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성균관대학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연재 상반기 공모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Bradford protein assay 진행 시 sample dilution buffer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차 실험 초보입니다.   펩타이드 발현 후 bradford protein assay를 통해 제 target peptide 정량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때 sample을 10배 정도 희석해서 측정해보고자 하는데요. sample은 crude cell extract, soluble, insoluble, insoluble을 가용화시킨 sample  로 총 4개입니다. cell lysis를 진행한 후에 제 target peptide가 inclusion body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insoluble protein을 8M urea, 20mM tris, 500mM NaCl, 50mM imidazole, pH 7.4로 solubilization을 진행해줍니다. 때문에 bradford를 진행할 때 조건을 똑같이 하기 위해 희석할 때 buffer를  1. d.w를 써야 할지 아니면 2. 제가 cell lysis 할 때 사용한 50mM sodium phosphate buffer를 써야하는지 3. solubilization에 사용한 buffer를 써야할지 판단이 잘 서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사용하는 buffer가 단백질 정량에 영향을 줄까봐 걱정 되는데 판단 기준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5.25
Q. WI-38 cell 성장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이번에 WI-38 cell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얘들이 너무 안자라네요..   혹시 키워보신적이 있는 선생님들은 보통 몇일에 한번씩 서브컬쳐를 하신는지 그리고 좀 더 성장을 빠르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고견을 듣고 싶싶습니다. 
회원작성글 일어나 실험해야지  |  05.25
Q. agilent C18컬럼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injection을 몇회정도하면 컬럼 수명이 다되나요?
상세스펙은 4.6x150mm에 입자크기 5마이크로미터인데 700회정도 인젝션 하니까 피크가 앞쪽에서 볼록해지네요 보통 메탄올 베이스의 이동상으로 비타민 E를 찍습니다. 분석이후에 물과 메탄올로 꾸준히 워싱해주고 있긴합니다.
회원작성글 탐구하는백구  |  05.25
Q. 부유 cell 키울 때 T flask 뚜껑 꽉 닫아도 괜찮을까요
NK cell을 T flask에 키우고 있는 중입니다. 평소에 쓰던 브랜드는 뚜껑에 filter가 있었고 꽉 닫고 키웠었습니다. 이번에 다른 브랜드의 flask를 썼었었고 뚜껑에 filter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를 확인하지 않고 습관대로 뚜껑을 꽉 닫고 3일 정도 키웠습니다. Cell이 확실히 안자라긴 했는데  다시 뚜껑을 열어두고 키우면 괜찮을까요    
회원작성글 비타구미  |  05.25
Q. FTIR 5대 유해가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FT-IR로 5대 유해가스(아세트알데히드,아세트산,암모니아,포름알데히드,톨루엔) 테스트 진행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원래는 한번 실험할 때 암모니아,포름알데히드,톨루엔 / 아세트알데히드,아세트산 이렇게 나눠서 테스트를 하는데 현재 진행 중인 실험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여러번 해야 하는 테스트라 5대 가스를 한 번에 투입했는데 엄청 튕깁니다. 예를 들어 가스 A를 원하는 ppm에 맞춰놓고 이제 다른 가스를 넣으면 갑자기 A의 ppm이 확 내려간다던지...ㅠㅠ 가스들끼리 충돌하고 그러는게 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앙무새띠  |  05.25
Q. 배지 pH조절
배지 pH 조절할 때 NaOH, HCl 농도를 0.1M로 사용하시나요 1M로 사용하시나요?
회원작성글 영이서  |  05.25
Q. NTA 유휴 장비 판매가 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회사에 보유한 유휴장비를 처분하려고 하는데요. Nano particle 연구에 사용하던 NTA 장비들입니다. 정확한 모델명은 Nanosight (NS300)와 ExoView (R100) 이고요. 직접 사용하실 분을 찾아서 판매하거나 판매 대행 또는 연계를 해주실 분들을 찾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7days  |  05.25
Q. 산가(Acid value) 측정 중 마이너스 값이 나왔습니다. 도와주세요ㅠㅠ
산가(Acid value) 측정 중 마이너스 값이 나왔습니다. 기준이 2 이하인데, 마이너스 값이 나오면 0으로 기재하여야 될까요?  
회원작성글 soju  |  05.25
Q. cell stock 분양
저는 실험실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회사에서 테스트 의뢰를 받아 실험을 진행하려합니다. 회사쪽에서도 같은 테스트를 하려는지 셀을 받고싶다고 합니다. cell stock을 줘야 하는데, 이런경우 보통 받는쪽에서 LN2나 드라이아이스 가져오나요?? 아니면 제가 풀어서 줘야 하나요...ㅠㅠㅠㅠㅠ 여기서 회사까지의 거리는 차타고 10분정도입니다.
회원작성글 헤우니  |  05.25
Q. miRNA sequencing 결과 해석을 위한 기초
안녕하세요.  참 과학인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는 임상의사 꼬꼬마입니다.  환자 샘플로 miRNA sequencing을 업체에 의뢰하여 시행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로 1. gene symbol, fold change, p-value, log2 data 엑셀파일 2. functional analysis (GOTERM_BP, CC, MF, KEGG pathway) 엑셀파일 을 받았습니다.   현재 저의 지식으로 이 데이터에서 파악 가능한것은 miRNA up, down과 그것과 관련된 pathway가 이러한 것이 있다 정도입니다.    제가 여쭤보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혹시 이것과 관련된 기초전공서적이 있을까요?  Bioinformatics 관련 강의를 찾아보면 대개 프로그래밍부터 시작하던데, 업체에 의뢰해 위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해도 프로그래밍 수강이 필요할까요? 기초지식이 없을 때 어떤식으로 go through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무식한 임상의사라 너무 답답하고 속상하네요.. 답변 주시는 모든 선생님들께 미리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회원작성글 김스토모시스  |  05.25
Q. 폐시약 처리 방법
안녕하세요 폐액 처리 방법이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DMF solvent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유기용매로 처리해야하는지 폐염기로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DMF + toluene 이 섞인 폐액이라면 유기 인지 폐염기인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콩수니  |  05.25
Q. DNA추출실험 관련
dna 추출실험에서 260/280 (nm) 비율이 2보다 훨씬 높게 나왔습니다. 실험 중에 binding buffer을 기준보다 적게 넣은 것 같은데 혹시 연관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콩루  |  05.24
Q. 미생물 세대시간
미생물 세대시간 구할때 흡광도로 측정한걸로는 세대시간 못 구하나요? Cell Count로 구하는게 더 정확한가요? E. coli세대시간이 43분 될 수도 있나요? 인터넷에서는 20~40분으로 나와있어서요ㅜㅠ
회원작성글 균조하  |  05.24
Q. 생물나라에서 분양받은 배양액에서
항균 실험 관련해서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과 액체 배지 희석법 실험하려고 하는 고1입니다! 이번에 생물나라에서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을 분양받았는데 제품 설명에 이미 액체배지에 배양된 상태라고 하더라고요 실험서에 디스크 확산법은 2~8시간, 액체 배지 희석법은 18시간 정도 미리 배양시켜 놓아야 한다고 하는데 이 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건가요? 또 배양 시킨 후 균을 어느 정도 농도로 희석시켜 사용하라고 했는데 이과정도 생략 가능할까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균을 희석시킬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런 본격적인 실험이 처음이라 많이 부족합니다..((실험 용어도 잘 몰라요)) 친절하게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모든 연구자분들 존경합니다!
회원작성글 snowball  |  05.24
Q. MRSA가 실험용으로 자주쓰는 균주인가요?
?
회원작성글 썸머채채  |  05.24
Q. 고2 상처치유 관련 실험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피부의 상처 치유 관련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은 처음이라 피부의 상처 치유 관련 실험이 고등학생 수준에서 할 수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 가능하다면 인공 피부를 재현하거나, 구매할 수 있을까요? 이 외의 방법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youndae  |  05.24
Q. HPLC 도와주세요 ㅜㅜ 첨부파일
샘플은 ascorbic acid 30ppm 입니다. 이렇게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hplc는 처음 측정해봐서 샘플을 잘못 만든건지 기기 문제인지요.. 그리고 시간설정을 해야하는건가요? 30분동안 찍히던데.. ㅜㅜ
회원작성글 gain198  |  05.24
Q. TA cloning 후에 sequencing 확인 시 primer 중복
TA cloning 후에 sequencing으로 서열을 확인해보면, TA cloning을 위해 수행했던 PCR primer의 forward sequence가 중복되서 나옵니다. 예를들면, sequence 나오는 순서가 M13F(-20) primer + GAATTC + PCR primer1 + insert + PCR primer2 + GAATTC 이렇게 나오게 되는데, 저는 대부분 위에서 밑줄친 PCR primer1은 forward primer (5' GGATGAT 3')으로 나오고 primer 2는 primer 1의 역방향 (3' ATCATCC 5')으로 바뀐 sequence가 나옵니다. 이렇게 나오면 insert는 들어가있지 않구요.. (가끔가다가 primer1은 forward primer, primer 2는 reverse primer로 제대로나오기도 하는데, 이때는 insert가 제대로 들어가있습니다). 뭐가문제일까요?ㅠㅠ
회원작성글 him  |  05.24
Q. 리스테리아 분리배양
안녕하세요. 리스테리아 분리배양 (옥스포드배지사용)하였습니다. 실험검체는 과육입니다. 첫 도말부분에 아래 사진처럼 배지위에 저런 집락이 형성되어있습니다. 측면으로 보면 많이 위로 올라와있는데, 이런 현상은 왜 생기는건가요? 당분이 많은 검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건지요,,
회원작성글 달두  |  05.24
Q. 세포 해동 후 dmso 제거
Suspension cell을 해동 했습니다. cell down 후 media로 잘 풀어서 125 ml 플라스크에 넣은 후 현재 incubate 하고 있는데,  보통 부착 셀은 셀을 풀고나서 몇 시간 후에 media change를 진행했었는데  혹시 부착 세포 같은 경우는 cell down을 진행 한 후 media를 바꿔줘야 하나요? 
회원작성글 칸쵸  |  05.24
이전  01 02 03 04 05 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