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TEM-Cell 촬영 전처리 방법 |
|
|
위 논문이미지와 같이 TEM을 이용해서 cell 이미지 촬영을 하고싶은데..
전처리하는 방법을 찾기가 어렵네요 ㅜㅜ 저희 공실관에서는 전처리를 못한다고 해서요 절편기기는 있다고 해서 고정,탈수,염색을 하면 될것같은 데 논문에도 안나와있어서 혹시 아시는 분 있을 까요??
염색방법이 특히 궁금합니다..
|
|
bits lee | 05.30 |
|
Q. |
cell migraion assay 에서 scratch - 샘플 처리 순서가 헷갈려요 |
|
|
안녕하세요.
cell migration (cell proliferation) 실험 set up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HUVEC 셀 사용, ibidi insert well 사용 예정입니다.
샘플의 angiogenesis 특성을 보는 실험의 일종으로 cell proliteration assay 진행하려 하는데, 논문마다
1. seeding 된 세포에 scratch 를 내고 샘플을 처리하여 특정 시간 경과 후 촬영하는 경우
2. seeding 된 세포에 샘플을 처리하고 특정 시간 경과 후 PBS 워싱 후 공배지 처리하여 특정 시간 경과 후 촬영하는 경우
두 가지 방법이 크게 있더라구요,,
제 샘플은 vesicle 이라 uptake 시간이 좀 걸려서 2번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나으련지.. 의견을 여쭙고자 질문 작성합니다..!
|
|
F18 | 05.30 |
|
Q. |
RNA sample을 끓여 버렸습니다.. 괜찮을까요.. |
|
|
안녕하세요
RT 진행 중에 실수로 RNA sample을 45도 15min, 95도 3min 동안 열을 가해버렸습니다... RNA가 깨져서 실험에 사용하지 못할까요 ..?
혹시나 농도를 측정해보니 농도는 동일하게 나옵니다..
도와주세요 ㅜㅜ
|
|
뿌엣,,,, | 05.30 |
|
Q. |
세균만검출되는이유_화장품 |
|
|
안녕하세요, 현재 화장품회사에서 미생물시험담당하고있는데요
간혹 균이 검출되면 세균,진균 둘다 검출되는것보단
세균만 검출되고 진균은 검출되지않은 적이많아서요,
물론 세균만 검출될수는있지만 혹시 다른 어떠한 이유가있는지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
|
하하마 | 05.30 |
|
Q. |
혈청 중 지질 보정 방법 |
|
|
총 지질값은 계산이 되었는데 이 값을 이용하여 혈청 중 지질 보정방법 계산식을 잘 모르겠습니다.
크레아틴처럼 해도 되는건지 아니면 다른 계산식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1414 | 05.30 |
|
Q. |
세포고정에 사용하는 포르말린 시약 |
|
|
안녕하세요.
세포고정에 사용하는 포르말린 시약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Formaldehyde solution(ACS reagent) Cat. 252549 를 구매하려고 하다가
Formalin solution, neutral buffered, 10% Cat.HT501128 제품을 확인했습니다.
혹시 다들 어떤 제품 사용하시나요?
|
|
영이서 | 05.30 |
|
|
|
Q. |
DNA 농도 |
|
|
DNA추출 실험에서 DNA 농도가 낮게 나왔습니다. Gel Binding buffer을 적게 넣어서 그런 것 같은데 혹시 영향이 있을까요? |
|
콩루 | 05.29 |
|
Q. |
웨스턴 gradient gel 만드는 방법 |
|
|
안녕하세요
웨스턴 블랏으로 베타액틴과 200kda 짜리 단백질을 동시에 내려서 보려고 하는데요
6% gel로 하니 베타엑틴이 로딩 중 다 내려가 버리고,
8% gel로 하니 200kda 짜리 단백질이 덜내려가는 것 같아 두가지를 혼합한
gradient gel로 만들어서 내려보고 싶은데
혹시 만들 줄 아시는 웨스탄 블랏 고수님 계실까요?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
룰루미냉 | 05.29 |
|
Q. |
피브린용해활성 시험 질문(fibrin 용액 제조) |
|
|
안녕하세요.
흡광도를 이용한 피브린용해활성 시험(Anson 법)을 처음 진행해보는데
혈전용해 관련 논문 보면
0.6% fibrin용액에 효소액을 접종했다고 하는데
fibrin은 고체인걸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0.6% 용액으로 만들어서 실험을 했다는 건지 모르겠어요.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fibrin plates 법처럼 피브린노겐에 트롬빈을 넣어서 만든다는 글을 봤는데 그것도 어쩌피 나중에 고체로 변하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효소액이 피브린을 다시 녹여서 그 것을 이용한다는 뜻인가요?
제가 실험을 하면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이, 샘플을 접종해도 피브린 용액이 계속 고체상태에서 머물러 있어서 다음 단계로 진행 할 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하죠?? ㅠㅠ 샘플자체 효과가 적으면 진행 할 수가 없는건가요?
|
|
김치주문문의 | 05.29 |
|
Q. |
Agarose electrophoresis band 모양 |
|
|
1번이 DNA ladder, 제일 오른쪽은 TDW, WT, KO 순이고 실험 수업에서 전기영동한 결과입니다
보통 전기영동을 돌리게되면 ㅡ자 모양이나 U자 모양이 정상인데 n자 모양이 나타나서 당황스럽습니다 ㅠ
그리고 DNA ladder도 잘 안 나타났습니다 무슨 문제일까요?
mouse tail에서 DNA extract 후 조교들이 PCR하여 증폭시켰고 저희는 loading만 하였습니다
DNA size marker는 4ul, sample들은 각 10ul, 얇게 나타난 band는 well이 아닌 well 밖에 loading하는 바람에 남은 양 가지고 loading하여 얇게 나왔습니다
(1. 조교가 gel을 미리 만들어 오긴 했지만 보관 상태가 양호했습니다 TAE buffer를 부어 wrap에 싼 상태에서 가져와 gel의 문제는 아닐 것 같습니다만 , gel 문제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1% gel: 0.3g, 30ml, safepinky(EtBr 대체) 사용
2. 전기영동 기기 자체도 아닐 것 같습니다. 새로 꺼내어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전원을 누른 상태에서 뚜껑 덮히면 알아서 loading 되는 고정적인 전압을 주는 그런 기기입니다
3. TAE buffer는 0.5X buffer를 사용했는데 제가 생각하기엔 buffer도 문제 가능성이 보입니다)
|
|
가랑비처럼 | 05.29 |
|
Q. |
protein expression 문제..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protein expression이 잘 되지 않아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타 연구에서 phagy display를 통해 만든 scFv의 3가지 variants들을, 제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sequence를 codon optimization한 뒤, gene합성을 하였습니다.
그 뒤 pET30b vector에 insertion하였고, 최종적으로 sequencing을 통해 mutation이 없는것을 확인하였고,
BL21(DE3)에 transformation을 진행한 다음, iptg induction을 통해 expression 및 분리를 진행하였습니다.
문제는, variants 2개는 expression이 매우 잘 되지만, 나머지 하나는 expression이 전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세 variants의 vector는 모두 동일한 template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promoter나 항생제저항 유전자 등의 vector상의 문제는 아닐것 같다고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중요한 건인지는 모르겠지만, 세 variants간의 아미노산 sequence가 서로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한가지 눈에 띄는 특징이라면, 제 목적의 protein이 expression이 안되는 경우 약 30kDa 근방에서 항상 높은 농도로 expression되는 정체불명의 protein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 세 variants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제 실험에서 expression이 잘 되지않는 protein을 분리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합니다..이 현상을 해결하고자 다른 expression vector, BL21, induction 온도, IPTG 농도 등등 여러 조건을 바꾸어보았지만, 아직까지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서둘러 해결하여야 하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도저히 감이 오지 않습니다..
선배님들이 보시기에는 어떠한 문제때문에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
|
gnuoyh4941 | 05.29 |
|
Q. |
수분건조를 위하여 진공펌프 사용중입니다. |
|
|
샘플(샘플량5g~10g)의 수분건조(약1000PPM이하)를 위하여~
오븐125도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2시간 건조를 하고있는데
진공이 걸린후에 진공펌프를 꺼도 똑같이 건조가 되나요?
아니면 계속 켜져있는 상태로 진행을 해야하나요??
|
|
궁금이입니다. | 05.29 |
|
Q. |
HL-60 현미경 관찰 |
|
|
HL-60을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고 일반 petri dish에 배양중인 학생입니다. HL-60은 부유 세포이기에 일반 petri dish에 배양하고 있는데, 잘 관찰이 되지 않아 이전에 질문을 올린 결과 현미경의 초점이 맞지 않아 그렇다는 소중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 전에, 꼭 드리고 싶은 질문이 있어서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아래 첨부한 사진처럼, 광학 현미경의 재물대에 cell culture중인 petri dish를 그대로 올려서 관찰하면 되는건가요?
2. 부유세포인 HL-60은 ECM이 포함된 cell culture dish가 아닌 일반 petri dish에 배양해도 무방하겠죠?
3. 대부분의 논문이나 선행 연구들을 참고해 보면 흰 바탕에 cell들이 나타나던데, 제가 찍은 사진은 초점이 맞지 않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배경이 노랗고 cell이 잘 보이지 않으며 간균이 관찰되는 것이겠죠?
초보 실험자의 질문입니다. 항상 수고하시는 연구자분들께서 친절히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배지에서자란새싹 | 05.29 |
|
Q. |
식물 동결 건조 파우더 시료 용해 |
|
|
안녕하세요.
식물 동결건조 파우더를 전달 받아 Treat하고 효능이 있는지 실험하고자 합니다.
70%에탄올으로 동결건조한 파우더를
DMSO에 100mg/ml 로 용해하였습니다. (Voltaxing 1~2hr. Sonicator 1~2hr)
DMSO역시 양친매성이라 다 용해가 될거라 생각되는데 Centri를 돌려보니 아랫부분에 녹지않은 시료가 남아있었습니다.
10mg/ml로 농도를 낮추어 다시 용해를 해봣지만 역시나 녹지않은 시료가 남아있었습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실험에 적용하시나요?
계속해서 농도만 낮추어 완전 용해되는 조건을 찾는것은 어렵지 않지만,
유효성분의 양이 너무 적어져 나올 효능도 없게 나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험할 시료가 여러종류라 Stock 할 농도는 다 동일하게 하고싶습니다.
1) 용해되지 않은 부분은 현탁하여 사용하여도 될까요?
2) 안된다면 상등액만을 사용해도 될까요?
다른분들은 이럴 경우 어떻게 실험하시는지 여쭙습니다.
|
|
master_lee | 05.29 |
|
Q. |
LC 정량 data 분석 |
|
|
안녕하세요 요즘 분석법에 대해 배우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원하는 물질이 생성되는가를 LC를 통해 확인을 하였는데 정량적으로 얼마가 생성되었는지를 알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제가 원하는 물질을 ddw 5ml로 녹인 후 200 ul까지 농축을 진행하여 그중 10 ul만 injection하여 분석을 진행중인데요.
LC에 나온 원하는 pick area값에 200을 곱한후 계산하는게 지금 분석하는 sample의 양이 맞을까요? |
|
분자생물학도 | 05.29 |
|
Q. |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시 band 및 ladder가 안나옵니다.  |
|
|
안녕하세요
현재 PCR product를 가지고 전기영동을 진행하고 있는데, 3일전부터 band와 ladder 자체가 안보이더군요,, band만 안나오면, product문제라고 생각하겠는데, ladder 자체도 안나와서 답답합니다...
실험시
100ml 기준으로 agarose 1.5g, EtBr 2ul를 분주하여 etbr이 섞인 1.5% agarose gel 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etbr은 액체 상태로 판매되고 있는 10,000ppm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기영동 전압의 경우 100V, 30min 진행하였으나, 기존에 진행시 잘 나온것을 확인하였습니다.
0526부터 band며, ladder가,, 안나옵니다. 물론 나오기도하지만, 첨부한 사진과 같이 기존에 했을 때와 다르게 ladder의 발현이 매우 미미하거나 안나오고, band 자체의 발현도 smear 하거나 안나옵니다.
현재로써는 gel 제작시 수평 맞추기( comb이 바닥에 안닿는지도 확인함), TAE buffer 새로 교체하여 진행 등
인터넷에 검색하면 나오는 문제점들과 실험시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확인하며 진행해 보았으나, 똑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혹시 선생님들께서 생각하시는 문제점이 어떤게 있는지 작성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해조칼슘풍덩 | 05.28 |
|
Q. |
spread 도말평판법 |
|
|
1.spread방법으로 친구와 같은 희석 농도를 배양했는데 제 것은 콜로니가 없고 친구의 배지에는 콜로니가 생겼어요.
제가 실험에 미숙해서 다른 결과가 나온건가요?
아님 다른 이유가 더 있을까요?
|
|
해콩 | 05.28 |
|
Q. |
293FT trnafection 및 cancer cell infection cell line 제작이 안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
|
|
지난 3월부터 293FT cell로 transfection 진행하고 cencer cell에 infection 시켜줘서 최종적으로 Knock-down cell line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infection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인지 cell이 protein Level에서 전혀 KO 되는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ㅜㅜ
지금 3달동안 이 cell line을 만드느라 힘도 많이쓰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은 상태인데 사수분이 이제 좀 지친거 같아 너무 눈치보이고 힘듭니다.
그래서 제가 궁금한거는 도대체 왜 KO가 제대로 되지 않느냐 입니다.. LV의 양이 너무 많아서 cell이 많이 죽어서 그런걸 수도 있나요?
아니면 제가 infection 시에 filter tip을 사용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 일까요? 도대체 어디가 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너무너무 답답해요
미치겠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어떤게 문제일까요....
|
|
호라칼라 | 05.2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