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Positive control 로 쓰일 의약성분은 어떻게 구해야 하나요? |
|
|
세포에 특정 약물로 Damage 또는 Inflammation 을 유도 한 후
개선되는 상황을 보고 싶은데, Positive control을 추가 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개인이나 기업에서 의약성분을 별도로 구입할 곳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제약사에 별도로 연락을 해야하는 것인지요?
예전에 항앙제 연구시에는 제약사에서 따로 제공을 해줬는데, 지금은 제약사를 끼고서 연구를 하는게 아니라 어디서 구해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
|
비타민B | 2021.09.10 |
|
Q. |
methylcellulose assay kit는 Hematopoietic Stem cell이나 Progenitor Cells에서만 사용가능한가요?? |
|
|
약물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서 CFU assay를 하려고 하는데 soft agar assay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약무르이 효과인지 변수에 의한 효과인지를 확인하기 어려울 것 같아 methylcellulose assay kit를 사용하여 cell viability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methylcellulose assay kit를 검색해보니 hematopoietic stem cell이나 progenitor cell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혹시 methylcellulose assay kit로 breast cancer cell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혹시 사용해보신 경우나 제품이 있을까요??
|
|
sky930100 | 2021.09.10 |
|
Q. |
고등학생 실험 계획입니다, 실험과정에서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나요? |
|
|
안녕하세요, 현재 고등학교 3학년인 학생입니다.
고급생명과학 시간에 심화탐구로 a베타 제거에 있어서 과일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해보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는데요!
실험과정 ①배, 파인애플, 키위, 무화과의 껍질을 과도로 벗겨낸 후 즙을 내어 각각 비커에 담아 밀봉한다.
② SK-N-MC cell을 37도, 5% CO2 조건의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③ SK-N-MC cell을 96 well plate에 well당 20000개의 cell이 들어가도록 분주하고 37도, 5% CO2 조건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다.
④ 1μg/ml 의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앞서 ①에서 제작한 즙을 함께 처리하여 24시간동안 37도, 5% CO2 조건에서 더 배양한다.
⑤ MTT 용액(5mg/ml in PBS, pH 7.5)을 20μl씩 넣고 3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상층액을 모두 제거하고 DMSO와 EtOH을 1 : 1로 섞은 용액을 100μl씩 넣고 잘 흔들어준다.
⑥ 10분 정도 후에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여러 논문을 참고하면서 이렇게 실험계획을 작성했는데 실험 과정에 있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
그리고 이러한 실험을 진행하려면 어떤 곳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
ghfhffhf | 2021.09.09 |
|
Q. |
sample 농도처리 질문드립니다 |
|
|
24well plate에 sample 처리하려고 합니다 , media 포함해서 총 volume 각 well당 500uL씩 넣으려고 합니다
N=3으로 control sample 10uM 20uM 처리예정입니다
즉 control sample에는 N=3 이니까 각각 1500uL의 media volume을 쓸겁니다
Sample은 5mg/1.5mL이며 10uM 20uM씩 처리하려고 합니다
MW =177.39입니다
10uM에는 9.4uL
20uM에는 18.8uL로 처리하면 되나요?
그리고 이 sample이 100%인 배양액이라 1%로 sample처리하라고 하는데 1%로 처리면 10mM로 처리하라는건지 , 아니면 총 volume인 1500uL에서 1%인 15uL가량을 넣으라는건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계산을 잘 못해서 부탁드립니다 |
|
Novice_sch.. | 2021.08.13 |
|
Q. |
XTT assay 방법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XTT assay 방법에 대해서 궁금점이 있습니다.
XTT assay 방법이 MTT assay 방법과 비슷하게 진행된다는 것은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XTT assay 방법을 보면 kit를 이용한 경우 reagent에 PMS가 함께 포함되어있어 일반 XTT sodium salt를 이용할 경우보다 높은 민감성을 가진다고 알고있습니다.
혹시 XTT sodium salt를 이용할 경우 medium 100uL당 어느정도의 volume을 넣어주면 될까요?? 또한 농도는 어느정도가 적절할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졸업을위하여 | 2021.08.12 |
|
|
Q. |
초보 석사생이 아직까지 실험에 대한 감각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
|
제가 키우는 cell이 melan A cell입니다 , 월요일날 subculture 하고 나서 cell seeding 후에 cell viability를 거쳐서 melanin assay를
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cell seeding 하고 나서 cell viability를 96well plate에 일단 seeding 후 할 계획이며 melanin assay는 24well
plate에 seeding 후 할 계획인데 , subculture 한 다음에 cell viability는 몇일정도에 70~80% confluent가 형성되는지 melanin assay
는 몇일정도에 70~80% confluent가 형성되는지 , plate가 달라서 제가 감각이 없어서 하루 간격으로 일일이 현미경을 통해서
확인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Novice_sch.. | 2021.08.08 |
|
Q. |
stock cell 생존율 높이는 법 있을까요?ㅠ |
|
|
세포 thawing 진행 시 원심분리해서 새로운 media 에 세포를 풀어확인했던 세포 생존율이 50% 이하 였으며, 이때문에 바닥에 부착된 세포와 떠있는 세포의 비율이 비등비등한 상태로 세포를 배양했습니다.
떠있는 세포들이 death signal을 보낼까봐 매일 media change를 진행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세포가 안정화되지못한채 결국 모두 죽어 떠있게 되어버렸습니다.
다른 건강한 세포는 없고 생존율이 낮은 stock만 존재하는데
혹시 thawing 진행할 때, 그리고 세포 안정화시킬 때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ㅠㅠ
|
|
나도졸업 | 2021.08.06 |
|
Q. |
docetaxel |
|
|
docetaxel로 cell viability 측정하려고 합니다.
100uM 농도로 처리했는데, docetaxel 자체가 원래 뿌옇나요?
|
|
minchodan | 2021.07.23 |
|
Q. |
IC50 프리즘으로 그릴 때 선택지(?) 질문입니다 ㅠㅠㅠ |
|
|
prism에서 analyse - Nonlinear regression(curve fit) - Dose-response-inhibition 다음에 log(inhibitor) vs nomalized response 와 log(inhibitor) vs nomalized response -- Variable slope의 차이가 뭔가요???
prism홈페이지에 영어로 적혀있긴한데 읽어봐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variable slope을 ic50 그릴 때 사용하는 것 같긴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cell viability 약물 농도를 0.1 / 1 / 5 / 10 / 25 / 50 / 100(uM)로 사용하고 농도를 엑셀에서 log값으로 바꿔 priam에 넣었습니다.*
|
|
석사시작 | 2021.07.16 |
|
Q. |
이중항체 세포 유효성 평가실험 |
|
|
이중항체에 대한 tumor growth inhibition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FACS가 없어 CCK-8, ELISA로만 진행해야하는데,
혼자여서 조금 생각의 한계가 있어 선배님들에게 자문을 구하려고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target tumor cell과 T cell을 96well에 ratio별로 co-culture 하고
이중항체 처리하여 CCK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co culture + Media 군이 control로 하면 암세포 사멸에 따른 수치 값이 감소 할 것으로 생각이 드는데
간접적인 확인에 T cell 생존 여부가 껴있다 보니 값의 신뢰도도 애매한 것 같고..
혹시 하셨던 분이나 정보가 있으시다면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
|
cjdmadldi | 2021.07.13 |
|
Q. |
구강세균에 반응하거나 영향을 주는게 알고 싶습니다 |
|
|
카테고리를 잘 설정했는지 모르겠지만 양치를 한 후 30분간 입을 열지 않고 세균을 채취해서 다양한 약품 등의 반응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중2 혼자 진행하는 실험이고 현미경은 싸고 작은거라도 하나 살 예정입니다. 자세하게는 그 세균을 가장 많이 없애는 물질이 알고싶고 30일가량 실험 가능합니다. 그 양을 자세히 알수 있는 방법과 수치를 알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가정에서 실험할 예정이고 레포트 형식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어떠한 종류의 약품이 가능한지, 몇가지 종류가 필요한지, 가격대는 얼마정도 되는지, 중학생이 이해할수 있는지, 필요한 도구는 뭔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 세균을 채취할 대상은 유치원생(유치 상태), 초등학생, 중학생과 40대 남여로 5명입니다 이것이 나이별로 차이가 있을까요? 이 양에 따라서 어디에 충치가 얼마나 있는지를 알수도 있나요?
|
|
월우 | 2021.07.09 |
|
Q. |
cell seeding |
|
|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seeding 작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2x10^₄cell/ 80ul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seeding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ㅠ
80ul는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
|
자몽허블 | 2021.06.28 |
|
Q. |
항암제 병용 투여 |
|
|
docetaxel과 oxlaoplatin을 cancer cell에 병용 투여해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docetaxel 0~10uM, oxloplatin 0~20uM로 정하고, 각각 시약을 임의적으로 용량 정해서 투여 가능한가요!?
|
|
자몽허블 | 2021.06.23 |
|
Q. |
MTT assay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한 학생입니다.
MTT assay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나와 조언을 받고 싶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가 MTT assay를 진행한 방법은 2가지 입니다.
(실험실 선배님들마다 방법이 다르기에 2가지로 진행하였습니다.)
1.시료와 cell을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배지를 이용하여 3번 wash 진행한 뒤
새로운 배지와 MTT 시약 넣고 4시간 뒤에 제거한 후
dmso 넣고 cell viability 측정 진행
2.시료와 cell을 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TT 시약 넣고 4 시간지난 뒤에
배지를 이용하여 3번 wash 진행한뒤
DMSO 넣고 cell viability 측정 진행
wash 순서만 바꿧을 뿐인데 결과가 완전히 반대로 나와 의문점이 들어 조언을 구합니다.
1번 방법으로 하였을 때는 저농도에서는 cell이 80~90% , 중간농도에서는 cell이 10%, 고농도에서는 40%정도로 cell viability가 확인되었습니다.
(Normal을 100%로 잡았습니다.)
2번 방법으로 하였을 때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듯 고농도로 갈수록 cell vailbility가 농도 의존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저->고,90->10%)
혹시 어떤 결과가 더 믿을수 있는 결과 인지... 어떤 방법이 더 정확한 것인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ㅠㅠ
제생각에는 1번 방법이 더 맞는 방법이라고 생각 합니다..
잔여물질이 남았을수도 있기에 mtt전에 wash를 해주었고, mtt 시약 이후에 wash를 하는 것은 생성된 formazen이 wash할때 딸려가서 사라질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많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감사합니다
|
|
RTO1 | 2021.06.22 |
|
Q. |
cytotoxicity assay |
|
|
paclitaxel을 HCT116(인간 유래 결장암 세포)에 처리하려구 합니다.
paclitaxel 농도를 정하려 하는데 10nM~ 10uM까지 괜찮을까요?
|
|
자몽허블 | 2021.06.2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