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비던트코리아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Gordon Research Conference: Neuroimmunology in Organismic Function: Shared Mechanisms and Reciprocal Interaction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Laboratory Animals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reER mouse genotype
CreER mouse한테 tamoxifen 사료를 먹여 발현을 유도하려 하는데 tamoxifen을 feeding하지 않은채로 genotype하면 cre gene을 확인할 수 없나요? 그리고 tamoxifen을 급여하다가 멈추면 creER gene 발현이 멈추나요?
회원작성글 별헤는밥  |  2022.07.07
Q. 5xFAD mouse breeding 질문 드립니다.
치매 연구 모델 마우스로 jackson에서 5xFAD mouse를 구입한 뒤 breeding하여 사용할 예정입니다.   jackson 측에서 안내하는 공식 breeding startegy에서는 hemizygote X F1 로 breeding을 시행하라고 나와 있는데, 여기서 homozygote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hemizygote는 mutant allele을 하나만 가지고 있는 개체를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F1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mouse들의 첫 세대 자손을 의미하는 것인지 용어의 정확한 의미도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실험하는놈  |  2022.07.05
Q. 경정맥 채혈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rats 실험하면서 경정맥 채혈하려는 대학원생입니다. 경정맥 채혈하기 위해 보정법을 계속 숙달하고 있고, 이제 성공률이 한 30~40퍼 정도가 되었는데, 이 뜻은 나머지 횟수에서 실패를 한다는 것이니까.... 애들한테도 많이 미안하고 포인트는 늘 비슷하게 잡아내는 거 같은데 원인을 잘 모르겠습니다. 연습을 더 확실히 많이 해야겠지요....? 여기서 궁금한 점은, 경정맥 채혈을 실패해도 애들 입장에서 많이 피해가 없을지에 대한 것입니다. 니들 (26G 1/2)이 얇고 짧긴 하지만, 혹시나 경정맥을 찾으려고 바늘을 이리저리 하다 보면 장기나 다른 곳에 손상을 크게 주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듭니다. 경정맥 채혈을 해보신 선배님들은 이와 같은 내용에 대해 어떠셨는지.....혹시 채혈법에 대해 꿀팁이 있으면 공유해주실 수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주식회사고래  |  2022.06.30
Q. Mouse marking이 너무 빨리 지워집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6/28부터 쥐 실험을 시작하였는데요, 항상 분리사육을 했었는데 처음으로 합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한 케이지에 6마리씩 mouse 배정하였고, 개체 식별을 위해 꼬리에 Animal marker로 marking하였습니다.   처음으로 비싼ㅠㅠ 애니멀 마커를 (6만원정도 주고..) 구입했는데..... 어제 오후 2시경 마킹한 것이 오늘 오전에 가 보니 거의 다 지워져 있었습니다.   왜 그런걸까요.. 그냥 처음에 체중재고 바로 꼬리에 마킹해서  케이지에 넣었는데 혹시 mouse 마킹 전후로 해야하는 프로시저가 있나요..? (제가 그런 것을 누락해서 빨리 지워진건지..)   일본어로 겉면에 뭔가 써져있는데 이게 사용방법인가 싶기도 한데 제가 일본어를 몰라서..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뽀렙뽀렙  |  2022.06.29
Q. humanized SCID mice
안녕하세요.   Humanized SCID mice에 대해 공부하던 도중에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면역이 결핍된 SCID mice에 human CD34+ 나 PBMC를 이식하였을때, humanized mice라고 칭하는데요. 이때 human CD34+나 pbmc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mice의 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물불감자  |  2022.06.28
Q. mosue 실험 중 싸움...
male mouse 로 실험중인데.. 초반에는 개체들끼리 싸우지 않고 잘지냇는데 최근에 한그룹에서 유독 싸움이 일어나네요 ㅠㅠ  스트레스성인가? 환경탓인가 찾아보니  다른팀  mouse 실험케이지에서 mouse 한마리가 죽어 있는데... 그냄새?? 를 맡고 싸움이 일어나는 건가요?? mouse사체만 처리하면 될까요??
회원작성글 mito59  |  2022.06.27
Q. Gene knockout mouse 표기 읽는 방법
안녕하세요. 혹시 Il6(+/+), Il6(+/-), Il6(-/-)와 같이 knockout mouse의 양쪽 allele 표기를 미팅 상황에서는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요?
회원작성글 dj_hwn  |  2022.06.21
Q. 플라나리아 재생, 절단
안녕하세요 플라나리아 재생 속도를 비교하기 위해 홍삼 용액에서 플라나리아를 키우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플라나리아가 딱 한마리 들어있던 통에서 어느날 플라나리아가 두도막으로 나뉜채로 발견돼서 무성생식 한거라고 결론내렸습니다. 그리고 또 얼마전에 홍삼 수용액에 넣어둔 메스로 절단한 플라나리아에서도 똑같은 일이 일어났어요… 메스로 절단하고(2등분 / 머리부분, 꼬리부분) 어느정도 재생이 완료된 상태이긴 했는데 꼬리 부분이 또 두도막으로 나뉘어서 총 세도막이 되어있어요 이거도 무성생식 때문일까요? 플라나리아가 스스로 자기 몸을 절단하는 이유가 무성생식말고 또 있나요? 그리고 플라나리아가 원래 이렇게 생식을 많이 하는 생명체인가요? 
회원작성글 마니마니  |  2022.06.19
Q. liquid diet 식이 방법
mouse model로 Chronic ethanol feeding plus a single binge (NIAAA model) 을 할려고합니다. 그런데 전용 bottle(유리)가 있던데 혹시 기존에 쓰던 water bottle에 lipuid diet를 넣어서 실험을 진행할려고하는데 재대로 섭취를 할지 의문이라 혹시 이런식으로 하신분들 있으신가요?
회원작성글 으악.  |  2022.06.19
Q. 마우스 안와채혈 방법
실험실에서 안와채혈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영상이나 사진으로 올라온 자료들을 참고하여 마취진행 후 마우스에게 채혈을 시도하고 있습니다.시작한지 2주정도 되었으며 모세관을 어느 위치에 얼마나 꼽아야할지 아직 헤메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눈 뒤쪽 방향으로 연습하고있는데 자료들을 찾아볼때는 눈 앞쪽에서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거 같습니다. 실제로 안와채혈을 해보신 분들중에 어느 부분에서 채혈하는 것이 편했는지와 팁 정도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ㅠㅠ
회원작성글 홍덕환  |  2022.06.18
Q. Drabkin's method(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 이외에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학생입니다.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와 관련된 실험을 계획 중이었는데요, 기존에는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을 통해서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려고 했는데 Drabkin's solution에 필요한 KCN이 전문연구기관 외에서는 독극물로 취급되어서 구매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하더라고요.. Drabkin's solution을 개별로 판매하는 판매처도 없는 것 같아서(혹시 교육기관에서 Drabkin's solution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처를 알고 계신 분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 외에 다른 방식으로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해보려 합니다. 대부분의 연구기관이나 의료기관에서는 자동분석기를 통해서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던데, 저희 학교에도 자동헤모글로빈분석기가 비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이 현재는 없는 상황입니다. 당장 진행해야 하는 실험이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해야 할지 고민됩니다..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 외에도 실험적으로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서삼울  |  2022.06.18
Q. 마우스 경구투여 존대(Zonde) 세척 및 보관법
  안녕하세요 존대 세척 및 보관법에 대해 여쭈어보려고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세척 후에 autoclave 돌려서 보관하고 있는데요, syringe 에 zonde needle 낀 후 몇번 세척하고 에탄올에 담구어서 보관하는 방법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Zonde 세척과 보관은 어떻게 하시나요?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회원작성글 고래싸움에 새우튀김..  |  2022.06.17
Q. C57BL/6 HFD 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C57BL/6로 HFD해서 비만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비만+다른질병 연구하고있습니다.   현재 18주차를 넘어가고 있는데요 무게는 평균 45g정도 됩니다. 무게도 많이 증가하고 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2주 전 정도부터 먹이를 잘 먹지 않고 변도 많이 보지 않습니다.. 상태는 괜찮습니다.     일단 몸이 무거워서 위에있는 먹이를 못먹어서 그런걸까봐.. 먹이를 내려주긴했습니다만...   HFD를 이렇게 오랫동안 진행해본적이 처음이라 잘모르겠습니다.     저처럼 이정도로 키워보신분  먹이를 잘 안먹는 경험 해보신적 있으신가요..?   20주차까지 생각하고 있는데  더 진행해도 될까요?
회원작성글 찌랭이  |  2022.06.17
Q. 안녕하세요, STZ mouse 구매 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TZ induced diabetic mouse model을 국내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여쭤보고자 합니다.   잭슨랩에 공식 문서상에는 해외배송이 불가능하고, 국내에서 대행하시는 오리엔트 바이오측에서도 본 모델처럼 customized화 된 모델은 수입하지 않는다고 답변을 받았습니다.  STZ-Induced Diabetes: FAQ (jax.org)   혹시 본 마우스 모델을 구매해서 사용하고 계신 분들 구매 관련 정보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alsgh9712  |  2022.06.09
Q. KO 마우스 교배
특정 gene KO 마우스가 필요합니다. hetero 15 쌍 (F0)을 이용하여 90마리 이상의 KO 동물이 필요한데, KO을 얻는 방법이 HT끼리 교배하여 gene type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을까요? KO끼리 mating하면 KO 마우스가 나오지 않나요?  
회원작성글 양지92  |  2022.06.05
Q. mouse i.v.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면역학 실험을 하는 초보 석사생입니다. mouse i.v.를 하는데에 있어 질문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제가 하는 동물 실험은 질병모델에서의 약물 효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프로토콜 대로라면 mouse vein으로 serum을 넣어서 organ을 망가뜨려 질병을 유도하는데, i.v. 시 가끔 약간 저항이 있는 게 느껴져서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 걱정됩니다. 완전히 실패할 경우에는 아예 syringe가 압력이 걸려 들어가지도 않는데, 이럴 경우에는 들어가기는 하지만 살짝 뻑뻑해서 애매합니다(용매 자체는 PBS같은 질감입니다). i.v. 성공 시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나요? 피도 안 나는 경우도 있어서 더욱 걱정됩니다ㅜㅜ 참고로 i.v. 전에는 램프로 꼬리 혈관을 확장시켜주고, 인슐린 주사기 29G 짜리를 사용합니다. 부족한 석사생에게 지혜를 나누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도로도로도로록  |  2022.06.05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Cell 수를 바꾸면 고농도보다 저농도 reagent에서 cell이 더... [4]
cDNA 전기영동 시 marker가 안내려갑니다. [4]
gel %가 안 맞습니다...ㅠ, running gel 만들 때 가끔씩... [4]
랩 초보 대학생입니다 클린벤치 사용 시 오염에 대해 궁금한점 [5]
primer 부착 여부 확인 방법 [2]
Cell culture 문의 드립니다. [3]
어떤 것에 의한 contamination 인지 봐주실 수 있으신가요? [3]
cell culture시, 이거 오염된건가요?ㅠㅠ 키우면 키울수록 의아합... [5]
분석 시료 전처리 [3]
penicillin 넣을 용량 계산문제입니다. [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올챙이답답한아이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실험조아

알시아프로즌

대왕개구리강시

알매드사이언스

개구리새슬

알Y.Y

대왕개구리강시

꽃개구리TX

개구리Lucid

개구리식스센스

개구리G.P.Ts

대왕개구리엘피스

꽃개구리착한사람

개구리Eigen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