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크로젠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Microbiology > Yeast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한천배지가 양갱처럼..
안녕하세요, 저는 학부 4학년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효모수 측정을 위해 표준평판법으로 pda배지를 만들어 실험을 하고 있는데, 실험에 사실상 거의 초짜인지라 어려움이 있어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주변에 바로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이 안계셔서.. 기초적인 질문인 것 같지만 찾아봐도 해답을 찾지 못해 질문 드립니다. PDA로 나온 제품을 사용하여 증류수로 혼합하여 완전히 녹힌 후에 autoclave 멸균하고, 적당히 식힌 후에 주석산을 넣고 섞고 다시 상온에서 식히고 시료를 1ml씩 분주한 Petri dish에 부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5ml를 붓고 약간 굳은 후에 위에 5ml씩을 더 붓는 식으로 진행했는데, 결과적으로 균이 자라지 않는 것은 아니나 얼마전부터는 계속 배지가 탄력있게 굳지 않고 양갱처럼 밀면 으스러지는데, 온도를 충분히 식혀서 진행했음에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무엇이 문제인 것 일까요? 한천 농도 문제라고 생각해서 충분히 교반했다고 생각하는데.. 원인을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을때 이렇게 배지가 으그러지는 상태가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학부4학년  |  2021.07.12
Q. 이스트 발효 실험에서 lactose가 분해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이스트가 lactose를 분해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많이 나와 있는데 그 이유가 뭔지 모르겠어요ㅜㅜ 설탕과 같은 이당류인데 왜 분해가 안될까용,, 그리고 전분은 분해하긴 하는데 구조가 복잡해 포도당보다 분해 속도가 느린 것 뿐이겠죠? lactose처럼 분해되지 않는 당은 아닌 것 같고..
회원작성글 코카코알라  |  2021.06.16
Q. 효소반응속도-과산화수소
화학반응속도 1차 속도 반응에 과산화수소를 활용하여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과산화수소 말고도 1차 속도 반응식에 대입할 수 있는 화학식이 있나요?
회원작성글 단당류  |  2021.06.15
Q. 알코올 발효를 수식 또는 수치화
제목 그대로 고등학생이 할 수 있는 알코올 발효 실험을 통해서 수치화하거나 수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회원작성글 단당류  |  2021.06.14
Q. 알코올 발효 실험-갈락토스 첨부파일
알코올 발효 실험에서 갈락토스와 효모액을 섞어 발효관에 넣은 후 관찰한 결과 아무 반응이 없었습니다. 갈락토스는 포도당과 같이 단당류인데 왜 발효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거죠?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인터넷을 조사한 결과 어떤 사람은 반응이 미미하게 일어나고 저처럼 전혀 일어나지 않은 사람도 있었습니다.)
회원작성글 단당류  |  2021.06.13
Q. *** 하기 전 ***culture
*** 사용 전에 *** culture를 합니다.. ***사용하고 ***배지에 스트레킹을 하는데 제가 하기 전 배지를 냉장고에서 클린벤치로 꺼내두고 오픈하지 않은채 ***분 정도를 방치한 뒤 스트레킹을 했습니다. 그리고 *일 **도에서 배양하고 다시 *도 저장을 했습니다 ***가 자라는데 문제는 없으나 상온에 방치한것으로 ***에 컨탐이나 문제가 생길수 있나요?
회원작성글 졸업무사히하게해줘요  |  2021.06.09
Q. 효모 사이를 돌아다니는 것 첨부파일
여기 표시된 검은 점이 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참고로 제가 실수로 찍거나 한 점이 아니고, 컴퓨터에 연결한 현마경으로 보았을 때 이런 점들이 제각각의 방향으로 돌아다니고 있었습니다.
회원작성글 르방  |  2021.05.31
Q. 효모발효실험 드라이이스트에 대해..
안녕하세요 효모발효실험 중 이스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올립니다.. 큐네발효관에 드라이이스트로 실험하니까 결과가 나오는데 오래 걸리더군요... 항온기(약 37도)에 넣고 약 30분 정도 기다렸는데도 아무 반응이 없더군요,... 1. 차라리 따듯한 증류수로 효모액을 만들었어야 했을까요? 2. 만약 인스턴트 드라이이스트를 사용하면 좀 더 빠른 결과가 나올까요? 3. 핫플레이트에 올려두고 하는 경우도 있던데 잘못하면 온도가 너무 올라가서 효모가 파괴되진 않을까 걱정입니다.. 핫플레이트도 괜찮을까요?
회원작성글 바사삭  |  2021.05.23
Q. 복합배지조성의 microelements 정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여러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의 조성으로 Yeast extract, Meat extract, protease peptone, Soy peptone 등 여러 영양물질들을 사용하는데 있어 이들의 자세한 성분을 알 수 없을까요? 대부분 아미노산들이 대부분일거라고 생각은 되는데,..... 관련된 논문 또는 정보를 알고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Sssun  |  2021.04.18
Q. LMO 허가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저희 실험실의 경우 현재 대장균에 대해서 LMO 시설 1등급 허가를 받고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P.pastoris에 대한 재조합 효모를 새로 키울 일이 생겨 LMO허가를 받아야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1. 시설허가를 1등급으로 받는다면 1등급에 대한 다른 LMO를 사용하여도 따로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는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2. 위험등급분류표에 P.pastoris가 없는데 질병관리청에 등급신청을 받아서     1등급을 받으면 균주에 대한 신고는 따로 필요없는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회원작성글 미드유저  |  2021.03.16
Q. YPD Broth 미생물 판독좀 도와주실수있을까요 ㅠ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전공이 아닌분야를 열심히 해보고있는데, 한계가 있네요... 미생물 전공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배지판독 관련된 정보를 얻을수있는곳도 알려주실수 있으시다면 ...꼭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difco사에 ypd -broth 이구요.. 항세균제도 첨가 했습니다만, yeast 말고도 다른것이 자랐는데,, 도통 판독법을 잘모르겠습니다. 이것외에도 배지판독에 도움이될만한 책이나, 자료가 있다면 추천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갓구타  |  2021.02.22
Q. yeast sonication
안녕하세요 미생물을 처음 다뤄보는 대학원생입니다. 제가 yeast의 세포벽을 파쇄하기 위해서 sonication을 진행했는데요 sonication을 하면 쇳가루 같이 검은색 물질이 보입니다ㅜㅡㅜ 원래 소니케이션 하면 보이는것인가요? 아니면 저희 실험실 장비 탓일까요?
회원작성글 rimmy  |  2021.02.15
Q. S.cerevisiae에서 ubiquitin-proteasome말고 다른 pathway로 protein degradation이 있나요?
S. cerevisiae로 연구하고 있는데,  Protein degradation 억제관련해서 실험해보려고 합니다.  MG132, Lactacystin, Epoxomycin과 같은 proteasome inhibitior말고  다른 pathway의 inhibitor가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세바  |  2021.01.24
Q. OD값을 낮추어서 배양하고 싶을때 계산을 어떻게해야하나요???
처음으로 혼자 실험을 진행하게되었는데요 이스트를 OD값을 낮추어서 배양을 해서 생장 시간별로 보려고 하고있습니다 지금 이스트를 키운다음에 OD값을 측정하고 OD1.0에 맞춰서 harvest한뒤 OD0.1로 다시 배양을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전후 같은 배지에서 진행을 하려는데요 진행순서가 1. SD(-leu)에서 1차로 culture 2. OD1.0에 맞춰서 harvest 3. SD(-leu) total 6ml에 2를 OD0.1로 넣어서 culture인데 3번에서 양 계산을 잘 못하겠습니다 ㅜ 이전실험에서 다른배지로 옮길때는 펠렛팅을 하고 H2O로 resuspension해서 넣었는데 같은배지로 옮길때는 새로운 배지로 resuspension하면 된다고도하고 OD값을 높여서 harvest하고 resuspension하는 양을 줄여서 맞출수도 있다고 하는데 너무 헷갈려서 정리가 안되네요 계산하는 방식을 알고싶습니다
회원작성글 soonlok  |  2021.01.13
Q. Laccase를 생산하는 효모균주의 분리를 주제로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양성대조군으로 적합한 효모가 있을까요?
1. screening 배지로 CuSo4와 ABTS를 첨가한 YEPD배지를 만들려고 하는데 참고할 만한 논문이나 의견이 있으신가요?   2. 비교할 수 있는 양성대조군으로 laccase를 생성하는 효모가 있을 까요?   3. 양성대조군으로 laccase 시약을 직접 배지에 올릴 수도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올릴까요?   고수님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회원작성글 오모조모  |  2021.01.08
Q. PDA 진균배지 콜로니 판독 문의 ㅜㅜ 첨부파일
발효부산물을 PDA에 깔아봤는데요. 핑크색 콜로니는 처음봐서요 ㅜㅜ 곰팡이는 아닌것 같고, 효모 중 일부일까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ㅜㅜ  
회원작성글 소블리  |  2020.11.21
Q. Yeast 배양중 contamination이 되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첨부파일
프로젝트 중 S.cerevisiae wild type과 Rad51 mutation을 기르고 있었는데 WT의 culture flask가 넘어져 일부 flask안에 있는 것만 다시 기르게 되었습니다. 현미경으로 본 결과, 이렇게 응어리진 것이 보이는데 contamination이 맞는건가요? 맞다면 어느 종류의 contamination인가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회원작성글 참치마요주먹밥  |  2020.10.29
Q. Ura3 관해서 질문이요
이제 입학하는 새내기 입니다.  학부때 식물을 주로 배웠는데 대학원에 와보니 이스트가 주로 하게되어서요 실험 기본이되는 관련 논문들 먼저 읽고있는데요 마커로 Ura3를 이용한다고 되어있어서요  어떤 논문에는 Ura3를 GST로 사용해도 상관없다고도 나와있던데  지금 보는 논문들에는 주로 Ura3를 이용해서요  Ura3와 GST 둘 간의 큰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soonlok  |  2020.08.19
Q. 화장품 미생물 고민
안녕하세요 졸업후 갓 취업을 한 사람입니다. 제가 하는 업무는 화장품에 있는 미생물 검사를 하는것입니다. 저는 시료를 바로 튜브에 넣지 않고 작은 스테인 용기를 소독한뒤 그곳에 따른뒤에(바로 따르게 되면 주위에 흘릴까봐) 일회용 스포이드나 피펫으로 1ml를 주입했습니다. 스프리딩또한 유리도말봉을 충분히 달궈주고 식힌 뒤 도말하였습니다(온도 확인차 살짝 손에 대본게 문제일까요?). 입사한 2주간 늘 그렇게 해왔고 문제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미생물이 한두개씩 검출되면서 선임께서 제가 하는것을 보시고는 튜브에 바로 따르지 않고 스테인 용기에 하는것이 잘못되었다며 이것때문에 그런것이 아니냐고 하셨습니다. 이 차이로 미생물 검출 유무가 크게 달라질까요?ㅜㅜ 저때문에 지금 생산 물류 직원들이 고생하고 있고 화사에 막대한 손실이라는 소리를 들어서 마음이 너무 불편합니다ㅠ.
회원작성글 퍼센  |  2020.08.18
Q. Ypd배지
Ypd배지 만드는 법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ㅜㅜ
회원작성글 도바  |  2020.08.18
이전  01 02 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