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이엔셀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Plant Biology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전기영동 결과 분석 좀 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
오른쪽 전기영동 결과가 정상적이 결과이고 왼쪽이 실험 결과입니다. 왜 저렇게 나왔는지 쓰라고 하는데 이유를 전혀 모르겠어요,,, 실험은 plant gDNA prep 입니다..!
회원작성글 yang__jjj  |  2022.05.19
Q. 황금향나무의 새순이 노란색인 이유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질문의 수준이 부족하지만 궁금증에 질문 올립니다. 학교 정원에 있는 나무를 보다가 다른 향나무와 다르게 새순이 노란 그루를 관찰하고, 이 나무가 황금향나무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통 나무의 잎이 노랗다면 수분의 양 또는 질병의 문제인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경우와 다르게 이 종은 다른 요인이 정상적임에도 노란색으로 잎이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김규연  |  2022.05.15
Q. 꽃이 진 나무의 줄기와 잎이 붉게 변하는 이유
고등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 나무를 관찰하다가 여름인데도 불구하고 꽃이 진 나무들은 가장자리부터 잎과 줄기가 붉게 변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관찰한 나무는 매화와 진달래입니다. 나무의 색소가 생존원리와 어떤 연관이 있어서 꽃이 진 후 잎과 줄기의 색이 변하는 것인지, 왜 가장자리부터 그런 변화가 생긴 것인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김규연  |  2022.05.15
Q. 잎의 최대 성장치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공계 식물을 계속 연구하고 싶은 꿈을 꾸고 있는 고3 입니다. 식물에 대해 궁금증이 있어 이리 남깁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못 찾아서 흔히 잎사귀가 있는 식물들을 보면 잎사귀가 일정 크기로 자라서 더이상 성장을 하지 않는것처럼 보이는데 그 원인은 무엇이며 최대 성장치를 계산할 수 있는 수식은 뭐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원인을 약간 찾아서 예측은 광포화도인데.. 정확한지 모르겠어서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텃밭34  |  2022.05.13
Q. BC균 습도 관련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BC균들 접종 후 온도는 25도로 맞추어서 하고 있지만  습도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알려주새요ㅠㅠ
회원작성글 혜주가  |  2022.05.03
Q. 엽록소 추출 실험(Chlorophyll Extraction)에서 왜 어두운 곳에서 24시간 방치하나요?
주변 여러 식물에서 Chlorophyll Extraction를 통해 추출한 엽록소의 흡광도 비교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실험과정에서 용매를 이용해 추출 후 섭씨 4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방치하라고 하는데 왜 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시간이 부족할 시 위의 과정을 생략하고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회원작성글 궭뒑뷁됅솫돿이  |  2022.05.02
Q. 허브(타임)을 추출할 때
허브(타임)의 티몰 등의 항균 성분을 과학전문장비 없이(전기포트로 끓이거나 중탕하는 방법 등) 가장 유효하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현재 생각은 물 : 에탄올 = 3:7 용매로 하고 허브를 넣고 10%용액을 만들어 80도에서 중탕 또는 포트에  끓여서 추출하려고 합니다. 이 추출액으로 항균 실험해도 될까요? 그냥 물만 넣고 끓일 경우 허브 정유의 유효 성분을 얻기 어려운 이유(쉽게 )가 뭔가요?
회원작성글 과알못  |  2022.04.29
Q. bc균 접종 후 생기는 문제 첨부파일
고체 배지에 bc균을 접종을 해주고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을 하는 중인데 일주일 정도 지켜보면 물같은게 생기는데,, 기계가 문제일까요? 쉐이킹 하는 기계에 두고 배양 할 때 정말 문제는 그닥 없었고 새로 온 인큐베이터로 옮기면서 문제가 생김... 뚜껑이 아래로 갈 수 있도록 해두고 있음.  온도는 25도가 좋다고 하여 그렇게 실행 중,,,  
회원작성글 혜주가  |  2022.04.28
Q. 희석계산
어떤 키트에 Reconstitute at 0.2 mg/mL in sterile,deionized water. Deionizd water. 라고 되어있습니다. 키트 용량은 100 ug이고 전량 다 사용할 시 0.5 ml 멸균증류수에 현탁하여 사용하면 되는게 맞나요?
회원작성글 mimi99  |  2022.04.25
Q. HO enzyme assay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G6P가 들어가는...
안녕하세요. 식물 Heme oxygenase assay를 하고 있습니다. 본디 식물의 HO enzyme assay(T. Muramoto, et al., 2002) 에는 25도 ~30도  시금치 FAD와 FADR을 사용해서 NADPH를 공급하는데, 동물실험은 G6P와 G6PR(S. Ryter, et al., 2000)을 사용하더라구요? 마침 공교롭게도 시금치 물량이 없는지 시금치 FAD가 재고 없음이 떴습니다 ㅠㅜ 랩 미팅시간에 이 실험에 대한 안건이 나와서 G6P를 대체품으로 사용 할 수 있는지,NADPH 사용하는 실험 중에 FAD 대신 G6P를 써 보신분 있으신가요? 혹은 e동물에도 FAD가 있는데 실험에서 FAD 대신에 G6P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고 계시거나 어느 책에서 찾아 봐야 하는지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인터넷에 동물 실험 프로토콜들을 찾아보면 너무 기본적인 내용인지 다들 G6P를 사용하는 이유는 따로 기술해 놓지 않았더라구요 ㅠㅜ  method 전문 서적들을 봐도 얘들은 assay원리만 설명할 뿐 왜 이 시약을 쓰는지는 잘 안나오네요. 아마 동물과 식물의 차이에서 오는 것 같은데 힌트가 필요합니다. p.s  sigma 대신 타 회사에서 판매하는 Ferredoxin from Spinacia oleracea (spinach) 곳 알고 계신 분 있으세요? 졸업논문 키 실험인데 살려줏메요 ㅠㅜ
회원작성글 M0T1V3  |  2022.04.14
Q. plant protoplast isolation 후 광학현미경 관찰 첨부파일
튤립 잎으로 protoplast isolation 후 광학현미경 관찰 중에 발견하였습니다. 구 안에 보면 엽록체 말고 큰 것이 액포인 것 같은데, 액포 사이사이에 작은 덩어리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안에서 계속 흐르고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그게 뭘까요?
회원작성글 감자역병  |  2022.04.14
Q. 단백질에서 아미노산 위치 표시해주는 프로그램
  사진처럼 전체 단백질에서 특정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꿔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이것을 시각화할려고 한는데 어떤 프로그램이 있나 해서 문의 합니다. 단백질안에 특정 아미노산을 표현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서eee  |  2022.04.14
Q. 학부생 논문 이해 도와주세요
학교 과제로 논문을 보다,  " we genetically mapped coi1 in F2 plants from a cross between the coi1-1/ coi1-1 mutant derived from Araidopsis ecotype Columbia and wild type COI1/COI1 plants of ecotype Landsberg erecta." 라는 문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석만 될 뿐, 이해가 정확히 되지 않더라구요. coi1-1을 자가교배 시켜서 F2 plants를 얻은 coi1과, wild 타입인 COI1을 자가교배 시켜서 얻은 것, 이 두개를 이용해서 coi1을 mapping했다는 것인가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mapping이 뭔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해주실 수 있을까요?   자세하고 꼼꼼하게 설명해주시면 더욱더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관련 논문 추천....이라던지...?!) 보시다 싶이 학부생이라,,,,,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미생미생물  |  2022.04.10
Q. 식물 조직배양 실험에서 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식물 조직배양 실험을 진행 중인데, 실험을 진행하다보니 식물 조직의 생존률이 너무 낮아 소독 방법을 수정해가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독방법에 문제가 있기 보다는 식물조직이 배양되고 있는 밀봉된  petri dish의 습도가 너무 낮아 시료가 잘 생장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혹시 배양하고 있는 petri dish 내의 습도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혹은 배지의 특정 조성 성분을 조절하면 밀봉된 petri dish 내의 습도를 올릴 수 있을까요??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회원작성글 aligff  |  2022.04.08
Q. 식물 잎 배양
African violet 잎을 배지에서 배양하려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잎을 에탄올로 소독 시 너무 오래하면 탄력을 잃는다고 하더라구요 에탄올의 어떤 성분이 잎의 탄력을 잃게 만드는 것인가요?   그리고 배양 시 작은 잎이 큰 잎보다 활력이 더 좋다는데 그 이유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바이오팜  |  2022.04.05
Q. MYA 배지 관련 질문 드립니다
연구 중인 균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배지로는 자라지가 않아서 관련 논문을 찾아보던 중   MYA 배지에서는 자라는 걸로 나와 있더군요   근데 조건이 (15% g/L malt extract, 5% g/L yeast extract, and 15% g/L Agar)   이런 식으로 %로 나옵니다 그냥 g로 나오지 않고 %로 나오니   헷갈려서 도움이 필요합니다
회원작성글 죽업  |  2022.04.04
Q. 갈색무늬병 실험
안녕하세요 저는 갈색무늬병 방제처리 관련해서 실험을 진행하려 하는데요.. 조사해보니까 사과나무에서 집중되어 발병된다고 하더라구요.  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하는데 조금 작은 나무나 식물에서 진행해도 될까요?  만약 가능하다면 추천해주실 만한 식물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가을역사시  |  2022.04.03
Q. 추출물 HPLC 분석 시 정제 정도
천연물 추출물의 HPLC 분석 중에 있어서 의문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1. 정제를 거치지 않고 액상 추출물 상태 그대로 LC 분석이 가능한가요? 2. 정제가 안된 경우 피크가 굉장히 많이 나오고 겹쳐나올 수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그럴경우 LC 조건으로 조절하는 것보단 추출물 자체를 분획하는 방법이 좋을까요 ? 3. 추출물 그대로 분석할 경우, 파우더 형태가 아니라서 함량(ppm)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회원작성글 ಠ_ಠ  |  2022.03.31
Q. R&E 주제 방향
안녕하세요 일반고 2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이번에 스팀 R&E 입문분야를 참가신청하려고 합니다. 실생활문제를 융합 지식과 과학적 연구 방법으로 해결하는 목적의 일반분야가 아닌 일반고 학생의 연구 활동 기회 확대가 목적인 입문분야 입니다!! 약학, 생명, 생물쪽에 관심이 많아서 이쪽으로 주제를 정하려는데 한번에 여러자료들을 보고 마음이 급해서인지 아직 갈피를 못잡겠습니다 ㅠㅠ 지원금은 200만원 내외인데 고등학교 수준에서 할 수 있는 실험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회원작성글 응ㅇ애  |  2022.03.30
Q. 플라보놀 중 카테킨 화합물 관련해서,,, 도와주십셔,,
카테킨 관련 논문 보는 중입니다.,, 카테킨 화합물이 이렇게 나뉘는 것 같은데, (+) (-)는 뭘 의미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명 가능하신 분 구합니다,,ㅜㅜ
회원작성글 cressubeq  |  2022.03.29
이전  01 02 03 04 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