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autoclave 사용 시 수돗물 사용? |
|
|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몰랐는데 저희 lab에서 누군가는 수돗물을, 누군가는 증류수로 autoclave를
채우고 있었는데, 의견이 나뉘고 있습니다!
딱히 상관이 없을까요??
검색 해봤는데 보는 곳 마다 의견이 달라서 여쭈어봅니다 ㅜㅜ
|
|
하남시보안관 | 05.24 |
|
Q. |
lcms 스탠다드가 안그려집니다ㅜ  |
|
|
안녕하세요.
원래 생물 독성시험 직무를 맡다가
lcmsms 를 맡게 되었는데.
시료를 찍기전 스탠다드를 찍었는데, 초반에 r=0.99잘 나로다가 어느날부터인가 값들이 튀기 시작합니다...
어떻게 된건가 싶어 다른분이 동일한 std 스탁용액으로 검량선 했더니 0.99 잘나옵디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물질은 항진균제로, 수용해도가 좀 낮은편이지만 메탄올에 잘 녹아, 용매는 메탄올로 하고 있습니다.
제 피펫팅이 문제인건가 싶어 저울로 재보고 확인해보니 문제없었습니다ㅠㅠㅠ
제 시험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오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포인트 좀 도와주세요ㅠㅠㅠㅠ
1. stock 200ppm 조제
- climbazole(대상물질) 4.8mg + MeOH 24 ml 를 50ml 팔콘튜브에 직접 칭량 후 볼텍스 통해 용해(이하 모든 용액조제 시 볼텍스 통해 용해)
2. stock 100ppm 조제
- 1번 용액 5ml + 메탄올 5ml
3. 1ppm 조제
- 2번 용액 50ul + 메탄올 4.95ml
4. 0.01ppm(=10ppb) 조제
- 3번 용액 50ul + 메탄올 4.95ml
5. 4번용액 2ml 와 메탄올 2ml 혼합(=5ppb)
이후 5ppb 조제법과 동일하게 단계적 반수희석하여
10, 5, 2.5, 1.25, 0.6125, 0.3125, 0.15625 농도 만듬.
6. 스탠다드 찍기전, 메탄올로 흘린 후, 분석.
7. 결과 : 맨위 사진
미치겠어요ㅠㅠㅠㅠㅠㅠ
왜이럴까요????ㅠㅠㅠㅠㅠ
아니 무엇보다 반수희석하능데 농도가 이렇게 튈 수 있나요? 제가 정녕 똥손인가요???
실험을 2년정도 쉬었다가 하는거긴한데ㅜㅜㅜ
초반에는 검량선 잘 그려졌다가 어느순간부터 저렇게 튀네요ㅠㅠㅠㅠ 다른뷴은 잘나오고.... 무엇보다 피크가 계속 갈라집니다...ㅠㅠ 용매도 새걸로 했고...
해결방법이 없을까요ㅠㅠ 너뮤 막막해요.... 도와주세요ㅠ |
|
금귤둥둥 | 05.24 |
|
Q. |
genomic DNA RT-PCR로 박테리아 검출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사람 혈액 또는 체액에서 DNA 추출키트 사용해서 추출 후 특정 박테리아가 있는지 검출 해보는 실험 해보려고 합니다.
보통 mRNA 할때 cDNA사용하는 것 처럼 genomic DNA를 template로 써서 primer, sybr그린 넣고 양적 비교하는 것이 아닌 detection만 하는게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만약에 안돼서 agarose 겔 사용해야 한다면은 DNA extraction에 primer 넣고 pcr 돌리고 pcr product를 purification을 해야하나요? 아니면 pcr amplication만 하고 바로 겔 돌리면 되는건가요? 박테리아를 뽑아서 pcr을 하는게 아니라 그냥 체액이나 혈액에서 뽑는거라 사람 DNA 박테리아 DNA가 혼재되어 있을 것 같아서 그대로 겔 돌리면 밴드가 이상하게 보일 것 같아서요. pcr product는 제작할때 100-150pb로 맞췄습니다.
실험실에서 agarose 겔을 사용한지도 너무 오래 됐고 (7년이상...) 하려면 새로 구매해야하는 것도 많은데 많이 할 것도 아니고 박테리아 검출용으로만 조금 할거라 최대한 mRNA RT-PCR하는 방법을 응용해서 해보고 싶은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
|
BeckG | 05.24 |
|
Q. |
citrate buffer 만들기 |
|
|
안녕하세요ㅠㅠ
버퍼 조성과 관련해 머리를 싸매고 있는 학생입니다
citrate buffered saline 을 만들어 사용하기 위해서 랩 프로토콜을 받았는데
0.002M sodium citrate dihydrate와 0.008M citric acid를 0.9% normal saline에 만들고 pH를 조절하면 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랩에 thermo사에서 제조해 파는 20X citrate buffered saline이 남아 있어 조성을 살펴보니 3M sodium chloride와 0.3M sodium citrate 더군용ㅠㅠ
아무래도 랩에서 원래 사용하던 buffer와 시판 제품이 조성이 다른거겠죠,,??ㅠㅠ 혹시 themo 제품을 D.W.를 이용해 1X로 희석 후 pH를 맞춰 사용할 수는 없는걸까요???
화학식도 계산해보는데 점점 헷갈리기만 하네용ㅜㅜㅜㅜ
|
|
때쿠 | 05.23 |
|
Q. |
LPS로 염증유도시 TNF-a, IL-1b가 증가하지 않는 이유 |
|
|
안녕하세요. 답답한 마음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저는 개의 연골세포를 이용해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염증 모델을 만들기 위해 LPS를 0,1,5,10 ug/ml로 24시간동안 처리하였습니다.
PCR 결과 IL-6, MMP는 LPS 농도에 비례하여 확실히 올라가는데
TNF-a, IL-1b, COX-2 같은 인자들은 control군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낮게 나오는 등 LPS 농도와 관계없이 들쭉날쭉한 결과를 보입니다.
여러번 실험하였을 때 비슷하게 결과가 계속 나타났습니다 ㅠㅠ
참고한 논문들은 pro-inflammatory cytokines이 다 같이 잘만 올라가던데 그래서 더 답답합네요 ㅠㅠ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혹시 프라이머를 바꾸면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나요?
지금 쓰는 프라이머는 예전 선배님들이 만들어 뒀던거고 pcr 자체에서 오류를 일으키지는 않아서 계속 쓰고 있었습니다.
2. LPS 외에 추가적인 자극을 함께 줘야하는 걸까요?
많은 논문들에서 염증유발을 위해 LPS+IL-1b 혹은 TNF-a등을 같이 쓰기도 하더라구요. 물론 그냥 LPS만 처리한 논문에서도 TNF-a, IL-1b가 높게 나오는 걸 봤습니다 ㅠㅠ
3. LPS 24시간이면 자극을 주기에 충분한 시간이라 생각했는데 혹시 더 길게 적용을 해야할까요?
TNF-a가 IL-6보다 더 늦게 발현되거나 그런걸가요...?
4. LPS를 O55:B5를 썼는데 혹시 다른 LPS를 사용하면 signal pathway가 달라지나요? (예를 들면 O111:B4를 써본다던가)
검색을 하려해도 뭐라고 찾아봐야할지 막막해서...
혹시 이에 대해 의심되는 사항이나 해답을 아시는 분이 있다면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세오야 | 05.23 |
|
Q. |
western blot 웨스턴 블롯 |
|
|
안녕하세요 2학년 학부생입니다.
HCT116 p53 -/-
HCT116 p53 +/-
에서 -/- , +/- 가 의미하는 바가 뭔가요? 두개의 차이가 무엇이길래 p53이 전자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후자에서만 발현되나요 ???
+/+도 있나요 ?? 왜 저 두개를 비교실험 하는거예요 ?? |
|
정으냐 | 05.23 |
|
Q. |
Primer design에 대해서 |
|
|
프라이머 디자인할때 특정 염기서열을 증폭시키위해 쓰는 건데
주형 가닥에서 foward부분은 그대로 쓰는데 왜 그대로 쓰는지와 reverse 부분은 왜 반대로 쓰는지 잘 몰라서 질문을 요청합니다ㅠㅠ
질문을 요청합니다.
예를 들어
주형 : 5'-AGTCGATCCAATAACTACCACTCATTCAGTGC-3'
foward : 5'-AGTCGATCCA-3'
reverse : 5'-GCACTGAATG-3'
그리고 나서 제한효소를 5'에 달아주고 잘 붙으라고 또 앞에 무작위 서열을 부착하는데 그렇게 만드는게 잘 몰라서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ㅠㅠ
|
|
나니노 | 05.23 |
|
Q. |
60% Percoll 제작 방법.. |
|
|
percoll 용액은 sigma 에서 구입한걸 쓰고 있습니다.
60% percoll 용액을 만들어야 하는데, 제작 방법이 나와있지 않아서요..
9ml (percoll용액) + 1mL(10XPBS) = 10mL (100% Percoll)
60% percoll = 6mL(100% Percoll) + 4mL(1XPBS)
위 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
|
logy | 05.23 |
|
Q. |
웨스턴 스펀지 두께 |
|
|
안녕하세요
요즘 웨스턴 실험을 많이 하고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요즘들어 갑자기 웨스턴 밴드가 좀 휘어지게 나오길래 찾아보니까 이유는 많지만
그중 하나가 카세트에 넣을때 스펀지 두께가 얇아서 제대로 누르지 않으면 트랜스퍼할때 밴드가 휘어지게 나올수있다고 하더라고요
저희가 몇십년전에 사놓은 스펀지를 아직까지 쓰고있느라…ㅋㅋㅋㅋ
두께를 확인해봤더니 0.2mm정도네요ㅋㅋㅋㅋ
제가 실험할땐 스펀지 두장만 넣었었는데
이제 한장을 더 추가할까 했더니 3장을 해야할지 4장을 해야할지 고민이네요
3장을 하면 당연히 2장 넣은것보다는 잘 밀착되어있는거같지만 모든 부분이 잘 밀착이 안되어있는거같은 느낌도 들고..
4장을 해서 확인해보면 너무 꽉 조이는거 같은 느낌이어서..
또 이게 너무 누르는 압력이 세면 오히려 안좋을수도 있다고 들어서요..
젤이랑 멤브레인, 3m 종이 두장 넣는것까지 생각하면 3장을 해야될까요..
다들 트랜스퍼할때 샌드위치 두께 어느정도로 하시나요..?
그리고 추가로 스펀지 말고 다이소같은곳에서 파는 유리닦는 스펀지같은걸로 해도 괜찮은가요..?
검정색 스펀지가 7만원이나 하더라고요 |
|
브르르르릭 | 05.23 |
|
Q. |
실험실 가시광선 램프 |
|
|
안녕하세요. 실험을 위해 가시광선을 사용해야하는데요,
reference에서는 360w high-pressure sodium lamp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전구를 구매 하려고 보니 전구를 끼울 곳이 없고 소켓이나 안정기 등도 함께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요.
혹시 일반적인 형광등 끼워서 쓰는 스탠드나 LED 스탠드 등을 이용해서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콘센트에 코드를 끼워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가시광선 램프 상품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잔망루피. | 05.23 |
|
Q. |
마우스 혈장에서 동결 침전물발생에 관하여 |
|
|
현재 마우스 혈액에서 혈장을 원심분리하여 냉동 보관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ELISA를 이용해서 측정해보고자 합니다.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이때까지 실험을 하면서 알게 된 혹은 발생한 의문들에 대해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합니다.
전에 마우스 혈장을 분리해서 -20'C에서 냉동 후 상온에서 해동하니까 찌꺼기? 같은게 경우마다 랜덤하게 많이 혹은 적게 생겼습니다. 이것 때문에 정보를 탐색해보니 이것이 흔히들 이야기하는 동결 침전물인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동결 침전물은 혈장내의 섬유체 들이 뭉쳐져서 발생을 하고 침전물에는 혈장에 존재하는 성분들이 대부분 포함이 된다 하더군요. 그러면 일종의 혈장 성분을 분석하고자할 때 물질이 loss가 발생 했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이 동결 침전물의 발생이 실험 결과에 영향이 있을까요?
이밖에 좀더 찾아보니 -80에서 보관을 권장하거나 혈장을 분석하기 위해 해동하는 과정은 37'C같은 워터배스를 이용해서 급속 해동을 권장하는 말들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동결침전물을 의도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식이 냉동과 저속해동을 반복하는 거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혈장을 분석하기 위해 해동하는 과정에 급속 해동을 추천하는 이유는 이런 동결 침전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일까요?
|
|
찰떡백설기 | 05.23 |
|
|
Q. |
국내에서 쥐 혈액 샘플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
|
안녕하세요. 실험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실험 과정 중에서 쥐 혈액 샘플이 필요한 부분이 새로 생겨서 샘플을 구하고자 하는데, 저희 랩실에서는 쥐를 키우지 않아서 샘플을 구할 곳이 마땅치 않습니다..
찾아보니 소나 양은 혈액 샘플을 팔긴 하는데, 쥐 혈액은 외국 업체밖에 찾지 못해서요. 혹시 국내에서 쥐 혈액 샘플을 취급하는 기업이나 연구소가 있을까요?
혈액이라서 최대한 빨리 실험할 수 있게 구하고자 합니다.
|
|
미니썬 | 05.23 |
|
Q. |
안와채혈 |
|
|
안녕하세요?
마우스 안와채혈시 capillary tube를 사용하는데, heparin 은 혈소판이 깨진다 하여
EDTA 코팅된 capillary tube를 찾고있는데, Vitrex에서 판매하는데, 국내 수입되는 곳이 없네요.
(수입업체 정보 알고싶습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heparin capillary tube 로 흠집을 낸 후 EDTA 들어있는 E-tube 에 옮기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채혈과정이 좀 불안해서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적절한 제품이 있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
공부중입니다 | 05.23 |
|
Q. |
mutagenesis pcr |
|
|
구매한 vector에서 일부 서열을 제거하기위해
deletion mutagenesis pcr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inverse pcr 형태로 해서 reverse primer를 이용해 deletion하고
reverse primer 5'의 3bp가 forward primer와 겹치도록 짰습니다.
질문*
1. mutagenesis pcr 후 ligation을 안해도 되나요?
2. 왜인가요?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ㅠ
|
|
hmini | 05.23 |
|
Q. |
Vibrio parahaemolytius TCBS에서 배양 관련 질문입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
|
|
안녕하세요.
현재 해수에 V. parahaemolyticus 접종 후 굴 저장하며 TCBS로 분석하는 실험 진행중에 있습니다.
문제는 TCBS agar에 샘플 도말 한 뒤 24시간 후 콜로니 관찰하면 잘 자라지가 않습니다..
균주 분양 및 배양과정부터 말씀드리면 스탁은 균주은행에서 KCTC2729를 플레이트에 분양받아 3% NaCl TSB에 계대하여 쉐이킹 없이 37도씨에서 24시간 배양하여 8로그 가량까지 배양 후 freezed stock으로 만들었습니다. 당시 비브리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태여서 쉐이킹을 하지 않았습니다.
스탁은 사용 시 녹여 3% NaCl TSA에 도말하여 콜로니를 얻고, 3% NB에 옮긴 후 37도씨에서 24시간, 200 rpm으로 쉐이킹하여 배양합니다. 2계대부터 실험에 사용합니다.
분양은 2020년 2분기쯤 받아 바로 스탁으로 만들었고 현재까지 사용중이며, 배양 후 3% NaCl TSA에 스팟접종하면 9로그 이상 배양된것이 확인됩니다.
하지만 TCBS에 접종하면 워싱 후 희석하지 않은 상태로 접종하여도 1000콜로니 이하로 배양됩니다.. 콜로니의 색상은 초록색이 맞구요.
워싱할 때 버퍼는 1.5 % APW (1% NaCl)로 진행합니다.
배지를 제조 후 다음날이나 그다음날에 사용하는데 저녁에 만들어놓고 퇴근 후 하루 이틀 후 사용하다보니 벤치 안에 두고 마르는대로 뒤집은 상태에서 실온에서 별도 빛 차단 없이 보관합니다. Difco manual을 보면 배지 분주 후 사용 전까지 2-8도씨에서 빛 차단한 채로 보관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것이 주요 원인일까요.. 해당 배지가 선택성이 강한것은 알고있지만 접종수대로 너무 안자라니 약간의 조언이라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
|
ant | 05.23 |
|
Q. |
진균 세균 |
|
|
eukaryotic cell인 진균이 원핵세포인 세균보다 genome이 더 커서 분자학적 연구를 진행할때 더 어렵다고 이야기를 하시는것인가요?
아니면 곰팡이가 세균보다 연구하기 더 어렵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
김소현이다 | 05.23 |
|
Q. |
chlorophyll 측정 방법 공전 관련 |
|
|
스피루리나 총엽록소 함량을 계산하고 싶은데 공전에서는 총엽록소법 2법을 사용하라고 나와있더라고요.
근데 다른 논문이나 유튜브 실험방법에서는 공전처럼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80% acetone에 여과 후 흡광도를 측정하던데
공전에서 acetone 외에도 에틸에테르와 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4.1.6 이 액 20 mL를 갈색분액여두에 취하여 에틸에테르 50 mL 및 5% 황산나트륨 50 mL를 가해 완만히 진탕한 후 에틸에테르가스를 방출한 후 1분간 더 진탕한다.
4.1.7 정치 후 물층(하층)을 분리하여 여기에 에틸에테르 10 mL를 가하여 추출한다(2회 반복).
4.1.8 에틸에테르 층을 합하여 5% 황산나트륨용액 50 mL로 3회 세척한다.
4.1.9 세척된 에틸에테르층은 무수황산나트륨을 통과 탈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7번에서 추출하는거나 8번에서 세척하는 거나 9번에서 통화 탈수시켜 여과한다는 실험방법이 잘 이해가 안돼요..
감사합니다..
|
|
졸업할수있나 | 05.23 |
|
Q. |
wound healing assay 문제점 질문 |
|
|
안녕하세요.
HaCaT 세포에서 migration이 일어나는지 보기위해서 wound healing assay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TT로 먼저 96 well에서 sample을 처리해서 증식하는지 확인했을때 특정농도에서 증식하는것을 반복실험으로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migration을 진행하는데 계속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non control군과 sample을 처리한 군의 healing이 시간대별(12h,24h,36h,48h)로 확인했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거나 control보다 효과가 작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실험 시 serum free DMEM을 쓰고 non control군이 조금씩 이주(제생각엔 세포가 자라는 것 같습니다)하는게 맞는 결과 인가요?
미토마이신을 처리하지는 않았고 positive로 EGF를 사용했습니다.
혹시 이 문제에 대해서 팁을 주실 수 있으시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
|
대원학생 | 05.23 |
|
Q. |
완충력 테스트 하는법 |
|
|
주사제 이화학적 동등성 가이드라인에
완충력 테스트
가 있던데
어떻게 실험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
연구초보생 | 05.2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