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tlc 전개용매 질문 |
|
|
고등학생이라 많이 부족합니다..
광합성 색소 분리 실험 키트를 사서 실험을 했는데 tlc 전개 용매를 못 만들어서 각각 아세톤과 디에틸에테르를 넣고 놔두었더니 뭔가 분리되긴 했습니다. 잘못 만들면 아예 분리되지 않는게 아닌가요?? 왜 분리된거죠? |
|
486 | 2022.11.11 |
|
Q. |
DMSO 시네올추출 |
|
|
쑥에서 시네올을 추출하기 위해서 DMSO를 용매로 추출을 하려고합니다.
자세한 추출과정이 궁금합니다!
|
|
명지거북이 | 2022.11.11 |
|
Q. |
컬럼의선택(이게뭔지 봐주세요 ㅠㅠ) |
|
|
기시법에는 capcell c18 ug120 또는 이와 유사한 컬럼을 사용하라는데 kromasil Kr 100-5-C18컬럼으로 대체해서 사용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둘다 4.6×250mm,5um로 규격은 동일합니다. |
|
lks5790 | 2022.11.10 |
|
Q. |
수율 계산, 강열감량 값 구하는법 ㅜ ㅜ |
|
|
증류수 1L에 경소백운석(MgOCaO)1몰 96.98g을 넣고 수크로스(C12H22O11)
684.6g을 넣었더니 산화마그네슘이 45.0048g 이 나왔는데 이때 산화마그네슘 수율이랑
강열감량(%) 구하는 법이 궁금해요
|
|
haribu | 2022.11.10 |
|
Q. |
uv/vis scan 단파장이동현상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같은 물질을 시간대별로 200-400nm로 스캔하며 안정성을 확인중입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polymerization 되어 장파장 이동 할것이라 예상했는데 오히려 단파장 이동(10nm가량)을 하고있습니다. 구글링을 해보니 iodination이나 질소를 가지고있는 경우에 단파장 이동이 있을 수 있다고하는데, sample은 그러한 반응이 일어날만한 조건을 갖추지않고있습니다. 농도가 uM 단위라 시간이 지날 수록 용액상태에서 안정도가 떨어져 분해되는 것라 예상하고있는데, 혹시 다른 이유가 또 있을 수 있을지 조언부탁드립니다. |
|
B_december | 2022.11.10 |
|
Q. |
쑥 시네올 추출 |
|
|
쑥에서 시네올이라는 성분을 추출하고싶는데 어떤 방법을 이용해야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이게 추출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높은 순도의 시네올을 요구하기보단 가장 많은 시네올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
명지거북이 | 2022.11.10 |
|
|
Q. |
DPPH 용액의 색깔이 변했습니다. 사용해도 될까요? |
|
|
일반적으로 보라색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흡광도 실험을 위해 DPPH 용액을 찾았더니 밝은 주황색을 띠고 있었습니다.
1. 주황색으로 변한 DPPH 용액을 흡광도 실험에 사용해도 될까요?
2. 냉장보관이 원칙인데, 발견했을 때는 실온보관 중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색이 변한 것 같은데, 그 외에 색이 변할만한 이유가 있을까요?
|
|
BR_CK | 2022.11.08 |
|
Q. |
환원당 반응 관련 질문입니다! |
|
|
OH 기가 있는 당들은 환원력이 있어 베네딕트, 펠링 반응 등을 통해 색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당류 중 설탕 같은 경우에 하이드록시기가 없어 검출이 불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산을 첨가해서 OH기가 있는 다른 물질로 쪼개면
위 반응으로 검출 가능하다고 하는데..
(1)여기서 첨가하는 ‘산’의 종류가 무엇인가요?
(2) 산을 첨가해서 진행하는 실험 관련해서 간단히 설명 부탁드려요! |
|
이서 | 2022.11.06 |
|
Q. |
outoclave 후 건조 방법 |
|
|
안녕하세요 저는 생화학-분석 연구실 사람입니다.
다른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분석은 특히 오염을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지금 실험실에서는 바틀을 세제로 씻고 3차수로 헹궈주고 사용할 버퍼로 컨디셔닝만 해준다음에 사용합니다. (autoclave 사용 x)
그런데 전 랩실에서는 autoclave로 무조건 돌리고 드라이오븐에서 건조한 후에 사용했어서.. 아무래도 컨디셔닝만 하는게 찜찜하네요 ..
autoclave은 있는데 드라이오븐은 없다보니.. 꼭 oven 을 사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상온에서 뚜껑을 살짝 연채로 말려도 괜찮을까요? (말짱 도루묵 되는 것은 아닌지..) 혹시 드라이오븐 없이 컨탐안되게 말릴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쥐팤 | 2022.11.04 |
|
Q. |
FT-IR 해석....도와주세요......... |
|
|
제목 그대로 입니다...
직접 분석을 진행한 건 아니고, 업체 의뢰를 통해서 분석 한 후, 분석 결과를 받았는데 FT-IR 결과를 처음 봐서 해석이 조금 어렵습니다.
FT-IR 스펙트럼은 어떻게 해석을 해야 되는지는 이해가 갔는데,
분석 결과 search score, library reference, search reference spectrum description, search library 이렇게 있는데, 이 항목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최종적으로 제가 봐야되는 부분이 search libary에 나와있는 화학물인가요?
기기는 FT-IR Spectrometer(Frontier, PerkinElmer)을 사용하였습니다.
흑 도와주세요
|
|
도비적후비적 | 2022.11.03 |
|
Q. |
HPLC로 분석 중 sample 속 분석 물질 검출 질문입니다!  |
|
|
안녕하세요 HPLC를 이용해서 sample 내 존재하는 물질 양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실험 중 결과값이 예상과 다르게 나와 올바른 과정을 통해 분석을 하고 있는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사용하는 기기는 agilent 1200 이며 DAD와 FLD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동상으로는 물과 ACN을 사용하였습니다.
우선 분석을 위해 standard는 25ppb, 50ppb ,100ppb, 250ppb, 500ppb, 1,000ppb 6단계로 standard curb를 그렸습니다.
이후 kit를 사용해서 sample 내에서 분석 물질을 추출하려 하여, kit를 거친 후 분석 물질들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Negative control 로는 ACN을 sample만큼 넣어서 분석 물질이 없는 상황에서 kit에 의해 확인 될 수 있는 양을 확인하였고,
Positive control로는 100ppb의 Standard를 sample만큼 넣어서 Kit를 거친 후 분석 물질들이 얼마나 회수되는지 회수율을 확인하였습니다.
위 과정을 거쳤을 경우 sample에서 Blank값을 다 빼준 후 Standard 의 회수율을 보정해주면 sample내 존재하는 분석 물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게 맞을까요?
첨부한 사진은 500ppb Standard 를 분석한 값으로 위에서부터 DAD, FLDa,b,c 입니다.
질문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베지밀두유 | 2022.11.03 |
|
Q. |
산화환원 반응과 세포호흡 질문입니다 |
|
|
일반생물학 공부하다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생겼습니다.
1. 메텐의 연소반응 결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교과서 설명에 의하면 산소가 전기음성도가 더 커 전자가 산소 원자핵에 더 가까워져 위치에너지가 감소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탄소 입장에서는 전자가 원자핵에서 멀어졌다고도 볼 수 있지 않나요? 전체 에너지 변화에서 봐야 하는 건가요?
2. 전자전달계에서 전자가 전기음성도가 낮은 곳에서 전기음성도가 높은 곳에서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감소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위 메텐의 연소와 같은 원리가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이와 관련되서 찾아보아야 할 분야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인터넷이나 책으로 찾아보고 있는데 비슷한 내용을 담은 게 안 보이네요
|
|
101110 | 2022.10.31 |
|
Q. |
2000ppm을 만드는 법 |
|
|
1,2-Dichloroethane을 2000ppm으로 만드려고 하는데 1,2-Dichloroethane 20.0g에 희석액 80g으로 하면 2000ppm이 맞나요?
또한, 2000ppm으로 만든 후 10ul를 취했을 때의 농도는 20이 맞나요?
|
|
분린이2 | 2022.10.31 |
|
Q. |
전문가 자문 방법(리그닌 활용 벽지) |
|
|
안녕하십니까? 고등학교에서 실험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리그닌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리그닌의 항산화 효과를 이용한 활성산소 제거 벽지 제작 가능성에 대해 고민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리그닌을 활용한 벽지의 제작 가능성과 실용성에 대해 자문을 구하고 싶습니다만, 어디에 자문을 구해야 할지, 또 어떻게 자문을 구해야 할지(ex. 메일? 전화?)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위 내용에 대해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은 리그닌 관련해서 자문해 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나른한오후 | 2022.10.3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