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DNA extraction이후 보관기간 관련 |
|
|
안녕하세요
저희는 Qiagen 사 Kit를 사용하여 조직에서 DNA를 Extraction하고 있습니다.
1. Extraction 이후 4도 냉장고에서 보관했을 때
얼마나 보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 추가로, PCR product도 어느정도 보관이 가능한지
두달정도 4도에서 보관한 product를 sequence를 맡길 경우, 괜찮은것이지?
감사합니다.
|
|
간첩신고113 | 2021.12.13 |
|
Q. |
Cloning - ligation colony enzyme cut 이후 band shift 현상  |
|
|
안녕하세요.
제가 cloning을 진행했는데, agarose gel상의 insert size의 band를 UV로 확인하여 자른 후에 gel purification을 진행한다음, T4 ligation 후 DH5a에 transformation한 후 나온 colony들을 culture후 enzyme cut을 진행했습니다.
근데 gel elution을 하여 얻은 insert의 크기가 이전과 동일해야 하는데, shift된 형태로 커져서 나옵니다.
제가 gel purification 때 vector가 insert랑 같이 딸려왔나 싶었지만, insert와 vector의 항생제가 다르기 때문에 그럴 경우가 없다고 판단이 되었고, 혹시나 vector에 사용한 엔자임이 겹친건가 싶어 확인해보았지만 그것도 아니였습니다.
혹시 band shift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아시는 선생님이 계시면 알려주신다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원래 나와야하는 insert size는 1890bp입니다.
감사합니다.
|
|
뉴비도비 | 2021.12.08 |
|
Q. |
5%에서 1% 농도 희석 |
|
|
예를 들어 10% 농도의 샘플을 1%로 희석한다면
샘플 100ul + DW 900ul를 하면 1%가 되는데
5%에서 1%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
|
Bioroom | 2021.12.06 |
|
Q. |
최대 RPM 이 부족할때 |
|
|
안녕하세요 현재 qiagen midi prep 키트를 이용해서 실험을 하는데요, 저희 centrifuge가 침수가 돼서 일주일 이상은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라 급한대로 50mL centri 되는 실험실께 여쭈어봤는데 거기는 최대 rcf가 3000g라고 하더라고요... qiagen 프로토콜 보면 18000에서 20000g까지 돌리는데 시간을 늘리면 괜찮을까요..? 얼마나 늘려야할까요..? |
|
냥뮹 | 2021.12.01 |
|
Q. |
스테비아 DNA 추출실험 |
|
|
제가 스테비아 DNA를 뽑고있습니다.
현재 기본적인 프로토콜은 CTAB 추출법을 사용중인데요
스테비아 잎을 액체질소로 간다음 1.5ml 튜브에 시료를 100ul까지 채운다음
CTAB 500ul 와 2-mercapto 20ul 를 넣고 30분간 65도에서 인큐베이션
이후 Chrolo : iAA (24:1)을 CTAB과 동량 넣은다음 원심불리 후
상층액을 딴다음 IPA 0.7배 첨가 후 1시간 -20도 휴지 후 원심분리 후 75%
Ethanol 세척한 다음 펠렛을 말리고 3차 멸균수 로 일루션 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게 펠렛이 갈색 빛을 띄는 경우가 있고 하얗거나 투명해도 멸균수로 일루션 할때 잘녹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나노드랍 결과에서 260/230값이 0.8~1.0사이로 낮게 나오고
260/280은 1.8~2.0이 나오고 있습니다. 260/230값을 개선하고 싶어서 현재 버퍼양도 조정해 보고 PVP40도 사용해 보았는데 결과가 좋지 않습니다 개선할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
김천미니언 | 2021.11.25 |
|
Q. |
식물 DNA 추출에서 시간과 시약 양의 의미 |
|
|
안녕하세요. DNA extraction 과정에 의문점이 들어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DNA extraction 할 때 '~ul를 넣고 ~분 동안 ~rpm으로 원심분리한다' 라는 과정이 많은데요, 각 buffer들이나 시약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데, buffer의 양이나 원심분리 rpm이나 돌리는 시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DNA 추출을 연구한 분들이 가장 효율적이고 추출이 잘 될 때의 양/시간/rpm을 찾은 것인가요? 뭔가 이것보다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더 많은 의미나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
|
|
묭 | 2021.11.20 |
|
|
Q. |
식물 DNA 추출실험에서 buffer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수 있을까요? |
|
|
식물 DNA 추출실험에서 키트를 사용했는데 내용물이
1) PL Buffer
-식물의 세포막이나 벽제거
2) PC Buffer
3) WA1 Buffer
4) EA Buffer
2,3,4가 실험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글링해도 나오지 않네요
대충 실험 내용은
식물을 분쇄하고 단백질 분해효소, RNase A넣고 위의 buffer 를넣고 원심분리기 해서 DNA가 추출될 조건 만들어준다음에 바인딩 컬럼 튜브에 DNA를 모은다음에 EA버퍼로 DNA를 뽑아내서 전기영동합니다.
2,3,4 buffer 역할(?) 넣는이유를 알려주세요
|
|
Hoodi | 2021.11.09 |
|
Q. |
아래 올린 플라스미드 DNA 제한효소 추가 설명입니다  |
|
|
1번이 DNA 마커이구요, 2번이 정상결과이고, 3번이 제 결과입니다.
멸균초순수, 플라스미드 DNA, 10X EcoR1 buffer, EcoR1을 넣었습니다.
플라스미드가 아예 절단이 되지 않은것같은데 어떤 이유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
|
불쌍맨 | 2021.11.05 |
|
Q. |
플라스미드dna 제한효소 실험 |
|
|
안녕하세요 다름이아니라 학교에서 플라스미드 DNA에 제한효소를
처리한것을 전기영동하였는데, 밴드가 3개 관측될뿐더러
용액이 이동하지도 않아서 뭐가 잘못된건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
불쌍맨 | 2021.11.04 |
|
Q. |
DNA Copy number 측정 시 클로닝 질문 |
|
|
원하는 유전자를 삽입하기 위해서 클로닝을 할때 promoter가 있는 vector를 이용해야되는 거죠??
Dna copy number에 대한 실험을 처음해봐서 잘 모릅니다..
|
|
soor | 2021.10.25 |
|
Q. |
DNA 전기영동 band 끌림 현상 (EtBr 대신 bioneer사 greenstar사용하고 있습니다) |
|
|
저희 랩이 쥐꼬리로 genotyping도 많이하고 그래서 etbr을 굉장히 많이사용 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몸에 안좋다고 교수님이 greenstar라고 etbr 대체시약을 사주셔서 회사 프로토콜맞춰서 했는데 밴드가 구분이 안되네요.....ㅠ
DNA농도도 진하다고 그래서 20ng/ul이하로 다 맞춘건데도 다 끌려요 etbr사용했을때는 잘 나왔는데..
혹시 greenstar사용하시는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ㅅㅠ
|
|
뭉치쭈꾸 | 2021.10.22 |
|
Q. |
DNA PAGE에서 band가 끌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
|
안녕하세요. DNA PAGE를 하던 도중 실험이 막혀서 질문을 올립니다.
현재 Linear DNA를 Ligation시켜 Circular DNA로 만든 후 DNA PAGE를 통해 band차이를 확인하려고 합니다.
Gel condition은 8%로 만들었고, loading buffer는 0.5X TBE buffer로 진행했습니다. 총 2번 진행했는데, 첫 번째에서는 시료를 10ul를 loading 시켰고 이후 농도가 짙어 band가 끌린건가 싶어 시료 1ul + nfw 9ul , 시료 5ul + nfw 5ul 로 희석 시켜 loading 시켰습니다.(사진을 이상하게 찍어 죄송합니다)
그런데 희석시켜 넣은 PAGE에서도 band가 끌려 혹시 농도문제가 아닌 다른 원인이 있나싶어서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
|
Cyl07 | 2021.10.14 |
|
|
Q. |
핵산 용액의 농도는 핵산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나요? |
|
|
비교적 정확하게 핵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흡광도를 이용하는 방법과 형광 시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로 핵산의 농도를 측정할 때, 같은 핵산 서열이 길게 있는 샘플과 짧게 잘려진 샘플간의 농도 차이가 있는지와 만약 그렇다면 유의적인 수준인지가 궁금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
3'-AAAAAAA....AAAAAAA-5'
5'-TTTTTTTT.....TTTTTTTTT-3' 의 1kb dsDNA 샘플의 농도를 재고
이 dsDNA 샘플을 covaris로 컷팅한 뒤에 다시 농도를 측정하면 변화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흡광 측정법은 차이가 눈에 띌 것 같고, 형광 측정법은 비교적 덜할 것 같은데, 객관적인 자료나 선배님들의 지식을 공유받고 싶어 질문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
dlsslgl | 2021.10.07 |
|
Q. |
unit계산 관련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십니까,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unit의 계산의 경우 샘플의 흡광도 값을 스탠다드에 대입후 반응시간으로 나눠주는 것이고 specific activity의 경우 이 unit을 단백질 농도로 나눠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unit=umol/min, specific=unit/mg
그런데 찾아보니까 unit계산시 반응시간 뿐만이 아니라 샘플의 양도 나눠줘야 한다는 말이 있어서요...
그러면 unit=umol/min/mL가 되는 것인가요?
답변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tkldkels | 2021.10.0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