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Microbiology > etc.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약전 미생물한도시험
제품에서 허용 가능한 미생물 회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낮은 희석 배율의 검액으로 준비한다 이 뜻이 잘 이해가 안돼서요..! 가장 낮은 희석배율의 뜻이 희석을 여러번 하지 않은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태인가요? 또한 허용 가능한 미생물 회수 결과는 제품별로 정해져 있는 미생물 결과 기준치를 넘지않는 결과값 이라는 뜻인건가요?
회원작성글 yaam  |  2022.08.12
Q. LB배지 만들때 엠피실린 농도가 200ug/ml이여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학부연구생입니다. 오늘 클로닝을 하려고 LB배지를 만든 후에 엠피실린을 넣는 과정에서 100ug/ml 넣어야하는데 실수로 200ug/ml을 넣었습니다. 이 배지를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LB배지의 총 볼륨은 500ml이었습니다. 엠피실린 stock 농도는 100mg/ml이었습니다.  
회원작성글 망고야얼망고  |  2022.08.04
Q.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원료 미생물시험시 희석액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요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이라는 원료 미생물시험을 하려는데   KP, USP 에는 일반적으로 10배 희석한다고 되어있어서 10배 희석을 하면, gel 형태가 되어서 계대배양이 어렵더라구요   추가희석과 계면활성제를 추가해야 도말해서 시험결과를 확인이 가능한 정도가 되는데요..   원료에 대한 희석액의 규정? 은 약전중 어느걸 참고해야 하나요   약전에는 제제(Product) 에 대한 검액조제만 나와있고 원료에 대한 규정은 없는거 같아서용 ㅜ    
회원작성글 땍꼬  |  2022.07.25
Q. Probiotics 관련 저널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 학생입니다 유산균을 이용해서 세포에서 면역관련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물실험까지는 하지 못하고 in vitro 실험까지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실험실 선배들 보면 FSB, JMB 와 같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그래도 처음 써보는 논문이라 욕심을 조금 내보고 싶어서요 혹시 제가 실험하고 있는 분야에서 낼 수 있는 저널이나, 괜찮은 저널 있으면 알려주실수 있을까요...어떻게 분야를 설정해야할지 감도 잘안오고 IF를 검색해보고 싶은데 기본 정보가 많이 없고 어떤 논문이 괜찮은 건지 잘 모르겠어요...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한발짝두발짝  |  2022.07.25
Q. 정전기 생성 방법
학교 과제연구 시간에 정전기 마스크 필터를 재활용 해보는 실험을 하려 하는데 필터에 정전기를 다시 가해주려면 고전압을 주어야 한다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그리고 혹시 정전기를 입히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전자 이동이 쉬운 물질을 문지르는 방법도 있는데 이 방법은 필터를 손상시킬 것 같아 적절하지 않은 것 같구요, 높은 전하를 가진 전자를 필터에 부착 시키는 방법도 있다는데 어떻게 부착시킬 수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회원작성글 매트릭스7  |  2022.06.20
Q. CA배지 침전물
CA배지 글리세린 어떤 브랜드쓰시나요?> 침전물이 생겨서요!
회원작성글 무뭄  |  2022.06.14
Q. Blood Agar Base Plate 조성 관련 질문
Blood Agar Base Plate를 만드려고 하는데 조성이 Tryptone 15g Soytone 5g NaCl 5g Agar 15g 라고 나와있습니다. 지금 Soytone이 없는데 Yeast Extract로 대체해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하승완  |  2022.06.14
Q. 구강미생물 디스크확산법 실험 중 곰팡이
안녕하세요 대학생이고 미생물 실습과목 진행 중 디스크 확산법 실험 오류에 대해 여쭈려 합니다. 앞전에 구강에서 체취한 균으로 고체 배지에 배양했었고 만들어진 콜로니를 떠서 액체 배지에 배양했었습니다. 그리고 그 액체 배지에 담긴 균으로 디스크확산법 실험을 진행하였었는데, 결과적으로 배양되어야할 균은 온데간데 업고 웬 곰팡이만 자라났습니다.  이 경우 균에 오염이 있었거나 실험 과정 중 오염이 발생한건가요? 그리고 곰팡이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원래 실험대상이었던 균이 전혀 자라지 않은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회원작성글 Lnn  |  2022.06.12
Q. 미생물연료전지를 만드려고 하는 고2입니다. 전자방출균이 있는 시료를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간이 미생물 연료전지를 만들어보려고 하는 일반고 학생입니다. microbial fuel cell 이라고 유튜브에 검색하면 간이 미생물 연료전지를 만드는 많은 영상들을 찾을 수 있는데 제가 본 영상에선 모두 강가나 바다에서 퍼온 진흙을 사용하더라고요. 1. 전기를 만들어내려면 그 안에 지오박터나 슈와넬라처럼 전자방출균이 있어야할텐데 바닷속 진흙에는 높은 확률로 존재하는건가요? 이게 그렇게 흔한 미생물인지도 궁금합니다. 2. 어떤 영상 속에선 그냥 학교 앞 흙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던데요. 지오박터는 혐기성 미생물인데 학교 앞 토양은 호기성 미생물이 많을것 같은데 전자방출균이 있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을까요? 3. 그나마 가장 가까운 바다가 을왕리인데 을왕리 갯벌의 진흙을 사용하면 전기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요? 마땅히 질문을 해결할 곳이 없어 이곳의 전문가분들께 부탁드립니다.. 미생물 연료전지를 만들 때 유의할 점도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생공가고싶다  |  2022.05.30
Q. 고등학생 미세조류 연구
고1이라 과제연구가 첨이에요ㅠㅠ 환경이랑 생명분야쪽으로 주제를 잡았는데요.. '미세조류의 최적배양환경과 이산화탄소 고정효과에 관한연구'인데 너무 포괄적이거나 어려운주제일까요? 3명이서 선생님한분이랑 하게 될 것 같아요 미세조류 배양하기 힘든가요? 구글링해도 정보가 많이 없어 여기다 물어봅니다ㅠㅠ
회원작성글 롱롱롱  |  2022.05.29
Q. Phage display 관련 질문입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이번에 파지디스플레이를 처음 도전하게된 연구원입니다. Ph.D Phage Display Libraries kit의 Ph.D-12 peptide libraries와 E.coli 는 ER273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st round의 output titer, input titer 까지는 LB/IPTG/X-gal plate에 blue colony들만 보여서, 1st round amplified phage 1 x 10^11/ml 로 2nd round 진행하였습니다.  output titer는 10^-2 plate 에서 blue colony만 보였고, input titer는 10^-8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비어있는?? colorless plaque 가 blue colony 보다 많이 생성된 결과를 얻었습니다.. contamination이 된걸까요?? phage display시 유의사항 있으면 말씀부탁드리겠습니다.. amplified phage를 TBS로 suspension 시키는데, input 도말시 phage 대신 TBS로 넣고 해보았지만 오염이 발생하지 않은 깨끗한 plate여서 버퍼엔 문제없는것같았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ㅠㅠ
회원작성글 앗  |  2022.05.23
Q. 희석배수 결과표기법
균 희석배수표기법  *예를들어 균 30마리, 10의 8승 표기법=  3.0 x 10의 7승 이게 맞나요? 10의 9승에서 희석을 계속했을때 예를들어 균 30마리는 도대체 어디서 나온걸까요,,?  왜케 이해하기가 어려울까요? ^^:    균 O.D 값 측정말구 희석해서 쓰는 방법을 추천한다던데 균이 얼마나 있는지 어케 아는건지 대략 때려 맞추는 건가요?   어디서부터 공부를 다시 해야되는건지 참,, 도와주세여
회원작성글 뽀개  |  2022.05.18
Q. 온도, 습도에 따른 세균의 증식 정도 실험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온,습도에 따른 세균 증식 정도의 차이에 대한 실험을 설계하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제 나름대로 조사하고 있지만 제 수준으로는 실험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을 것같아서 여쭤봅니다!   1) 실험 설계가 제대로 되었는지 2) 비커 안에서 각각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3) 외부의 온도와 비커 내부의 온도가 일치할지 4)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질에 세균이 있어도 낙하 세균의 증식 정도에 상관이 없는지 5) 3시간이 세균이 증식해 비커 위로 낙하하기에 충분한 시간인지 6) 세균을 체취해 3시간동안 배양하고 10-2배 희석시켜 배지에 도포하려 하는데 세균이 측정할 수 있는 정도로 결과가 나올지 7) 낙하세균과 부유 세균의 증식 정도에 상관성이 있는지 8) 실험에 세균 배지를 사용해야 할지 혈액 배지를 사용해야할지 알고 싶습니다. 이중 하나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실험 설계 목적: 온도, 습도에 따라 달라지는 세균의 번식 정도를 측정해 실내의 공기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함. 독립변인:습도(30-45%,46-60%,61-80%), 온도(18-20,21-23,24-26) 종속변인:낙하세균의 증식정도 1) 멸균된 비커 안에 2개의 비커를 각각 넣는다. (하나는 습도 조절용, 하나는 낙하세균 측정용입니다.) 2) 2개의 비커 중 하나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넣고 나머지 비커는 그대로 놓아둔다. (각각의 비커 안에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습도 조절용 비커에 각각 물, 물+천 등의 물질을 넣는 것으로 습도를 조절할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질에 세균이 있어도 낙하세균의 수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지 알고 싶습니다.) 3) 각각의 온도 조건에 맞는 환경에 9개의 비커를 넣고 3시간 동안 세균을 증식시킨다. (이 때 외부 온도와 비커 안의 온도가 일치할지도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이 3시간이 세균이 증식해 비커 위로 떨어지기에 충분한 시간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온도는 1개는 항온기 나머지 2개는 스티로폼 박스에 넣어 조절할 예정입니다. ) 4) 세균 체취용 비커의 바닥을 멸균 면봉으로 문질러 세균을 체취하고, 면봉을 멸균 생리 식염수 9ml에 넣어 증식시킨다.  5) 멸균 생리 식염수 9ml를 항온기에 넣어 3시간 동안 세균을 증식시킨다. 6) 세균을 증식시킨 생리식염수 1ml를 9ml에 넣어 희석시키고 이 과정을 2번 반복한다. (희석 배율이 적절한지도 알고 싶습니다.) 7) 희석한 생리식염수 10ml를 세균 배지에 도포한 뒤 24시간동안 배양한다. (어떤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도 알고 싶습니다. 세균 배지나 혈액 배지를 사용해야 할까요?) 8) 배지에 콜로니 수를 확인해 세균의 증식정도를 비교한다.  
회원작성글 ililil  |  2022.05.15
Q. 일반세균 배지(PCA)에서 이상한게 자랐습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미생물 분석직 신입입니다 일반세균 배지에 수도수(수돗물)을 배양했는데 콜로니는 아닌거같고 마치 캘러스처럼 뭉쳐서 자랐는데.. 일반세균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일반세균이 아니라면 저건 정체가 뭘까요ㅠㅠ 팀장급 사수분께서 그만두시고 아직 새로운 팀장님께서 안 오셔서 여쭤볼곳이 이곳뿐입니다ㅠㅠ 도와주세요..ㅠㅠㅠ
회원작성글 김베짱이  |  2022.05.06
Q. 10% oxgall 만들기
이걸로 10% oxgall 50ml을 만들어야 되는데 1L에 100g 넣으라고 나와 있어요 그럼 1L에 100g 넣으면 그게 100% oxgall용액이 되는 거고 저는 10% oxgall 50ml을 만들어야 되니까 0.5g oxgall에 증류수 50ml 넣어서 만들면 되는 건가요? ㅜ 기초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ㅜㅠㅠ
회원작성글 남홀  |  2022.05.04
Q. 선충 죽은 형태
선충 활성 확인 중에 궁금한게 생겨 여쭤봅니다   활성 확인 시 약제에 의해서 죽은 형태는 반드시 꼿꼿한 일직선 형태 뿐인가요? 아님 움직임이 없지만 둥근 spiral 형태나 살아 있을 때와 유사하게 구불구불한 형태 같은 것도 죽었다고 판단할 수 있나요?
회원작성글 현도리  |  2022.04.30
이전  01 02 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