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pdx 한계극복방법 |
|
|
환자의 암을 누드마우스에 이식해서 그 종양을 키운 후 다양한 항암제를 투여하면서 효능 확인을 하는때 이때 누드마우스에 이식된 암은 마우스에 적응하는데 환자의 암과 같다고 볼 수 있나요? 아니라면 이 방법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
duqdlghksd.. | 2022.12.02 |
|
Q. |
토끼 마취 질문입니다. |
|
|
항혈청을 얻기 위해 토끼 마취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약 3~4kg의 토끼를 마취하여 심장채혈 할 예정인데
찾아보니 졸레틸 or 케타민과 럼푼을 섞어서 많이 사용하시더라고요.
그 중 졸레틸은 성체 토끼의 경우 마취하는데 있어 적합하지 않다는 말이 있어 케타민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근데 아무리 찾아봐도 용법과 mix 비율을 찾을 수가 없어서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용법을 보더라도 이걸 얼마나 써야하는건지 주변에 알려줄 수 있는 분이 계시지 않아
오로지 혼자 찾아서 이해하고 진행해야하는데 찾더라도 맞게 이해한건지 잘 모르겠네요.
이전 랩에서는 주로 mouse만 써봐서 ether만 사용하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주사마취제를 사용하게 되어서 너무 아는 것이 없습니다.
경험있으신 분들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
|
흑묘단단 | 2022.12.02 |
|
Q. |
마우스 background를 PCR로 간단히 확인 가능한가요? |
|
|
안녕하세요.
저희 연구실에서 C57BL6과 129라인을 키우고 있는데, 최근 실험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마우스 라인이 오염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우스 background를 확인하는 방법들을 찾아보니 Jackson lab에서 SNP를 이용하여 확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더라구요.
그런데, 다른 선배들 말을 들어보니 해당 마우스 backgound를 대표하는 PC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돌려보면 간단히 확인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하여 좀 더 자세히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저는 C57과 129 마우스 라인에 대해 PCR을 해보고 싶은데, 어떤 프라이머를 사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
|
대학원생인가노예인가 | 2022.12.02 |
|
Q. |
cre/loxP 마우스 genotyping |
|
|
adipose tissue specific cre 마우스와 loxp homo 마우스 mating 후 pup 자라서 발가락 잘라서 genotyping 하였는데 호모 loxp 일때, cre gene이 PCR 했을 때 나오지가 않습니다.
어떤게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
별헤는밥 | 2022.12.02 |
|
Q. |
마우스 해부 시 림프절의 위치가 궁금합니다. |
|
|
안녕하세요!
balb/c mouse 모델로 아토피 실험 진행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아토피 관련 논문들 보다 보니 해부 시 림프절 크기도 많이 비교하더라구요
mouse 림프절의 종류가 다양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아토피 실험에서 주로 보는 림프절이 따로 있는것인지
아니면 떼기 편한 림프절을 떼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혹시 관련 실험을 진행해보셨다면 어느 위치의 림프절을 보셨는지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jineee | 2022.11.30 |
|
Q. |
추출물의 효능평가가 성분의 효능평가보다 선행되어야 하나요? |
|
|
A라는 추출물의 효능평가와 기전탐구를 만성 염증 관련 동물모델을 통하여 진행하였습니다.
A라는 추출물의 효능평가와 기전탐구에 앞서, A의 추출물과 각 분획의 항산화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부탄올, 헥산 분획, 추출물 순으로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저는 분획의 항산화 효능과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이 높으나 각 분획의 효능이 보고되어있지 않고, 면역 강화 효과를 가지는 분획이 있을 수 있으며, 추출물의 항염 효과가 이미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총 추출물의 효능 평가가 선행되는것이 안전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때 궁금해진것이 추출물의 효능평가가 성분의 효능평가보다 선행하는것이 혹시 routine 한것인가 하는 궁금증이였는데요.
선배님들의 좋은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
caco2 | 2022.11.30 |
|
Q. |
Matrigel plug assay (angiogenesis assay) 질문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혈관신생 연구를 하다가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저희가 어떤 특정 물질을 혈관신생 억제 물질로 기대를 하고 동물실험을 진행
하려고 하는데요.
논문들의 method를 보면 특정 물질 + matrigel을 섞어서 마우스에 주사하는것
또는, 특정 물질을 처리한 cell + matrigel을 섞어서 마우스에 주사하는것
두종류의 방법들이 나왔는데요.
물질 처리한 세포를 matrigel이랑 섞어서 주사한는거랑
물질을 matrigel이랑 섞어서 주사하는거랑 무슨 차이가 있나요?
cell이 있고 없고가 큰 차이가 있나요?
저희가 생각하는 cell은 HUVEC 입니다.
제발 연구원님들 꼭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
|
medi92 | 2022.11.29 |
|
Q. |
아토피 유발 mouse 해부 관련 문의입니다. |
|
|
안녕하세요
balb/c mouse 모델로 아토피 유발 실험중인 대학원생입니다.
현재 실험 진행중이며 곧 해부를 생각하고있는데
mouse의 털 자라는 속도가 너무 빠르더라구요
바리깡이랑 제모크림으로 제모 후 실험 시작했는데 지금은 꽤 많이 자란상태입니다.
이런경우 해부 시 제모크림과 바리깡 이용해서 제모 후 피부 조직을 취하는게 맞는 방법일까요?
제모크림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주진 않을까요?
다들 balb/c mouse 모델 사용해서 아토피 실험 시 피부조직 취하는 방법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jineee | 2022.11.28 |
|
|
Q. |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평가에서 용량 의존성 반응이 나오지 않을 경우 |
|
|
자가면역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한 후보물질의 효능 평가를 비임상 CRO를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을 포함하여 시험물질 3가지 용량 (3mpk, 10mpk, 30mpk)를 2~3주 1회/1일 경구투여하여 효능 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
임상학적 평가, H/E 염색을 포함하여 몇 가지 조직형태학적 평가를 진행했는데, 양성대조군은 문제없이 효능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런데 시험물질 3가지 용량의 경우 대조군 대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효능 있음은 확인되었지만, 3가지 용량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습니다.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후보물질의 용량 의존적인 효능 결과 확보가 필요한데 이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
iwill75 | 2022.11.25 |
|
Q. |
태어난 지 하루가 채 지나지 않은 마우스도 구매를 할 수 있나요? |
|
|
저희 실험실에서 cross-fostering을 하게 될 것 같은데요. 웬만한 논문들에서는 쥐들의 mating 시기와 새끼를 낳는 기간이 거의 비슷하더라고요. 근데 저희가 사용할 쥐가 mating을 잘 하지 않는 습성이 있어서 시기를 비슷하게 맞추기가 어려울 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transgenic 마우스가 새끼를 낳는 그 날에 태어나는 WT 마우스의 새끼를 받아오는 것이 가능한 업체가 있나 궁금하네요.. 없으면 아쉬운 대로 1일령을 쓰든지 해야겠지만요.
|
|
성양 | 2022.11.25 |
|
Q. |
dss유도 장염 모델은 어째서 female로도 실험하는 것이죠? |
|
|
일반적으로 실험 동물 사용시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로 인하여 이를 배제하기 위해 수컷으로 실험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실험을 기획할때, DSS의 농도가 정해져있지 않아 농도확립을 위한 실험을 하여야 하고, 유도시 마우스가 희생되거나, 유도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암컷이 DSS에 저항성을 가져 보다 높은 농도에서 유도되며, 수많은 논문에서 암컷을 실험동물로 쓰는것을 확인한 후, 암컷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왜 수컷으로 실험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이 들어왔을 때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는 사라지지 않았고, 심지어는 estradiol이 보호효과를 보인다고 논문화 되어있더군요. 실험에서는 변수를 줄이는게 기본이고.. 그래서 암컷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데도 불구...
이런 기본적인 문제가 존재함에도 어째서 암컷으로 실험한 논문이 많은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
caco2 | 2022.11.24 |
|
Q. |
동결 절편 제작 프로토콜 검토 |
|
|
안녕하세요 동결 절편 제작을 하려고 방법을 찾아보던 중에 검토받아보고자 질문 남깁니다.
1. 장기 절단
2. 고정(10% NBF) 24시간
3. 10% sucrose/0.1 M PBS 4도씨 4시간
4. 15% sucrose/0.1 M PBS 4도씨 4시간
5. 20% sucrose/0.1 M PBS 4도씨 하룻밤
6. 동결포리 (드라이아이스)
7. crystat 절편
8. 냉풍건조 실온 1시간
9. 세정 5분간 3회
이러한 과정으로 진행하려고 하는데 궁금한건 20% sucrose 처리 후 세척과정은 따로 필요하지 않은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
라디칼 | 2022.11.21 |
|
Q. |
블랙 마우스, 마취 후 IV 투여 |
|
|
고정틀 사용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마취 후에 IV 투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마취를 하면 혈류가 약해 보이던 혈관도 잘 안보인다던데
블랙 마우스를 마취를 하면 꼬리 혈관을 찾을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혹시 경험있는 분이 계실까요?
아니면 도움이 될만한 Tip 이 있을까요?
|
|
아이좋아 | 2022.11.16 |
|
Q. |
tissue process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
|
|
rat brain으로 paraffin block을 제작하려고 하는데 처음 해보는거고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이곳에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ㅜ
인터넷에 올라온 여러 protocol을 참고해서 진행중인데 탈수과정에서 '70% 에탄올 1시간 ➡️ 80% 에탄올 1시간 ➡️ 95% 에탄올 1시간 30분 ➡️ 100% 에탄올 1시간 30분 ➡️ 100% 에탄올 1시간 30분' 이렇게 하라고 되어있는데 여기까지 하면 퇴근 시간이 되서요... 100% 에탄올에서 overnight 해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다음 과정이
'크실렌 + 100% 에탄올 1대1로 1시간 ➡️ 크실렌 1시간 ➡️ 파라핀+크실렌 1대1로 2시간 ➡️ 파라핀 1시간 ➡️ 파라핀 overnight' 이라고 되어있는데 파라핀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embedding 해도 될까요?? 파라핀을 녹일 곳이 마땅치가 않아서요ㅠㅠ dry oven은 없고 water bath는 있는데 이걸로도 가능할까요?ㅠㅠ |
|
탈탈털어 | 2022.11.16 |
|
Q. |
ko, f/f, villin-cre mouse 관련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이제 막 논문을 읽기 시작한 대학원생입니다..
ko mouse와 관련된 논문만 읽다가 flox, cre의 아직 기본적인 개념을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우선 논문에는 총 4가지의 mouse가 나오는데
CD47 KO, CD47 f/f, CD47 ΔIEC, CD47 ERΔIEC입니다. CD47 ΔIEC 은 villin-cre, CD47 ERΔIEC는 villin ERT2-cre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4가지가 어떻게 다른가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여쭤볼곳이 없어서 남깁니다..
|
|
ujin | 2022.11.1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