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BODIPY 581/591 C11 protocol |
|
|
현재 BODIPY 581/591 C11(Invitrogen)을 사용하여 lipidperdoxidation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Flow cytomery를 이용해서 detect 하려고 하는데 FITC PE 파장으로 detect이 가능한지 궁금하고
혹시 프로토콜 가지고 계신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현재 working solution은 2uM로 사용하고 있고 cell을 모아서 500ul씩 넣어서 37도 인큐베이션 했습니다.
|
|
매드사이언스 | 03.17 |
|
Q. |
Epithelial cell 형태 차이  |
|
|
Epithelial cell인데.. 사진은 LCA를 treat한 세포인데 어떤 점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control cell과 어떤 점이 다른 건가요??ㅠ |
|
찡오랑 | 03.17 |
|
Q. |
GC-FID로 biodiesel 분석 시 피크 문제  |
|
|
GC장비 사용한지 얼마 안 된 학부생입니다.
GC-2010 plus 장비 사용해서 biodiesel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스탠다드 물질 찍어서 calibration curve 만들려고 하는데, 첨부한 사진에서와 같이 stearate와 oleate 따로 분석 했을 시 RT가 다른 시간에 피크가 찍히는데
서로 혼합해서 찍으면 피크가 합쳐져서 찍히게 됩니다. 조건을 바꿔가면서 찍어봐도 계속 반복 되길래 질문 드립니다.
사진에 나온 피크 분석 조건으로는
HP-20m 25m-0.20mm Film Thickness 0.2um
injection volume: 2ul, temperature: 210℃
carrier gas: N2 1ml/min, pressure:168.1kPa linear velocity: 35.9cm/min
split ratio 1:20
120℃(5min holding) > 200℃(5min holding) 2℃/min, total time 50min
detector temperature: 250℃
이 조건을 사용했습니다.
논문 찾아보니 오븐 온도를 보통 220℃로 제가 사용하는 200℃보다 더 높게 사용하는데, 컬럼 최대 수용 온도가 220℃라 불가능한 상황이고
또 피크가 겹치는 문제가 컬럼 길이가 짧아서 그렇게 되는건가 싶어 컬럼을 더 긴 제품으로 바꿔야하나 생각중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컬럼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까요?
|
|
어허허허허헝 | 03.17 |
|
Q. |
RT-qPCR 질문 |
|
|
안녕하세요, RT-qPCR 결과가 자꾸 이상하게 나타나서 질문 드립니다.
primer는 계속 사용해오던 것을 사용해서 primer문제가 아닌 듯 하구요..
이전까지 결과가 이상한 적이 없었는데 최근에 PCR 돌렸을 때 melting curve 자체가 안뜨는 것처럼 나옵니다.
이전과 달라진 점이라면 한 sample로 여러 개의 gene을 봐야하는데 samle이 너무 많아 한 plate에 다 돌릴 수가 없어서 cDNA 1ul (1ug) + ultra pure water mix를 충분히 만들어 놓고
mix+primer+SYBR green 넣고 돌리고,
끝나면 똑같이 만들어 놓은 mix+primer+SYBR green 넣고 돌리고 이렇게 했습니다..
mix는 ice에 계속 박아둔 상태로 사용했는데
첫 번째 plate에서 본 GAPDH는 잘 나왔는데 그 다음 plate에서 부터는 smaple마다 melting curve가 잘 뜨는 sample이랑 안뜨는 sample이랑 섞이기도 하고.. 엉망 친창으로 나옵니다.
mix를 한꺼번에 만들어서 사용해서 cDNA가 degradation 되거나 해서 그런걸까요...?ㅜ
|
|
구움과자 | 03.17 |
|
Q. |
Cloning과정 중 Ecoli gel run |
|
|
Vector , insert transformation.
Colony 키워서 DNA prep 하기전에
Ecoli 를 gel run해보면 insert가있는것과
벡터만 있는것 사이즈 차이가 난다고 하는데요.
Ecoli 얼마의 양을 몇도에서 boiling해서
Gel run하면 되는지요?
감사합니다. |
|
BBluee | 03.17 |
|
Q. |
transformation efficiency test 관련 질문입니다. |
|
|
(Colony 수) x transformation 총량(μl)/plate 도말량(μl) x 1/사용한 vector양(μg)
방법으로 efficiency test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험에서의 값들을 넣어보면
605(CFU) x 100μl/360μl x 1/0.1μgdl 이 나와서 값이
1680.55CFU/μg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것이 어떤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competent cell의 효율이 이정도 나오면 적당한 수준인가요?
레포트에는 1680.55CFU/μg이라고만 쓰면 되나요?
다른 글들에는 막 10^7 이런것도 적혀져 있어서 이게 맞나 질문드립니다ㅠ
|
|
복숭아두꺼비 | 03.17 |
|
Q. |
아데닌과 카페인의 극성 |
|
|
HPLC를 이용한 카페인과 아데닌 분리 실험을 하였습니다. 극성의 강도 차이로 인해 다른 시간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두 가지 물질 사이에서 왜 아데닌의 극성이 큰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생명과학화학 | 03.16 |
|
Q. |
urine 속의 물질 농도 단위 |
|
|
urine 속의 물질(ex. 호르몬)의 단위가 논문에서 mg/g-Cr으로 나와있더라구요,
거기서 g-Cr이 뜻하는게 하루에 1g의 Creatinine이 소변에서 배출되는것을 가정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1mg/g-Cr일때 1mg/mL로 농도 단위를 변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
팡이 | 03.16 |
|
Q. |
transformation efficiency test 관련 질문입니다. |
|
|
대학교 과제 관련 질문입니다.
competent cell 제작 후 vector를 넣어 transformation 한 후
Colony 수 X transformation 총량(ul)/plate 도말량(ul) X 1/사용한 vetcor양(ug)
식을 사용해 efficiency test를 해야합니다
이 때 colony 수를 셀 때 붙혀야하는 단위가 따로 있나요?
예) 55개, 55cfu ( cfu는 조원님이 말하신건데 이게 맞나 궁금합니다.) 등..
|
|
복숭아두꺼비 | 03.16 |
|
Q. |
double-layer agar method 질문드립니다 |
|
|
제가 실험실에서 배운 것과, 다른 논문들에 적힌 프로토콜들이
사소한 부분에서 저마다 작은 차이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Bottom agar가 준비된 상태에서
1) 박테리아를 놓고 -> 파지 현탁액을 뿌리고 -> soft agar로 덮기
2) 박테리아를 놓고 -> soft agar를 먼저 덮고 -> 이 위에 파지 현탁액 뿌리기
3) 박테리아 배양액과 파지 현탁액을 soft agar가 들어있는 tube에 넣고,
이 혼합액을 Bottom agar 위에 뿌리기
이렇게 3가지 경우로 나뉘던데
double-layer agar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순서가 조금 달라도
상관없나요? 3가지 방법 다 괜찮은지요?
그리고 Bottom agar와 top agar는 반드시 같은 종류의 agar를 써야하는지요?
감사합니다.
|
|
하루사리 | 03.16 |
|
Q. |
cck assay 중에서 |
|
|
1.cck assay를 96well plate에서 할시 cck 1마이크로리터를 세포 약물처리액 위에 그냥 뿌려도되나요? 평소에 세포 약물처리액 속에 팁을 담가서 하다보니 well 끝에 닿이기도 하고 해서 세포한테 영향 갈거같기도하고... 실험결과가 이상하게 나와서 ㅜ고민입니다.
2. 96well plate에 처리할 약물 연속희석하는데
약물 1마이크로리터 : 용매 1마이크로리터 로 연속희석하거든요. 근데이게 너무 부피가 작아서 그런지 실험결과가 잘안나오는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
힝힝훙힝 | 03.16 |
|
Q. |
탄산수소나트륨 중금속 비소 황화물 등 순도시험 |
|
|
안녕하세요 이화학 회사다니는 사람입니다.
제가 항상 HPLC, GC 등을 많이 다루긴했는데
정성반응실험에대해서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많아서
혹시 중금속 비소 황화물 등 정성반응실험에서 색이 너무 안나오거나
표준품보다 검액이 더 색이 진하게나오는데 이유가있을까여...?
또한 증발건고 시키는데 수욕에서하라고했는데 너무 증발도 안되는데
비커로 바로 해도 괜찮나요?
추가적으로 염산도 비커에 넣고 바로 가열해도 될까여
아 참고로 kp기준따르고있습니다. ㅠ
|
|
화학초짜 | 03.16 |
|
Q. |
protein:protein interaction 실험 문의 |
|
|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protein:protein interaction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는 FtsZ protein과 interaction하는 여러 protein을 확인하고자
FtsZ his-tag protein까지 cloing을 완성한 상태입니다.
현재 thermo에서 나온
PiercePull-Down PolyHis
Protein:Protein Interaction Kit
를 이용하여 interaction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잘 되지않습니다.
his-tag purification까지는 확실하게 되는것은 확인을 완료한 상태이긴 합니다.
protocol에 따르면 1시간정도 racking하라고해서 2시간정도 늘려서 진행하기도 하였고 protein 농도도 조금 많이 넣어보기도 했습니다.(4도)
혹시 MgCl2와 같은 cofactor도 함께 넣어서 반응해야할까요?
브릭에 찾아보니 racking을 overnigt한 경우도 있더라구요 (4도)
|
|
오월준 | 03.16 |
|
Q. |
western blot 밴드 옆으로 흐르는 현상 |
|
|
안녕하세요, western blot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대학원생입니다.
western blot을 진행하다가 밴드가 계속 옆 밴드와 이어지는 현상이 생겨 해결하기 위한 조언을 듣고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의 밴드는 모두 beta actin입니다.
1)
-5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로 15분 -> 100V로 1시간 10분동안 SDS PAGE 진행
-3% BSA로 blocking 1시간
2)
단백질 양이 많으면 퍼질 수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 단백질 양을 줄여서 실험했습니다.
-4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 15분 -> 100V 1시간 2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3)
다시 단백질 양을 줄여서 진행했습니다.
-35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 13분 -> 100V 1시간 1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4)
condition을 잡고 하고 싶어 농도별로 로딩해서 확인해보고자했으나, 항체의 문제로 밴드가 전부 연하게 나왔지만 밴드가 서로 연결되어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전압을 높여 빠르게 겔을 내리면 흐르는 현상이 없어질 수 있다는 글을 보아 stacking gel과 running gel에서 모두 전압을 높여 진행했습니다.
-13well에 10ul씩 분주
-80V 13분, 110V 1시간 1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5)
beta actin말고 표적 단백질에서 밴드가 휘는 현상이 생겨 stacking gel에서는 여전히 전압을 높게했으며 running gel에서는 원래의 전압으로 설정해서 겔을 내렸습니다.
-왼쪽에서부터 1-4은 50ug, 5-8은 40ug, 9-11은 3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80V 13분 -> 100V 1시간 8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위의 조건들로 실험한 결과들입니다.
제일 마지막에 있는 밴드는 ponceau S를 진행했을 때 lane 구별이 뚜렷하게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밴드가 연결되어 나왔습니다.
모두 stacking gel은 5%, running gel은 8%를 이용했습니다.
APS와 TEMED는 모두 새것을 이용해서 gel이 굳는데 문제가 있는것 같아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관련 글들을 찾아 본 결과 단백질 양을 줄이는 방법을 권유해주시던데 단백질 양을 줄이니 표적 단백질의 밴드가 희미하게 나와서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6% running gel로 바꿔 겔을 내리는 시간을 단축하는게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stacking gel의 길이를 조금 더 길게 하는게 의미가 있을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바안지 | 03.16 |
|
Q. |
Sodium Carbonate Solution의 pH 관련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Sodium Carbonate Solution을 제조하고, pH를 측정해야 하는 실험이 있습니다.
powder를 매우 소량 첨가하긴 하나, deionized water와 혼합 직후에는 pH가 약 10정도 나와서 이론상 정상 범위 내에 들어오지만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조금만 둬도 pH가 8정도까지 훅훅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reagent류는 이러지 않는 것 같은데 Sodium Carbonate (Na2CO3) 어떤 특성 때문일 지.. 관련하여 혹시 정보가 있으신 분께서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cht | 03.16 |
|
Q. |
단백질 발현관련 질문드립니다. |
|
|
지금 단백질관련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예전보다 발현량이랑 회수량이 적어서 어디가 문제인지 알고 싶어서 올립니다.
BL21(DE3)에 transformation해서 그걸 stock로 -80도에 보관한것으로
incubation 부터 진행하고 있는데...
buffer change도 잘안되고 회수량도 적더라구요...
다른분에게 여쭤보니 배지의 량을 늘려보라는 분도 있고 stock를 사용하지
말고 실험할때마다 transformation 해서 신선한 상태로 하라고 하시는데...
BL21(DE3)으로 stock를 한 2주전에 만들어서 -80도에 보관한것이 문제가 있을까요...
BL21(DE3) 의 장단점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
mito59 | 03.16 |
|
Q. |
실험은 아니고 thermo nanoLC 기기에 대해서 궁금 |
|
|
1. 저희 연구실 HPLC가 Thermo Fisher Scientific - UltiMate™ 3000 RSLCnano System 인데, 펌프부분 기기 뒤에 디바이명을 보면 NCP-3500RS NANO(PN: 5041.0010)이고 홈페이지에 보면 단종되서 UltiMate™ NCP-3500RS Binary Rapid Separation Nano/Capillary Pump(PN: 5041.0010A)만 나와요. 혹시 다른 부분이 있다면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제가 찾아본 바로는 없는데 혹시나 해서요.
2. 해당제품사양 부분에 진공탈기장치 목록이 있는데 진공탈기장치가 degassing part가 LC펌프 위에 바로 있는데 왜 또 있는지랑 어디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잘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지식선으로는 오프라인 degassing을 해도 시간이 지나고, 솔루션이 흐르면서도 다시 재흡수가 일어날 수 있어서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 라는거...정도만.. 결정적으로 그안에서 degassing을 한다는 부분을 잘모르겠어요.
|
|
임탱이 | 03.16 |
|
Q. |
cell counting 후 계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
|
|
약 일주일정도 계대를 진행한 dish에 있던 cell을 다 합쳐서 펠렛으로 만든 후 50ml 콘튜브에 10ml 배지를 넣어줘서 펠렛을 풀어주고 10ul를 취해서 카운팅을 진행했습니다.
염색은 하지 않아서 2배를 곱하지는 않았구요.
총 4칸을 카운팅하여서 436개가 나왔습니다
436/4*10^4=109*10^4=1.09*10^6
약 1.1*10^6의 세포수가 나오는데 이는 1ml에 있는 세포의 수가 저 정도라는 의미인가요?
그렇다면 제가 10ml의 배지를 넣어줬는데 1.1*10^6 여기서 10을 또 곱해야지 total volume 10ml의 세포 수가 나오는 건가요?
우선적으로 펠렛에 배지를 넣어 만든 현탁액 10ml는 1ml씩 취해서 크라이요튜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보관중인 크라이요튜브에 있는 세포의 수는 1.1*10^6가 맞는건지,,
또한 그만큼 분주된 세포를 이용해 thawing을 하게되면 세포를 풀게되는데 그때는 세포의 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나요? 카운팅 후 계대 배양을하는 과정이 제일 중요할까요?
세포를 처음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궁그매요 | 03.16 |
|
Q. |
반데르발스 상태식 |
|
|
10.0mol의 C2H6(g)를 27도씨에서 4.860dm^3의 용기 속이 넣었다 1) 완전 기체와 2) vander waals 상태식을 이용하여 이 기체가 나타낸 압력을 계산하여라 이 결과를 써서 압축 인자를 계산하여아 a=5.507dm^6 atm mol^-2,b=0.0651dm^3 mol^-2이다
이 문제에서 두번째 부분 구할 때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을 쓰잖아요 꼭 P=nRT/V-nb-a(n^2/v^2)의 식이어야 하나요?? P=RT/Vm-b-a/(Vm)^2로 몰부피를 구해서 했는데 답이 다르게 나와서요..참고로 Vm은 몰부피입니디 |
|
asswddxq | 03.16 |
|
Q. |
바실러스..하 도와주세요..  |
|
|
정량균주 이용해서 푸어법으로 진행한 사진입니다.
여러번 반복 실험했는데, 계속 똑같이 저렇게 퍼져서 자라서 카운팅을 할수가 없습니다..
MLB만 넣으면 다른균은 안그러는데, 바실러만 저렇게 퍼져서 자라요,,
MLB없이 균만 넣으면 카운팅 가능하거든요,,, MLB로 시료 희석해야해서 사용해야하는데,, 왜이러는걸까요
대조군으로 실험결과
- MLB 오염 없었음
-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날 실험했을 때 spreading은 다른 균 검출되지 않았음
|
|
세균걸 | 03.1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