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퍼킨엘머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연재 상반기 공모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세포 배양 배지, 클린벤치 밖에서
세포 배양 배지 뚜껑이 꽉 안닫겨 있어서 클린벤치 밖에서 뚜껑을 꽉 조였는데 (뚜껑 자체를 완전히 열지는 않고 뚜껑을 풀었다가 다시 꽉 닫아줬습니다)  이럴 경우에 배지를 한번 필터 해 줘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사용해도 될까요...? 
회원작성글 칸쵸  |  05.22
Q. 2A sequence로 polycistronic vector cloning, overlap PCP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A sequence를 이용해 polycistronic vector cloning이 잘 되지않아 도움 여쭙고자 합니다. 만들고자하는 최종 산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restriction enzyme1 - Target1 - P2A seq - Target2 - restriction enzyme2 R.E1-Target1-P2A seq 일부,  p2A seq 일부-Target2-R.E2 로 첫번째 PCR을 하는건은 잘 되고 있으나, 오버랩 피씨알을 통해 final product를 만드는것이 잘 되지않습니다. 1. primer design 할 때 P2A full seq를 넣으려니 프라이머 길이도 너무 길어지고 Tm값 또한 너무 높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여 2A seq 부분을 임의로 잘라 각 프라이머에 넣어두었습니다(각 프라이머간 2A 겹치는 부위는 약 20bp 정도입니다) 겹치는 부위 설정이 잘못되었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있다면 어떻게 프라이머 수정을 하면 좋을까요? 2. 앞서 1번에 말씀드린 것 처럼 Tm값이 너무 높아져서 시퀀스 일부를 나누어 프라이머를 만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시하고 full sequence를 다 넣어 제작하여서 진행해도 될까요? 3. 오버랩 피씨알을 하였을 때 밴드가 여러 사이즈로 산발적으로 만들어지는 양상을 보이는것은 왜그런것인가요?  4. 60,65,68 등 anealling 온도를 다양하게 해서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만 이외에 추가로 실험에 적용 할 만한 변동조건들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오버랩 피씨알 경험이 있으신 선생님들이 계시다면 실험 수행할때 주의해야할점이나 팁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위에 아무도 polycistronic vector cloning을 해 보신 분이 계시지 않아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약간의 조언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ye0125  |  05.22
Q. DAPI staining protocol
DAPI staining을 하려고 하는데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염색 된게 안보이네요..ㅠㅠ몇번이나 시도했는데 실패했습니다..   *protocol 1. dmem suction 후 washing 2. fixation: 4% formaldehyde in PBS, 15min 후 washing 3. permeabilization: 0.1% Triton x-100 in PBS, 5min 후 washing 4. DAPI solution*, 5~10min 후 washing 5. 형광현미경 보기 DAPI solution* -sol1: 5ul DAPI + 995ul PBS -sol2: 10ul sol1 + 990ul PBS   제가 한건 위랑 동일시하고 혹시 문제점이 뭘까요?ㅠㅠcell은 A549사용합니다. PBS안에 4% formaldehyde와 0.1% Triton x-100 비율도 알려주세요.담번에는 실패없는 실험이 되고싶어요 도와주세요
회원작성글 호르륵  |  05.22
Q. HPLC baseline이 이상합니다
  안녕하세요. HPLC를 이용해 실험을 하는 학생입니다. 원래 HPLC를 이용해서 분석을 하면 위 처럼 피크가 잘 나왔었는데 갑자기 아래 사진처럼 baseline의 노이즈가 심하고 피크도 안보입니다..  혹시 왜 이러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ㅠㅠ  참고로 이동상은 phosphate buffer와 MeOH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또찌  |  05.22
Q. 8M urea 용액 제조
안녕하세요. inclusion body형태로 발현된 peptide를 가용화하고 그 상태로 정제를 하기 위해 8M urea가 포함된 buffer 200mL를 제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buffer조성 : 8M urea, 500mM NaCl, 20mM Tris, 250mM imidazole) 해보다가 도저히 안 되고 재료만 축나서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제가 여태까지 시도해본 방법은    방법 1. 실패 urea(96g)을 NaCl+Tris+imidazole(total 40mL)에 넣고 heat을 가하여 녹인다. >urea를 43g 먼저 넣고 녹이는 과정에서부터 이미 결정이 형성되며 녹지 X 아마 D.W가 아니라 다른 화합물이 포합된 용액에 녹여서 양도 많아서 원래 잘 안 녹는 게 화합물에까지 영향을 받아 잘 녹지 않는 것으로 보임   방법 2. (도전 중) urea 96g을 D.W 80mL 정도에 조금씩 넣으면서 먼저 녹인 후 다른 solution들과 혼합한다. > 이때 우려되는 점은 80mL에 urea를 녹이면 딱 volume이 거의 2배 가까이 높아져서 어찌저찌 녹이긴 하더라도 다른 solution들과 혼합했을 때 200mL을 초과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ㅠ   방법 3.(도전해볼지 고민중인 방법) 1L volume으로 10M urea solution를 제조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다른 용액들과 섞어서 사용하는 방법 > 이 경우에는 urea가 8M 정도면 거의 포화상태라고 알고 있는데 10M 로 만드려면 앞에서처럼 조금씩 넣으면서 녹였을 때 만든다고 했을 때 다 녹여서 만들 수 있을지 의문이고  > 실패했을 경우 urea를 무려 600g이나 버리게 됩니다..   방법 4(도전 예정) 방법 2가 실패하면  urea 96g을 D.W 80mL 정도에 조금씩 넣으면서 먼저 녹인 후 다른 화학물질들은 용액 형태가 아닌 powder형태 그대로 urea를 녹인 D.W에 조금씩 넣어 녹여보고자 합니다.   이 외에 다른 방법이 있으시거나 제 방법 중에 개선점이 있다면 가감없이 피드백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또 urea가 몇도에서까지 destroy되지 않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녹일 때 온도를 참고하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5.22
Q. Tyrode buffer, pH 7.4 제조 시 pH 변동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Sodium chloride 136.9mM Sodium bicarbonate 11.91mM Potassium chloride 2.69mM Sodium phosphate, monobasic, anhydrous 0.42mM Magnesium chloride hexahydrate (MgCl2.6H2O) 1.05mM Hepes 5mM Glucose 5.56mM BSA (Albumin, fraction V) 1% 버퍼 제조 시 조성은 이렇게 되는데 pH 7.4 맞출 시 점점 올라갑니다. Tyrode pH 7.4가 나트륨 흡수를 돕는 조직 배양에 쓰이는 것인데 pH 변동이 생기면 실험에 이슈가 생길 것같은데 해결방법이나 인사이트를 얻고자 합니다.   
회원작성글 dinggaa1  |  05.22
Q. in vivo injection 농도 계산
A 약물을 20g mouse 기준으로 200ul(1mg/ml)주입 하려 하는데 A 약물이 100mg/ml 로 DMSO에 녹여 스탁되어있습니다. 10mg/ml 로 하면 3ul(스탁) + DMSO 27ul 1mg/ml로 하면 10mg/ml 에서 2ul + PBS 198ul 하면 되는게 맞나욘
회원작성글 디도디  |  05.22
Q. 엑셀 STDEV. P, S 구분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ㅠ
qPCR로 duplicate 진행 후 S.D 값 계산하는데 같은 샘플의 반복 실험을 통한 Ct값이니까 2개의 값을 모집단이라 생각해서 STDEV.P로 계산했는데 이게 맞나요?
회원작성글 별헤는밥  |  05.22
Q. EMB agar에서 유산균 colony
유산균 원료를 가지고 대장균군 정성시험을 하는데 BGLB법을 썼습니다. 가스는 음성이었지만 배지색이 좀 변한 것 같아서 EMB agar에 분리배양 했습니다. 24시간이 지났을때는 배지가 음성이었는데 주말 동안 배양기에 방치했더니 하나는 녹색금속광택이 있는 엄청 작은 콜로니들이 생겼고 하나는 청남색의 엄청 작은 콜로니들이 생겼는데.. 이거 위양성인거죠?? 유산균도 장에서 서식하는 균이니 이런 반응이 종종 나타나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yeasting  |  05.22
Q. 그냥 vitro는 주로 무슨 뜻으로 사용하나요?
in vitro / in vivo / ex vivo 등등 앞에 in이나 ex가 붙은 것은 알겠는데, 그냥 vitro라고 쓰는 거는 무슨 뜻인가요? 예를 들어, A 는 vitro 로 가능하다 라고 하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그냥 앞에 in 생략되어있다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ㅠㅠ 답변 미리 감사드려요!
회원작성글 을으느  |  05.22
Q. 균을 검출하는 실험을 하는 중인데
항생제의 작용 기작의 차이를 이용하여 균을 검출하는 실험을 하는 중인데 Penicillin-Strepomycin에만 살균되고, Chloramphenicol, Ampicillin, Gentamicin 에는 살균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알코올도 70%이상에서는 살균되긴 했는데 알코올은 원래 농도가 강하면 어떤 균이든 살균되는 걸까요? 작용기작이 다르면 살균되는 균이 다르다는 건 알겠는데 과연 이 균은 뭘까요?
회원작성글 썸머채채  |  05.22
Q. 아이오딘 쓰면 폐 시꺼매지나요?
안녕하세요 대학원생 신입생입니다. TLC 할 때 iodine으로 staining하려는데 iodine 쓰면 후드안에서 써도 폐 시꺼매지나요? 저희 방에 유기합성하시는 박사님말로는 아이오딘 후드안에서 써도 호흡기로 들어가면(?) CT 찍으면 폐 시꺼멓게 나온다네요.. 그렇게 위험한건가요??  이 사진에서는 손으로도 하던데 ㅋㅋㅋㅋ
회원작성글 하이후아리  |  05.22
Q. 살모넬라 확인시험
실험 배운지 별로 안되었습니다. 살모넬라 확인시험 결과입니다. 주황색배지는 XID / 초록배지 B.G Sulfa 입니다. 살모넬라 균이 뜬건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실험샘플은 농산물입니다.
회원작성글 달두  |  05.22
Q.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분석
안녕하세요    새로운 단백질을 분리하여 서열을 확인하고 싶은데 단백질 서열 분석이 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검색해봐도 나오지 않아서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 하여 여기 문의드립니다.    분석 서비스를 지원하는 업체나 연구원 아시는 곳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미야l  |  05.22
Q. TLC로 지질성분 분리하는 도중에 문제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메주에서 지질성분을 분리하는 과정 중에 있습니다.  folch용매로 chloroform 부분을 따서 sodium sulfate column에서 정제한 후, 질소가스로 용매를 날리고 TLC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TLC 용매 조건은 hexan : diethyl ester : acetic acid = 50 : 50 : 1로 진행하였습니다.  TLC 결과 사진은 위 사진과 같고, 맨 왼쪽 그림은 염색약 뿌리기 전에 확인한 사진입니다. 가운데 그림이 sample이고 오른쪽 그림이 standard로 palmitic acid입니다. 문제는 유리지방산 쪽에 다른 물질이 섞여있는 것 같다는 점입니다. 왼쪽 그림 보시면 uv를 쬤을때는 나타나지 않은 어떠한 물질이 밑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거는 유리지방산만을 분리해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회원작성글 새로고췸  |  05.22
Q. 논문에 n=3 표기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n=3은 3반복하였다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제 실험에 무처리구1, 처리구3개를 5개씩 3반복하여 논문에 n=3이라고 표시하였습니다. (3개씩 3반복하여도 n=3으로 똑같이 나타내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그런데 다른 실험에서는 무처리구 10개, 처리구 10개씩 무작위로 선발하여 실험하였습니다. 이런경우에는 n 표기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기초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회원작성글 닝난ㅇㅇ웅  |  05.22
Q. 부유세포 해동
부유세포를 thawing 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맞을까요?    1. cell stock을 water bath에서 약 2분간 최대한 빠르게 녹인다. 2. 125 ml flask에 20 ml media를 넣어 준 후 stock 안에 있는 cell을 모두 flask에 넣어준다.  3. 24 시간 정도 incubate  4. 새로운 125 ml flask를 준비하여 cell을 옮겨준다.    이때 cell down을 하지 않고 그냥 옮겨만 줘도 되나요? 
회원작성글 칸쵸  |  05.22
Q. PC-12 cell line 분양 및 cell 교환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PC-12 cell line 분양을 받고자 연락드렸습니다.. 관련된 세포주는 보유중이신 분께서는 아래 메일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만약 필요하시다면, 저희가 가지고 있는 cell line 역시 분양해드리겠습니다. immune, neuro 관련하여 다양한 cell line 을 보여중에 있습니다.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메일주소 : zk61326@naver.com
회원작성글 지나가는사람  |  05.22
Q. Antibody 만드는 법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western blotting 공부하면서 갑자기 생긴 의문이 있습니다!   antibody probing할 때 primary antibody를 실험실에서 직접 골라 사용한다고 들었는데요,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antibody를 만들 때 target하고 싶은 protein의 정보가 어느정도 필요한지도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회원작성글 binbean  |  05.22
Q. cuvette 세척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요즘 OD 측정할 일이 많은 대학원생입니다.  주기적으로 OD를 측정해서 growth를 확인해야되는 실험을 하고있는데 이 OD값이 너무 다르게 나와서 골치가 아프네요 사진 첨부한것처럼 eppendorf biophotometer 기계에서 사진과 비슷한 큐벳을 사용하는데요 1회용 cuvette은 아니고 유리같은 모양이지만 플라스틱 같기도한? 가격이 좀 비싸더라고요 개별로 하나씩 포장되어 있는거보면... 아무튼 저희랩은 저걸 재사용합니다. 한번 쓰고 DW로 잘 닦아주고 말리고 재사용합니다. 그러다보니 어느순간 계속 쓰다보면 처음에 비해 드러운경우가 있긴합니다 또 문제는 큐벳마다 OD값이 너무 다르게 나오는겁니다. 예를 들어 똑같은 tube에서 따온 걸 큐벳에 넣고 측정하면 0.320이 나온다고 하면 다른 큐벳으로 한번더 측정하면 0.450이 나올때가 있습니다...  이러면 뭐 큐벳이 더러워서 그렇구나 하고 다른 큐벳으로 측정하면 되겠지만 방금 측정했던 큐벳을 살짝 흔들어서 다시 측정하면 0.450 나왔던것이 0.400이 나오고 다시 재보면 0.460이 나오고 이정도면 기계가 문제인건지 큐벳이 문제인건지... 혹시 이 큐벳을 70% 에탄올로 닦고 그 큐벳의 밑에 빛이 투과하는 부분도 휴지로 닦아주고 DW로 세척해주면 안되는걸까요..? 다른분들은 큐벳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회원작성글 브르르르릭  |  05.21
이전  01 02 03 04 05 06 07 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