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서브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Laboratory Animals > Animal Dosing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4%DMSO corn oil IP injection 후 colitis..?
  안녕하세요~ 경험이 많이 부족하여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control로 mouse에 4% DMSO+Corn oi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control 4마리 group에서 첫날 Intraperitoneal 주사 후 문제가 없었는데 둘째날 IP injection후 4마리중 2마리가 주입 후 약 1분 이내에 죽었습니다..첫날과 둘째날 약은 같이 제조하였었고 그리고 사용하는 약물인 Tankyrase inhibitor도 이 control 에 녹여 사용하고 있어 treatment group 6마리에게 첫째, 둘째날 주사하였을 때 문제가 없었습니다.혹시 control 제조하는데 문제가 있었나 하여 다시 만들어서 3일째 주사하였는데 control 2마리 중 한마리가 또 1분 이내에 죽었습니다..혹시 장에 직접 주사하여 peritonitis를 유발했을까하여 죽은 쥐 3마리 모두 그 자리에서 open 했는데 봐서는 문제가 없어보이긴 했습니다..21일째 날에 sacrifice할 예정이고 현재 treatment group의 6마리는 7일간 주사하였는데 모두 문제가 없고 control 1마리도 현재 건강합니다. -같이 있는 일본인 포닥이 DMSO가 문제가 아니라 corn oil이 colitis를 일으킬 수 있고 3일 이내에 죽으나 바로 죽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통상적인 IP 주사 부위 말고 (대장 쪽을 피해서) 배의 가운데 부위로 주사를 하라고 합니다..그런데 reference를 못찾겠어서..정말 그러한지요?-다른 미국인 phD 말로는 control 제조할 때 잘 섞었어도 주입할 때 다시 충분히 섞어야지 아니면 DMSO가 가라앉고 corn oil이 위로 떠서 DMSO가 고농도로 주입되었을 수 있어 IP 주사 전 pipette으로 충분히 다시 mix하여 주사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두 가지 이유 모두 treatment group은 괜찮은데 control만 그런게 이상합니다..만약 그렇다면 treatment group도 문제가 되어야하지 않았을지요..물론 제가 3마리 control mice한테만 전엔 한번도 안그랬는데 장이나 방광을 찔러 죽였을 수도 있기는 합니다만..경험이 많으신 선생님들께 여쭈려고 합니다..내일 4마리에 다시 control 주입하려고 하는데 또 죽을까봐 걱정이 됩니다...바쁘신데 감사드립니다!
회원작성글 YHK4  |  2017.08.29
Q. 실험동물 섭취량 환산
안녕하세요.동물실험 용량 계산과 관련해서 여쭤볼게 있습니다.현재까지 천연물의 추출물을 가지고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을 완료하였고, 인체적용 시험을 앞두고 있습니다.천연물 추출물의 임상실험을 하기 위해 Tablet 제형으로 약을 만든 상태이며, 임상실험 진행에 앞서 Tablet 제형으로 만든 약의 전임상효력평가를 진행하고자 하는 상황입니다.in vivo 수준에서 임상시험에 사용될 Tablet 제형의 약의 효능평가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 때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Tablet 알약으로부터 실험동물의 섭취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현재 in vivo 수준에서 mouse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200 mg/kg*body weight/day 에서 효능이 관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하기위해 체표면적 대비 환산계수 (0.08)과 성인체중 (60 kg)을 곱하여 주었더니 임상시험에 있어선 약 1,000 mg/day를 섭취하면 된다는 계산을 하였습니다.#위와 같은 계산식에 의해 저희는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tablet을 제작하였고,  제형    원료투입량 (mg)부형제 (mg)  플라시보 X800  저용량(1알)250 550  고용량(1알)500 300 현재는 임상적용시험을 하기에 앞서 전임상시험에서 효능이 관찰되는지 확인해보고자동물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200 mg/kg*body weight/day 의 dose로 먹이려면 위와 같은 Tablet 제형을 실험동물에 어떻게 먹여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단위 환산에서 지금 막혀...답답하네요브릭에 계신 고수분들께 고견 여쭙습니다...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resolute  |  2017.07.20
Q. 동물실험 경구투여 시 용량 질문이요.
 mouse로 경구투여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요A시료를 저, 중 고 농도별로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그룹마다 투여 용량이 같아야 하나요? ex) 0.5ml씩 똑같이 경구투여아니면,  희석비율을 똑같이 해야 하나요? ex) A시료 저농도가 10배 희석 되었다면, A시료 고농도도 10희석해서 투여 용량을 늘려야 하나요?논문을 보면 그냥 농도들만 쓰여있지 얼마나 투여했다고는 잘 안적혀 있더라구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회원작성글 elly_  |  2017.06.17
Q. ELISA 관련
저는 마우스에 물질을 경구투여 하여 ELISA로 혈액 내로의 흡수율을 확인하는 시험을 진행중에 있습니다.1. 약물을 직접적으로 ELISA 한 결과, detection Xkit업체에 문의한 결과, protein extracted, recombinant protein은 detection 되지 않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 그렇다면 protein extracted, recombinant protein이 detection 되는 것과 아닌것에 차이는 무엇인가요?2. 투여 물질이 말 유래 물질인데 마우스에 투여하고 말 ELISA 로 확인해도 되는건가요?(생체흡수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 마우스로 확인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되어 지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ㅠ
퐝  |  2017.02.21
Q. rapamycin (sirolimus)사용 rat 실험 관련
 안녕하십니까?실험중에 mTOR pathway를 억제하기 위해 rapamycin을 rat에서 injection하고 실험을 해보고 싶은데 이게 경험이 없어서 약을 어디서 구해야 하는지... dose는 어떻게 잡아야 할지 감이 오질 않네요..ㅜㅜ국내에서는 avention이란 업체에서 합성해 준다는데 이런걸 믿고 써도 되려나요?  논문을 보면 LC lab. 이라는 곳에서 사서 썼다고 되어 있고...아주 흔히 쓰는 약물이라 찾기 쉬울 줄 알았더니 그렇지도 않네요.혹시 경험 있으신 분 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쏘가리  |  2016.12.20
Q. ccl4 랫트 경구투여
ccl4를 6주령 SD 랫트한테 무조건 경구투여만 해서 순수하게 간하고 신장독성을 알아보려하는데요 논문찾아보니까 거의다 복강투여만 하더라고요 일단 아무래도 경구다보니까 투여량을 좀 많이해서 3mL/kg(50%v/v)로 3일마다, 4번 (총 2주) 투여하려하는데요 너무 많은가요? 랫트가 죽지않을 정도로만 빡세게 ccl4를 넣어서 최대한 대조군보다 간손상을 많이주고 싶어서 높게 잡긴했는데 실험도중 랫트가 죽을지 걱정되네요 cck4로 독성실험 해보신분 계신지요?
회원작성글 파란마음  |  2016.11.06
Q. 통풍 동물실험 해보신분 계시나요?? 첨부파일
통풍 관련해서 동물실험을 진행중인 대학원생 입니다.통풍을 유도하는 물질로 논문들에서 알아본 결과 potassium oxonate로 유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논문들에선 Potassium oxonate를 PBS나 0.9% NaCl에 녹인다고 되어있어서 녹여 보았으나 침전물들이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DMSO, Cone oli, CMC, EtOH에 녹여 보았지만 여전히 녹지않았습니다. 혹시나 통풍 동물실험 해보신 분들은 어디에 녹여서 실험 하셨나요..?그리고 positive control로 Benzbromarone을 이용하는데 이 물질의 solubility는 물에서 거의 녹지 않고 DMSO나 EtOH에 녹는다고 되어있는데 마우스에 경구투여를 할 건데 이 곳에 녹여도 되나요..? 안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추가로5% DMSO에 녹인 후 0.9% NaCl에 녹였더니 하얗게 침전물이 발생합니다. 다른 방법이 있나요...?
회원작성글 nmr won  |  2016.09.29
Q. 동물실험 dose 정하고 싶습니다.
동물실험 dose 정하고 싶습니다.경구투여가 아닌, 사료에 시료를 섞어서 만들어서 먹일 예정입니다.ex) 논문에선 10 ug/d 이런식으로 나오는데,이걸 사료양을 고려해서 만들려면 어떻게 계산해야하나요?
회원작성글 나부랭2  |  2016.09.01
Q. 마우스 꼬리 정맥 투여 염색약 어떤것으로 하나요?
마우스 꼬리 정맥 투여 할때, 정맥내로 잘 투입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염색약을 넣는다고 알고 있습니다.이 경우 어떤 염색 시료를, 몇 %로 생리식염수에 만들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달려  |  2016.08.19
Q. streptozotocin 생쥐 당뇨 유발
일반 mouse에 streptozotocin를 주입하여 당뇨를 유발시켜서 실험에 사용하려합니다.1. 그런데 찾아보기에 투여량이 40~60mg/kg으로 오락가락하여 정확히 얼마 정도를 해야 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2. 그리고 복강주사를 많이 하던데 동영상에서 보기에 바로바로 꽂던데 원래 그냥 배 부분에만 주입하면 되는건가요?3. 이외에도 streptozotocin 당뇨 유발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정현  |  2016.08.16
Q. 약물의 주사시 동물에 따른 용량 계산..
약물을 하나 테스트 중입니다.잘 알려진 약물이긴한데.. 논문을 보면 30 g 짜리 마우스에 50 ug/ml 주사하여 효과를 본 결과가 있는데..그런데 저희가 동일한 약물을 250 g 짜리 rat에 주사하여 동일한 효과가 있는지 보고 싶거든요..그런데 rat에 주사할 용량을 정하려고 하니.. 고민이 되어서요..보통 동물 실험에서 약물 주입시에는 동물을 무게에 따라 약물을 용량을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논문들이 모두다 ug/ml 형식으로 작성이 되어있어서.. 따로 계산하는 법이 있나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steinbrane  |  2016.07.11
Q. 실험 관련 질문 하나만 드리겠습니다. 너무 기초적인 질문일 지..
안녕하세요? 이제 연구를 시작하는 무지한 초보입니다.피부에 바르는 약물의 반응을 보는 동물실험을 계획 중입니다.편의상 연고라고 하겠습니다.연고를 동물의 몸에 구역을 정해 농도를 달리하여 바를 예정입니다.특정 부위에 발라야 해서 구역이 굉장히 좁습니다. 약3x3cm 영역 내에서 구역을 나눠야해요.안바른곳,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이렇게 네 개의 군이 있다고 했을때이것을 하나의 동물에게 구역을 나누어 4개의 농도별로 시행하는게 맞는 걸까요아님 A 라는 동물은 안바른것 네구역, B 라는 동물은 저농도 네구역, C라는 동물은 중농도 네구역이렇게 해야 하는지...당연히 동물간 반응이 다를 수 있으니 전자로 하는게 맞는걸로 생각되기는 하는데구역을 나누어 놓았다고 하더라도 범위가 좁고 연고다 보니 작용범위가 정확치가 않아서서로 가까이 있을경우 서로 영향을 주지는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결과 해석은 Paired 로 비교할 예정은 아닙니다.워낙 이제 시작하는 연구자라 아무것도 모르는지라 질문이 잘 전달되었는지조차 걱정되네요아니면 너무 바보같은 질문인지..ㅠㅠ경험 많으신 분들의 답변 환영합니다미리 감사합니다
오라메디  |  2016.06.28
Q. 천식 유발 시 대조약물(montelukast)
안녕하세요?현재 balb.c mouse를 이용하여 천식실험을 진행중입니다.천식 실험 정말 어렵네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montelukast와 dexamethasone을 대조약물로 사용하여 진행하고있는데,dexamethasone은 매번 결과가 잘 나오는데,montelukast를 10mg/kg에서 30mg/kg으로 올려서 시도해봐도 total cell이나 eosinophil에서 세포의 양이 줄지 않습니다,.....혹시 montelukast를 대조약물로 사용하고 계신 분들...montelukast 효과가 잘 나오나요????사용하고 계신다면 혹 농도 몇으로 투여하고 계시죠~?아님 무슨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나요???????????시험 약물, dexamethasone과 같이 CMC와 섞고 sonication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실험 중인 분들이 많은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절실합니다..ㅠㅠㅠㅠㅠ감사합니다.
montelukas  |  2016.06.08
Q. 복강주사 투여량을 경구투여로 변경 시..
안녕하세요매일 눈팅하다 궁금한게 있어서 올립니다저희가 이전 연구에서특정 식품 속에 있는 성분 컴파운드를 합성하여복강주사로 10 mg/kg of body weight per day 로 투여했을 때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그런데 이번에는 다른 효과를 검증하려는데동일한 컴파운드를경구투여로 하고자합니다.복강투여를 해서 효과가 나온 물질을경구투여로 하고자 할때는어떻게 농도를 잡아야할지 계산이 막막합니다혹시 방법이 있을까요?도움 부탁드립니다!
잘부탁드립니다  |  2016.05.27
Q. 유기용매 질문
추출물질을 생쥐에게 먹이려고하는데 가루인 상태여서 녹이기가 쉽지가않숩니다. 물에는 안녹고 유기용매에는 녹는데 dmso는 독성이있고 ..혹시 많이 사용하는 solvent가 무엇이있을까요?
회원작성글 디에듀  |  2016.04.15
Q. 동물실험 농도 질문이요..ㅠ
동물실험시 1mg/ml로 녹여놓은 추출물이 있어요.이 추출물을 100,200,500ug/kg로 200ul씩 바르려고 하는데요.어떻게 계산하는지 모르겠어요...알려주세요!!!!!!!ㅜㅜ
아토피이겨냅시다  |  2016.04.01
이전  01 02 03 04 05 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