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Plant Biology > etc.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APS마커와 PCR-RFLP의 차이?
두개는 똑같은건가요??
회원작성글 굴몽  |  2021.05.01
Q. CAPS마커와 PCR-RFLP의 차이?
두개는 똑같은건가요??
회원작성글 굴몽  |  2021.05.01
Q. 에탄올을 이용한 식물 추출 방법
안녕하세요. 식물 추출액을 만든 뒤 식물에 항생 물질이 있는지에 대해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식물 추출 방법을 아무리 찾아도 고등학생 실험 수준에서 식물 추출액을 뽑아낼 수 있는 방법을 못 찾아 결국 브릭에 질문 올립니다... 제가 한 가지 본 방법은 식물을 말린 후 에탄올 70% 용액에 넣어 3일 정도 보관한 후에 거기서 나온 액체를 78도? 에 가열시켜서 에탄올만 분리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이 방법의 정확한 이름을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런 식물 추출 실험에 대한 논문 몇 가지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아 마지막으로 제가 저 식물 추출물을 가지고 손에 있는 병원균이 항균 되는지를 보는 실험을 할 예정인데 disk diffusion test 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잘 될 가능성이 있나요? 식물 추출물로 손에 있는 병원균이 있는 agar 에서 clear zone을 볼 수 있을까요? 안 될 것 같다면 병원균 말고 다른 균 추천 부탁드릴게요... 정말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zmxnc3  |  2021.04.27
Q. 엽육세포 캘빈회로
엽육세포는 캘빈회로를 갖고 있나요? C4식물에서 당 생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회원작성글 안녕진구  |  2021.04.14
Q. 토양수분함량측정 관련 질문
토양 수분함량을 건토 중량법으로 무게를 재는데 토양을 dish에 옮길때 그 짧은사이에 수분이 조금이라도 날라갈 수 있을가요? 이를 보안하는 실험이 다른 방법이 있을가요?
회원작성글 냠냠  |  2021.04.11
Q. 천연물 에탄올 추출을 하려고 합니다
EtOH 80% 1L에 천연물(한약재) 100g을 분쇄해서 추출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실온에서 추출하고 감압농축 할 생각인데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48시간 실온 추출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때 마그네틱바와 가열교반기를 사용해서 50도에서 추출할 경우 비커를 밀봉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가열을 하지 않는 편이 좋을까요? 2. 초음파세척기를 활용할 경우, 초음파 세척기에 물을 넣고 위에 비커를 넣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초음파세척기 자체에 용매를 넣고 추출하는 것이 나을까요? 추출 실험이 처음이라 질문이 많습니다. 선배님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웆우  |  2021.04.06
Q. 식물의 신경전달물질을 실제로 측정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얼마전에 식물도 공격을 받거나 위험에 처하면 글루타민산이나 칼슘이온(신경전달물질) 등을 생성한다는데 그 생성하는 정도가 고등학교 실험실에서 측정이 가능한 양인가요? 만약 측정이 가능하다면 어떤 약품으로 측정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이예림  |  2021.03.29
Q. 추출물 조제
안녕하세요. 천연물로 추출물을 만들고자 합니다. 동결건조 후 분쇄한 천연물 1g, 에탄올 80% 9ml 를 넣고 상온에서 400rpm 으로 환류냉각 추출하고자 하였습니다. 마그네틱바를 넣었음에도 시료 특성상 아래 가라앉은 침전물들이 많았고, 환류냉각도 잘 진행되지 않더라구요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해야할 것 같은데 어떤 방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회원작성글 seyoo808  |  2021.03.15
Q. 추출물 감압농축 후 처리
안녕하세요~~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를 하지않으면 어떤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seyoo808  |  2021.03.12
Q. 천연물 추출물 조제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동결건조한 천연물을 분쇄하여 시료를 준비하였고 80% EtOH 3일간 교반하여 추출할 예정입니다. 여과지로 거르고난 후 감압농축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 감압농축한 후 다시 에탄올에 녹여 본실험에 사용할 예정인데 동일한 80% 에탄올에 녹여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에 이용할 추출물로 사용하면 되는걸까요?
회원작성글 seyoo808  |  2021.03.10
Q. 토양에서 균 채취
흙에서 QQ균주를 채취 하려고하는데  browth 배지를 다 만들어놨는데 흙에서 어떻게 채취를 해서 넣어야할까요?
회원작성글 육식종족  |  2021.03.09
Q. 라디컬 소거능력 평가 실험
안녕하세요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통해서 IC50의 값을 나타내 주었습니다. 그런데 계산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나온 값인 IC50에는 Standard error값을 안넣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논문 심사 의견에서 넣으라는 식의 질문이 왔는데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지 잘모르겠습니다.  선배님들의ㅣ 조언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조성욱`1  |  2021.03.03
Q. 배지 오염의 원인이 뭘까요? 첨부파일
제가 gmo  식물 실험 중인데 배지가 이런식으로 contamination 이 일어나는데 원인이 뭔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곰팡이 피는 건 봤어도 이런식의 경우는 처음입니다. 뭐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걸까요....도와주세요
회원작성글 dazero1029  |  2021.02.26
Q. 소나무 뿌리 추출물 만들기
소나무 뿌리 (무게) 열수 (용량) 를 합쳐서 추출물을 만들고 PDA 배지에 혼합해 송이버섯을 키우려 합니다. 추출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뿌리의 무게와 열수 또는 EtOH의 용량 비율은 어떤게 좋을까요? 첨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Bioroom  |  2021.01.28
Q. 식물 병원균 분리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병에 걸린 식물로부터 병원균 진균 분리를 하고 있습니다. 순서가 맞는지와 그 중간 과정 등에 대하여 알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먼저 식물체를 세척하고 표면살균을 하여 WA배지에 3~5개 치상합니다. 그리고 단포자 분리하여 PDA 배지에 치상하고 자라면서 관찰합니다. 다음은 병원성 검정을 하고 나서 병원균에 대한 동정을 합니다. 1. 이런 순서인가요? 아니면 PDA 배지에 있는 모든 진균에 대하여 균주로 보관을 하고 동정을 한 뒤에 병원성 검정을 하는 건가요? 2. 일반적으로 진균에 대하여 단포자 분리를 할 때 현미경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미경이 없다면 멸균된 증류수에 희석하여 도말하거나 streaking 등으로 single colony를 만들어 분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옥돔참치  |  2021.01.13
Q. DNeasy powerplant pro kit 시약 질문드립니다. 첨부파일
에탄올을 총 63ml을 넣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연구실도비  |  2020.12.22
이전  01 02 03 04 05 06 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단백질 induction 시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적혈구 vs 구강상피세포 [1]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6]
전기영동에서 band가 어떤걸 의미하나요? [1]
Trypton,pepton [2]
pLentivirus 을 이용한 target gene insertion... [4]
pcr 조건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만 봐주세요.. [6]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3]
cloning 실험하는데 dna 몇 최소 ng 있어야 사용가능한가요? [1]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기적

개구리촉촉한촉수

알Ekdrkddkwl

알나는야학부생

알김스키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아이이이잉

올챙이효옹

대왕개구리강시

꽃개구리Jake

꽃개구리발그런

꽃개구리느림보

개구리냥냥아빠

개구리닥눈삼

개구리A'ANE

대왕개구리안재진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