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을 보고자하는 실험을 구상 중에 있습니다. 키위를 처리하는 대상은 돼지고기 후지입니다. 사전에 Bradford assay 시행을 했었는데, 아미노산에 시약이 작용하는 거라서, 펩타이드 결합이 끊어지는 단백질 분해 작용이 일어나더라도 대조군과 실험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펩타이드 결합 부위가 많이 노출되어 있으면, 단백질 분해가 잘 일어난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펩타이드 결합 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시약이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이것이 아니라면 흡광도를 이용해서 단백질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Assay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111c | 06.07 |
|
Q. |
면역세포 세포내 사이토카인 염색(유세포 분석) 실험 질문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면역세포(백혈구)를 분리 후 세포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 염색을 할때 일반 적으로 pma/ionomycin 자극 + Brefeldin A로 분비 억제 후 고정하고 cytokine항체로 세포내 면역 염색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 pma/ionomycin 자극 할 때 백혈구들이 바로 응집(덩어리짐)을 하는데 이게 원래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유세포 분석 찍을려면 세포가 응집되지 않고 단일 세포여야 하는데 이러면 피펫팅으로 풀어주고 면역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찍는지 궁금함니다.
어류 면역 세포를 가지고 하느라 인간 면역세포에서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Chewi | 06.07 |
|
Q. |
데이터 조작..? |
|
|
혹.. 실험하시면서 융통성있게 데이터 조작 하시나요..??
예를들어 실험물폼 입고 날짜를 변경한다던지 유통기한 같은거요
익명성을 빌려 여줘봅니다.,.,
연구소에서 일하는데..
사료 입고 날짜 나 유통기한 같은것도 그렇고
실험 안한데이터를 넣거나 해서요..
제가 융통성이 없는건지.. 연구소(회사)입장에 맞춰서 하시나해서요..
|
|
kakamilk | 06.07 |
|
Q. |
아토피 유도 DNCB 물질 접촉사고 |
|
|
안녕하세요 마우스 등에 DNCB를 도포하여 아토피 유도모델을 제작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0.5%로 제작한 DNCB를 도포하는 중 금일 손에 실수로 쏟아지는 일이 발생해 바로 흐르는물에 씻고, 장갑을 교체하였는데 혹시나 찝찝해서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브릭 회원분들 중 DNCB유도를 하다가 손에 접촉해보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증상이 미미하게 일어났는지 궁금합니다.
|
|
90ㅎㄱ | 06.07 |
|
Q. |
조단백질 측정이유 |
|
|
논문발표하다 조단백질을 측정하더라구요
보통 식품류들은 조단백질을 측정하던데
질소를 정량한다음 6.25를 곱하는거고
주로 단백질은 16%의 질소를 함유해서 그런거로 알고있어요
1) 근데 식품에서 굳이 조단백질을 측정하는 이유가 뭔가요??
2) 영양성분표에 나오는 단백질량은 조단백질인가요?
|
|
tyrosinase | 06.07 |
|
|
Q. |
50ml 코니칼튜브 세균 진탕배양시 허용 액체배지량? |
|
|
안녕하세요
현재 농산물 식중독세균 연구를 처음 진행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을 TSB 배지에 스토마커로 균질화를 한
후 50ml 코니칼튜브에 옮기고나서 24시간 진탕배양을 진행합니다 그 후 PCR 검정을 진행 하는데요
여기서 농산물을 TSB 배지에 스토마커로 균질화한 후에 50ml 코니칼튜브에 옮길 때 배지량을 30-40ml를 채우고 진탕배양을 하는데요 결과적으로 세균이 자라긴 하는데 공기층이 너무 적은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더라구요… 캡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지만 조그만 구멍?!이 있는 캡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
조똥똥 | 06.06 |
|
Q. |
Colony pcr 결과 해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Enzyme 2 cut으로 진행하였고
Ligation후 transformation하고
다음날 배지에서 자란 colony를
Vector primer(F)와 insert만들때
썻던 primer(R)로 pcr을 돌렸어야 하는데 착각해서 insert primer(F,R)만 가지고 pcr을 돌렸습니다
그 결과 예상 사이즈의 밴드가 나왔습니다
서로다른 enzyme을 가지고 2 cut으로 진행했으니까 insert가 거꾸로 들어갈일은 없고
결론적으로 ligation이 제대로 됐다고 봐도 될까요? |
|
시진핑핑이 | 06.06 |
|
Q. |
FMOC 유도체화 관련 질문 드립니다.(HPLC) |
|
|
Hydroxy Proline을 HPLC로 분석하기 위해서 유도체화 과정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관련 논문을 읽어보니까 아세톤과 FMOC-Cl, 가수분해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Pentane으로 추출을 진행한다고 하는데, Pentane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있을까요?
Termination of the reaction and removal of excess FMOC-Cl, its hydrolysis product FMOC-OH, and acetone were performed by extraction with 300 µL of pentane
- 참고 논문입니다
|
|
연람 | 06.06 |
|
Q. |
Takara q-pcr standard 질문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6개월차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takara사의 q-pcr기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standard 값을 어떻게 지정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해당 standard 값을 어떤 식으로 설정을 해야할까요??
sample은 2ul씩 사용하였고 1, x10 ... x70까지 희석하여 분주하였습니다
|
|
해삼성게 | 06.06 |
|
Q. |
대학원 3개월차 RNA정량 원리도 제대로 모르면... |
|
|
대학원 3개월차 신입생이 RNA 정량 원리도 제대로 설명 못하면 많이 심각한거겠죠?
absorbance정도밖에 답을 하지 못했습니다.
추가적으로 Ki67 마커를 왜 보는지? 굳이 cleaved caspase-3를 왜 보는지?에 대해서도 제대로된 설명을 하지 못했습니다.
Ki67, cleaved caspase-3의 경우, 논문을 통해 여러차례 나왔음에도 단순히 proliferation marker, apoptosis marker라고밖에 답하지 못하였습니다.
당연하게만 생각하고 측정 기계를 이용하여 정량을 진행해왔던 것도 있고, 당연하게 생각해서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은것 같기도 합니다.
그리고 논문도 3개월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편수가 10편도채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한편 이해하기도 벅찬 느낌입니다.
가르쳐주지 않으면 찾아보는 것이 당연했던것이겠지만 위에서 말한것처럼 당연하다고 생각해 그러지도 않았요.
교수측 입장은 3개월동안 대체 뭘 했는지 모르겠다며 나가기를 바라는 상황인듯 합니다.
교수측 입장대로 3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저것들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건 정말 심각한 상황이겠죠?
|
|
힘을내요 | 06.06 |
|
Q. |
고체배지 세포배양 실험 결과 오류, 도와주세요! |
|
|
세포 배양 실험을 하기 위해
1. 안 씻은 손
2. 물로만 씻은 손
3. 비누로 씻은 손
이렇게 세 가지로 조건을 다르게 하여 고체 배지에 찍은 후 항온기에서 38도로 하여 세균을 배양하였는데
물로만 씻은 손보다 비누로 씻은 손에서 세균이 더 잘 자라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2, 3번째 비누로 씻은 손, 물로 씻은 손 둘 다 씻은 후에 같은 티슈로 물기를 제거한 후 실험 진행하였습니다. 배양 결과가 예상과는 다른데
고체 배지에 손을 찍을 때 손에 물기가 남아 있다면 세균 배양 과정에서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나요? 만약 있다면 손에 물기가 남아 있는 것과 남아 있지 않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에서 더 잘 자라는 지, 혹은 미생물 비누로 손을 씻은 경우에 물로만 씻은 손보다 비누로 씻은 손에서 세균 배양이 더 잘 이루어지는지 그 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
우니e | 06.06 |
|
Q. |
5% skim milk... 왜 아무것도 안 나올까요? |
|
|
안녕하세요, western blot 수련생입니다.
biosesang 꺼 blocking buffer 사용하다가
background, 비특이 밴드가 사라지지 않아서
5% skim milk(서울탈지분유) 만들어서 사용 했는데요,
밴드가 하나도 안 나오네요.. 아무것도 없는 까만 화면만 나옵니다.
멤브레인 전체가 문제인가 했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blocking buffer로 항체 처리한 부분은 잘 나오네요..
원인이 뭘까요..? skim milk가 좋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나오지 않아서 당황스러워서 질문 드립니다.
5% skim milk PBST에 colloid 형태로 녹이고 항체 희석해서 사용했습니다.
blocking 2시간 정도 하였고,
1차 1:1000 (santa cruz) 19시간 정도 o/n, 2차 1:5000 1시간 진행했습니다.
|
|
Brady | 06.05 |
|
Q. |
불안정한 단백질 샘플 얻는 법 |
|
|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 차에 WB으로 애를 먹고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WB으로 보려고 하는 단백질이 turnover가 잘되는 매우 불안정한 단백질이어서, WB을 했다 하면 원하는 크기의 band가 아닌 그보다 더 작은 isoform의 밴드가 잡힙니다.
단백질을 얻는 과정은 mouse의 눈에서 bleeding을 하여 lymphoprep이라는 kit를 이용하여 뽑고 있으며, bleeding을 제외하고 kit를 사용하여 RIPA를 넣기 전까지의 과정이 대략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혹시 이렇게 turnover가 잘 되는 단백질의 경우, 따로 샘플을 만드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
|
킹짱프 | 06.05 |
|
Q. |
메탄올 희석 후 incubation 이유 |
|
|
GC-MS 실험을 위해 미생물 배양 및 추출 하는 전처리과정에서 7 days cultured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 후 상층액 2ml에 MeOH 4ml을 첨가하여 1시간 incubation을 실시하였습니다.
여기서 1시간의 incubation을 실시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vial에 넣고 분석하면 안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
|
아렛 | 06.0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