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IP 실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박사수료생이고
molcular biology 쪽으로 실험을 주로 하고 있는데 (fluorescence protein 이용한
confocal- colocalization analysis, western blot, Y2H and BiFC 등)
제가 연구하고 있는 단백질 A와 B가 Y2H 에서 결합하고, in vivo BiFC 상에서도
결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두 실험 모두 3번 이상의 반복을 통해 확인이
되었습니다.
다만 두 단백질을 발현하는 stable expression line을 얻어,
colocalization analysis 을 진행하였을 때는 어느 조건에서도 쉽게 겹치는 것을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나, 두 단백질을 코딩하는 gene mutant 를 얻어서
double mutant analysis 를 통해 epistatic-genetic interaction은 확인하였습니다.
다른 또다른 단백질 c와 complex를 이루는지 보고 싶었기 때문에 최근에
invivo co-ip 셋팅을 하게 되었는데요. co-ip 상에서는 단백질 A와 B의 결합을 보기가 어려웠습니다.
Co IP setting은 먼저 보고자하는 단백질 A,B 에 각 GFP, Myc tag를 붙혔습니다.
(tag protein에 대한 funtional 문제는 mutant complementation을 통해서
확인되었습니다. 물론..interaction에 영향을 무시하지는 못하나, endogenous
antibody가 없습니다). 그 후, cell에 transient expression을 통해 발혔시켰고,
발현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lysis buffer : 50 mM Tris-HCl, 150 mM NaCl, 5% Glycerol, 0.5% Triton-X 100,
2 mM PMSF, 1x protease inhibotor cocktail (roche), pH 8.0 조성으로 사용하였고,
proteinA 로 먼저 precleaning 후, bead-antibody를 처리하여
저온 (4도) 에서 2시간 gentle shacking 하여 끌어당겼습니다.
당기는데 사용한 bead-antibody는 bead에 myc antibody가 이미 붙혀져
나온 제품을 사용하였습니다 (agarose bead-proteinA-Myc antibody).
최종적으로는 2x sample buffer (containing 2-ME) 를 이용하여
elution 하였습니다. 현재 2번 정도 반복하였는데, 동일한 결과를 얻고 있네요.
질문은
1. lysis buffer 상의 조성이 불필요하거나, 불충분한 부분에 의해
interaction에 영향을 주는게 있을까요?
2. weak interaction, transient interaction 을 한다면 co-ip로 잡기 어려운걸까요?
3. 그 외에 다른 원인이나 주의해야할 점 생각나는 부분이 있다면
의견 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