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DNA 양 계산 질문 여기서 445를 곱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
|
농도계산법 : 흡광도 측정 값 ⅹ희석비율(%)ⅹDNA 측정 상수 값 (50) /단위 ㎕로 환산.
DNA 를 총 500 ㎕를 맞췄다. 그리고 5 ㎕ DNA 를 1,000 ㎕ 물로 희석하여 비율은 200 이다.
A 260 = 0.064 과 A 280 = 0.039 이다. DNA 의 농도와 순도는?
0.064 x 200 x 50 = 640 ㎍/ml = 0.64 ㎍/㎕ x 445 ㎕ = 284.8 ㎍을 갖고 있다. 순도(Purity)는 0.064/0.034 = 1.88 이다. 그러므로 단백질 등의 오염 순도가 높다.
DNA양을 구하려면 640에 0.005를 구해야하는것이 아닌가요? 그런데 왜 뜬금없이 445가 나온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445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
|
알토 | 2022.06.19 |
|
Q. |
DNA농도와 양 계산에 대한 질문 |
|
|
농도계산법 : 흡광도 측정 값 ⅹ희석비율(%)ⅹDNA 측정 상수 값 (50) /단위 ㎕로 환산.
DNA 를 총 500 ㎕를 맞췄다. 그리고 5 ㎕ DNA 를 1,000 ㎕ 물로 희석하여 비율은 200 이다.
A 260 = 0.064 과 A 280 = 0.039 이다. DNA 의 농도와 순도는?
0.064 x 200 x 50 = 640 ㎍/ml = 0.64 ㎍/㎕ x 445 ㎕ = 284.8 ㎍을 갖고 있다. 순도(Purity)는 0.064/0.034 = 1.88 이다. 그러므로 단백질 등의 오염 순도가 높다.
여기서 445 는 대체 왜곱하는건가요? 양을 구하려는건가요? |
|
알토 | 2022.06.18 |
|
Q. |
단백질 농도 측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
|
|
농도계산법 : 흡광도 측정 값 ⅹ희석비율(%)ⅹDNA 측정 상수 값 (50) /단위 ㎕로 환산.
DNA 를 총 500 ㎕를 맞췄다. 그리고 5 ㎕ DNA 를 1,000 ㎕ 물로 희석하여 비율은 200 이다.
A 260 = 0.064 과 A 280 = 0.039 이다. DNA 의 농도와 순도는?
0.064 x 200 x 50 = 640 ㎍/ml = 0.64 ㎍/㎕ x 445 ㎕ = 284.8 ㎍을 갖고 있다. 순도(Purity)는 0.064/0.034 = 1.88 이다. 그러므로 단백질 등의 오염 순도가 높다.
여기서 445 는 대체 왜곱하는건가요?
|
|
알토 | 2022.06.13 |
|
Q. |
Mouse로부터 gDNA를 추출해 genotyping하는 실험 중 입니다 |
|
|
Mouse의 꼬리로 부터 gDNA를 추출해 genotyping하는 실험 중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Proteinase K를 사용하고 하루동안 incuvate 시켜놓은 샘플에다가 50ul의 saturated NaCl(6M)을 첨가하였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DNA를 얻어냈습니다.
그런데 왜 포화 NaCl을 첨가했을때 DNA만 용해되고 나머지 물질은 불용성 물질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genotyping 한 결과 정상 밴드와 KO된 밴드를 제외한 밴드는 HT에서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밴드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델라웨어유학생 | 2022.06.11 |
|
Q. |
DNA농도를 높이려고 하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
|
이미 정제되어있는 500ng/ul 정도의 DNA 샘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더 높은 농도의 샘플을 원하기때문에 이 샘플들을 합쳐서 높은 농도로 만들려고 합니다(ug수준). 어떤 방법이 좀 더 손실이 적고 효과적인가요?
column을 이용해서 할려니 column의 수용력? 에는 한계가 있어서 안될것같고… 샘플들을 합쳐서 에탄올 침전법으로 침전시킨 뒤, 다시 elution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제가 원하는 농도만큼 얻어낼 수 있을까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
놀고싶다 | 2022.06.10 |
|
|
Q. |
DNA extract kit autoclave 돌려야할까요?? |
|
|
DNeasy PowerSoil Pro Kit
로 토양 sample을 뽑았는데 아무래도 테이블에서 열어서 사용을 하다보니
다음에 사용할 때는 오염이 되어있을 것 같아서요
handbook이랑 여기저기 구글링을 해도 kit를 오토클레이브 돌린다는 말은 없고 solution에서 자라버린 미생물들이 나중에 데이터에 나올까봐 두려워요...
자세한 성분도 표기되어 있지 않아서 알아낼 방법이 없네요
마지막에 사용하는 용액이 10mM Tris 라는 것 밖에는....
혹실 실험하시는 분들은 kit관리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
Seoki | 2022.06.03 |
|
Q. |
동결건조시 sample이 overdry된 경험이 있으신 분 계신가요? |
|
|
안녕하세요,
저는 특정 DNA를 HPLC로 purification하여 DNA sample을 분취한 후 동결건조를 진행하는데요.
가끔씩, 동결건조를 하면 DI water에 녹여도 잘 안녹는 문제를 겪곤 합니다.
혹시 여기 선생님들은 실험하시면서 어떤 sample(단백질, DNA,RNA)이든 동결건조를 하고나서 sample을 다시 녹일 때, overdry때문에 sample이 잘 안 녹는 문제를 경험해 보셨는지 궁금하고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
공부하자공부 | 2022.06.02 |
|
Q. |
토양 DNA pooling을 해야할까요?? |
|
|
이번에 토양에서 DNA를 뽑았습니다.
DNA를 뽑기 전에 토양을 잘 섞어서 뽑기는 했습니다만...
문득 드는 생각이 "3반복" 이었습니다.
1개의 토양sample에서 DNA를 3번 뽑아서 섞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글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
Seoki | 2022.06.02 |
|
|
Q. |
토양DNA extract kit 사용할 때 질문있습니다! |
|
|
저희 랩이 신생랩이라... 실험실에 kit 사용해본 사람도 없고 DNAwork 할 줄 아는 사람도 없어서 물어볼 곳이 없네요...
아무리 찾아도 정보가 잘 안나와서 그런데 kit 사용할 때 질문 2개만 부탁드려요!
1. kit에 읽어보니까 토양 0.25g 넣으라고 되어 있던데 토양을 채로 쳐서 0.25g을 넣어야 겠죠?? 혹시 실험실에서 보통 몇 mm 채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2. 맨 처음에 homogenizer로 시료를 분쇄하던데 protocol에는 액체질소로 동결하라는 말이 없던데.... 찾다보니 액체질소로 동결하고 분쇄하기도 하더라구요
혹시 액체질소로 동결하는건 꼭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액체질소로 동결하고 DNA 뽑으면 결과가 더 좋다거나...
|
|
Seoki | 2022.05.26 |
|
Q. |
Dneasy power pro soil kit 롤 DNA뽑을때 액체질소 필요한가요 |
|
|
처음에 bead tube에 토양 샘플 넣고 homogenizer에 30 초 돌릴 때
누구는 열이 발생하기도하고 분쇄를 위해 액체질소에 얼린 후 돌려야한다는 말을 하던대...
제가 protocol에 찾을 때는 액체질소에 넣으라는 말이 없는 것 같아서요..
식물 sample은 얼려야 분쇄가 잘 될 것 같긴한데 토양sample도 액체질소로 얼리고 homogenizer 해서 DNA 뽑아야 하는건가요??
|
|
Seoki | 2022.05.25 |
|
Q. |
plasmid dna 추출 |
|
|
고등학생입니다. plasmid 추출 실험을 준비 중입니다. 실험 과정에 대한 여러 글을 보며 생긴 의문이 있습니다. 추출 이전의 과정인 대장균 배양 과정 중
1.액체 배지에 항생제를 주입하는 이유와 1000:1 비율의 이유,
2. 배양기에 넣고 200rpm으로 회전시켜 주는 이유,
3. 굳이 배양하지 않고 실험 재료 판매 사이트(생물나라)에서 구매한 대장균을 추출에 직접 이용해도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sa06003666 | 2022.05.24 |
|
|
Q. |
OD값잴때 큐벳에 LB넣어주는이유? |
|
|
안녕하세요 단백질 발현시키는 과정에있습니다. OD값잴때 큐벳에 LB넣어주는이유? 찾아보니까 blank값 넣어주라는데 굳이넣어주는이유가 뭔가욥 ㅠㅠㅠ
|
|
choheec | 2022.05.24 |
|
Q. |
OD 값이 높거나 낮으면 안되는 이유? |
|
|
OD값이 높으면 세포 수가 많아져 빛을 튕겨내어 농도가 높다는건 알겠는데,
세포 수가 많은게 나쁜것인가 라는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
|
생명학도 | 2022.05.19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