닌 서열로는 계통수를 그리면 안된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분명히 같은 기능을 하고 유전자명도 동일한 경우 homology가 아닌 건 이해가 안갑니다. homology가 아닌 자료로 계통수를 그리면 절대 안되는지요? blast2sequences로 검색하여 "no significant similarity"가 나오면 homology가 아닌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rbcL 유전자가 광합성에 필수적인 것이기에 최대한 Large-scale로 taxa를 선정하려고 합니다. 대개 염기서열길이도 비슷한데 homology가 아닌 것이 이해가 안갑니다.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 것일까요..ㅠㅠ
맥콜  |  2010.05.05
Q. Tris buffer 관련 궁금한 점..
Tris buffer 는 광합성 세포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데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Sub  |  2010.03.05
Q. cell culture 할 때 배지의 pH의 변화는?
안녕하세요.요즘 많이 추워지는데... 감기조심하세요.. ^^;;다름아니라...만약 cell이 성장할 때... 배지에서의 pH의 값에서...대체적으로 pH 가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요?분명 키우는 cell 마다... 들어가는 배지 성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product의 성분에 의해서..)제가 광합성균주를 키우는데...pH 가 약 pH8.0~9.0  정도가 됩니다.그렇다는 것은 광합성균주에서 생성되는 생성물에 의한것인가요?아니면.. 다른 변화에 의한 영향이 있는것일까요?어찌보면.. 유치한 질문이고 답변하기 애매한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혹시.. 힌트라도... 뭔가 찾을 수 있을까?라는 희망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희망이 되어주세요. ^^
회원작성글 박주용  |  2009.11.17
Q. PCR수행시 multi band가 뜨는이유에 대해서..
최근까지도 광합성유전자 psbA gene을 증폭하기 위한 조건으로서.psbA유전자를 증폭시킨후,  그 양을 늘리기 위해서2nd round까지 수행시켰을때. 딱 원하는 싸이즈의 psbA(800bp)만 잘나왔었습니다.정말 아무런 문제없이 깔끔하게 원하는 싸이즈의 band만 떴었죠. (그게.아마 작년11월부터3월달까지 실험했을때 이 조건으로 문제없이 실험을 하였습니다.)하지만. 몇달전부터 이러한 조건에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4월부터 지금까지요) 1st round에서부터 원하던 psbA 의 band (800bp)말고도 200bp정도의 싸이즈의 밴드가 계속 증폭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이렇게 증폭시킨 PCR 산물을 다시 2nd round 수행하였더니 1st PCR 때보다 더 진한 200bp밴드가  증폭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때로는 500bp의 밴드고 뜰때도 있습니다...ㅠㅠ)이러한 원치않는 밴드를 없애고자 시약도 다시 확인해보고 프라이머도 다시 주문해서 돌려보고 PCR기계도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그랬는데도. 문제가 나아지질 않네요.도대체 실험과정중.혹은 시약이라던지..어떠한 문제때문에 이렇게 갑자기 원치 않는 밴드가 형성이 되는것일까요?..제 질문에 대해서 도움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
회원작성글 RANI  |  2009.08.05
Q. 광합성균 Rhodobacter, Rhodopseudomonas 분리 배양 방법??
안녕하세요.. 미생물학 연구실 대학원생입니다. 이번에 저희 실험실에 몇가지 균의 순수분리 method를 set up 하려고 하는데요 그 중에 Rhodobacter와 Rhodopseudomonas가 있습니다. 위의 광합성세균은 어떻게 순수분리하나요?? 선택배지 만드는 법이나.. 배양 조건 등에 대하여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미생물학연구실  |  2009.01.19
Q. 광합성 세균 순수분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저희 실험실에서 광합성세균에 대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액체배양은 되는데 고체배지에서 단일클로니를 얻기가 힘듭니다 ㅡ..ㅡ 실험경험이 있으신 분은 한 수 가르쳐주시길 바래요^^ - 사용하셨던 배지, 배양조건, 광원, 혐기성 조건(충진가스?) 아시는 분은 자세하게 좀 가르쳐주세요^^ 홍색비황세균 분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회원작성글 윤명근  |  2008.12.01
Q. 광합성 세균 순수분리 하는 방법 좀...
안녕하세요~ 저희 실험실에서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어요... 그런데 액체배양은 쉽게 되는데 고체배지에서 순수분리하는 게 어렵네요 ^^; 혹시 실험경험이 있으신분 노하우 좀 가르쳐주세요~~ 목표로 하는 균은 홍색비황세균입니다...
회원작성글 윤명근  |  2008.11.20
Q. 광합성작용에서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상관관계
넓은 잎에 엽록체가 많아 광합성 작용이 활발하다면 넓은 잎이 더 많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광합성작용에서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하면 산소 배출량도 더 많다고 할 수 있나요 즉 어떤 관계에 있는지 설명좀 해주세요.부탁드려요
김수현  |  2008.11.16
Q. 광합성작용에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상관관계
광합성작용에서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하면 산소도 많이 배출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 한 마디로 광합성작용을 할 때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상관관계를 알려주세요. 저는 초등학생이기 때문에 조금 쉬은 말로 부탁드리고요,빠른 시일 내에 답변 부탁드립나다
회원작성글 김수현  |  2008.11.15
Q. 식물의 잎의 넓이에 따른 초의 연소시간
같은 조건이라면 식물 잎의 넓이에 따라 광합성작용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 다시 말하면 산소량이 더 많이 배출되는 지에 대해 실험을 해봤다. 방법은 밀폐된 통에 잎이 넗은 식물과 초를 넣고 다른 한 통에는 잎이 좁은 식물과 초를 넣고 어느 쪽의 초가 더 오래 연소되는지 실험해 보았다. 결과는 예상대로 잎이 넓은 쪽의 초가 조금 더 오래 연소되었다. 그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을 잘 할 수가 없어서 그런데 참고 할만한 자료나 답변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초등학생이니 너무 어려운 내용보다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을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가능하나 빨리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김수현  |  2008.11.15
Q. 식물이 환경에 미치는 이로운 점 중 지구 온난화를 막는데 주는 도움
식물이 우리 환경에 미치는 이로운 점들과 그 중에서 특히 광합성 작용을 통한 산소 배출양이 지구 온난화를 막는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 답변을 해주시거나 책 좀 추천해 주세요. 가능하나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회원작성글 김수현  |  2008.11.15
Q. 잎집에서도 광합성 하나요??
잎에서 광합성 하는거는 알겠는데요.. 잎집이나 줄기에서도 광합성 하나요...???
도와주세요!!!  |  2008.11.05
이전  01 02 3 04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단백질 induction 시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적혈구 vs 구강상피세포 [1]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6]
전기영동에서 band가 어떤걸 의미하나요? [1]
Trypton,pepton [2]
pLentivirus 을 이용한 target gene insertion... [4]
pcr 조건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만 봐주세요.. [6]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3]
40% 아크릴아마이드를 30%아크릴아마이드로 농도를 낮추고 싶습니다. [1]
cloning 실험하는데 dna 몇 최소 ng 있어야 사용가능한가요? [1]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기적

개구리촉촉한촉수

알Ekdrkddkwl

알나는야학부생

알김스키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아이이이잉

올챙이효옹

개구리flu...

개구리Eigen

개구리절대교주

대왕개구리강시

꽃개구리착한사람

꽃개구리개그

개구리cslee

개구리미맹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