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Hela cell condition, contamination에 대해 조언을 얻고싶습니다. (사진 有)
[Hela cell Thawing 후, 25시간 후 상태] [Hela cell Thawing 후, 37시간 후 상태 (현재)]   안녕하세요, 석1기 초보 대학원생입니다.   Hela cell을 culture 하고 있는데요, Stock을 thawing 한 후 상태를 보니 세포 모양이 많이 달라지고 문제가 있는 것 같아 너무 걱정되는 마음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세포 모양이 저 정도로 울긋불긋? 하게 변한 것은 세포 상태가 안 좋은 것인지 (문제가 있는 것인지) 혹시 contamination 된 것인지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해봅니다.
회원작성글 national c..  |  03.15
Q. 미생물접종시 이쑤시개 사용
이쑤시개를 사용해서 접종할때 그냥 나무이쑤시개를 멸균해서 쓰면 안되겠죠? 보통 플라스틱 이쑤시개를 멸균해서 쓰시나요?
회원작성글 갈인  |  03.15
Q. TCBS 배지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가 억제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TCBS 배지와 SS 배지에 미생물 실험을 하였는데, TCBS와 SS에 동일하게 sodium thiosulfate와 sodium citrate 가 있는데도 SS에서는 대장균이 배양되고 TCBS에서는 배양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SS 배지에서는 왜 vibrio 종이 자라지 않는 지도 알고 싶습니다!! ㅠㅠ 구글링 실력의 부족인지 찾아봐도 도통 나오지 않네요.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gkfkdakfkd..  |  03.14
Q. 미생물 분리 동정 실험을 진행중인 학생입니다
미생물 분리 동정 실험 과정중 동정과정에서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16S rRNA sequencing을 맡기려 하는데 추천하시는 회사랑 가격이 어느정도 되는지 알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Hsst  |  03.14
Q. 단백질 추출법
안녕하십니까.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논문을 참고하여 단백질 추출을 하고자 하는데 이런 식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supernatant was fractionated between 40 and 75% saturation with ammonium sulfate solution.' 여기서 궁금한 점은 상층액에 ammonium sulfate를 첨가하면 밑에 자연스럽게 침전물이 분리된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상층액을 ammonium sulfate를 첨가하고 원심분리를 돌리라는 말인가요? 첨가한다면 몇 농도의 ammonium sulfate 를 어느정도의 양을 넣어야 하는건가요? 부족하지만 긴 글 시간내어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jeansflow  |  03.14
Q. protein pulification 과정에 대한 질문
제가 lab에서 e.coli를 통해 얻은 protein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LC를 사용하고 있는데 Eluent를 유기 용매 위주로(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기용매를 날려주기 위해 Lyophilization 과정을 하는데 종종 과정 중에 녹거나, 하루가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이 고민입니다. 처음엔 protein 수급이 안되었는지 생각했는데, SDS-PAGE를 하거나 microtube 정도의 scale에서 진행을 하면 protein이 확인 되지만, conical tube에 10~15ml 정도의 scale 에서는 여전히 진행이 되지 않아 너무 고민입니다. 혹시 비슷한 일을 겪었거나 해결해본적 있으신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HPLC 사용 시 gradient elution을 사용하고, Elution은 물, TFE, Acetonitle, IPA 등을 사용하며 protein inject 용으로 사용하는 용매는 MC와 HFIP를 섞어 사용합니다
회원작성글 acoli  |  03.14
Q. Baseline 급하강 혹은 급상승
분석장비에서 Baseline이 급상승하거나 급하강하는 현상을 Baseline step이라고 칭하기도 하나요? 따로 공식적인 이름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ICA  |  03.14
Q. 별불가사리 단백질 추출에서의 문제점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별불가사리 단백질 추출에 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연락을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논문에서 찾은 별불가사리 단백질 추출법인데 40% ammonium sulfate와 Tris-HCl buffer (pH 7.4)를 첨가하라고 되었지만 명확한 첨가량과 Tris-HCl buffer의 농도가 나와있지 않습니다.  냉동된 별불가사리를 작은 조각으로 자른다. 잘게 자른 별불가사리를 4℃의 3차 증류수에 넣고 균질화.  균질화 한 별불가사리를 100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 원심분리 후 상층액(S1)에 40% ammonium sulfate를 상층액(S1)에 첨가. 40%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상층액(S1)을 원심분리 후 상층액(S2) 획득. 획득한 상층액(S2)에 50mM Tris-HCL buffer (pH 7.4)를 첨가  여기서 궁금한 점은 단백질 추출을 위해서 40% ammonium sulfate를 어느정도 넣는지와 어느정도의 농도인 Tris-HCl buffer (pH 7.4)를 어느정도 넣는지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또한 궁금한 점은 제가 별불가사리 단백질 추출법 이기에 다른 단백질 추출법의 논문에 대해서는 참고하지 않았는데 별불가사리가 아닌 다른 생물의 단백질 추출법에 대한 논문을 참고해도 될까요? 부족하지만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며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jeansflow  |  03.14
Q. Endothelial cell의 membrane을 염색에 대한 질문을 고수님들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과정 중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Endothelial cell(HUVEC, HPAEC, ...)들을 현재 배양 중에 있는데 이 세포들의 confluence를 100%로 채워서 mono-layer로 만들고 permeability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Endothelial cell가 mono-layer를 형성하는 것을 보고자 membrane을 staining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려고 합니다.   논문들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제품들을 사용하는 것 같은데   1. Dil Stain (1,1'-Dioctadecyl-3,3,3',3'-Tetramethylindocarbocyanine Perchlorate ('DiI'; DiIC18(3))) (cat# D3911)   2. CellBriteTM Orange Cytoplasmic Membrane (cat# 30022)   3. CellMask™ Plasma Membrane Stains (cat#C10046)   위의 제품들이 자주 사용하는 것들인지 혹은 endothelial cell의 membrane을 염색하고자 할때 사용하기 좋은 다른 제품들이 있는지 고수님들께 여쭤보고자 합니다.   제가 실험실을 혼자 셋업 중에 있어서 주변 선배들이 없는 실정이라 물어볼 곳이 많이 없다보니 여기서 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도움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ㅠㅠ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cye0125  |  03.14
Q. 스플라이싱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현재 학부생이고 유전공학을 공부하고있습니다. 어떤 책에서는 인트론과 스플라이싱은 진핵생물에서 일어나고 원핵생물과 세균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되어있는데 어떤 책에서는 원핵생물 및 세균 에서도 제한적으로 일어난다고 되어있습니다. 뭐가 맞는 걸까요?
회원작성글 winxiiss  |  03.14
Q. CO2 incubator 를 청소하면서 생긴 질문
연구소 보안상 모든내용은 사실여부와 무관할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말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느 연구소 인턴으로 근무중인 사회인(?)입니다. 다름아닌 학문적으로 호기심이 생겨 질문을하려고 하는데, CO2 incubator를 청소에 관한 내용이며 녹이 쓸어 에메랄드 색 내부 의 상태의 incubator 였습니다. 근데 청소 세척을 하는중 에탄올로 청소하면 mycoplasma는 에탄올로 제거가 안된다는 말이 있어 물로 세척도 필요하단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세척을 물로 하다 우연히 구리받침대(incubator 내부 층을 분리하는 판대기)를 세척중 세제(일반세제?)에 닦은 부분이 광택이 나면서 엄청나게 깨끗한게 된겁니다..... 너무 깨끗해서 전후 차이가 너무 심한것 입니다. 그래서 티안나게 전부 닦았는데 녹슨 부위까지 모두 닦인것 입니다(힘들었지만 닦이긴하네요). 요점은 세제로 닦아도 되는것 이냐? 입니다! 알류미늄의 산화 피막이라고 아시죠? 그것처럼 구리도 산화피막 있어서 제가 그걸 몽땅 닦아버린게 아닌가? 그런 의문이 생겨 걱정됩니다. 깨끗한건 좋은데 이렇게 해도 될까..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2번째는 왜 incubator 내부는 구리인가? 입니다. 많은 금속들중 굳이 구리를 쓰는 특별한 기능이나 특징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CO2가 배지에 NaHCO3에 중화시키는것처럼 뭔가 화학 반응이 있나? 의문도 가졌지만 여기 분야는 공부를 해본적이 없어서 알아볼 방법이 난감합니다. 3번째는 구리판에 얼룩입니다! 당연히 웬만한 금속 재질 기구는 시간이 지나면 변색되고 이물질이 묻어나서 생기는게 정상이지만 이 얼룩이 매번 에탄올로 세척을하는데도 안지워졌던 얼룩입니다. 그리고 물로도 잘 안닦이는데 이상하게 세제묻은 수세미에 잘 닦여나간거에 얼룩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정말 궁금하지 않나요? 그 위에 배양액을 쏟는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부위가 생긴 어두운빛갈색 변색같은데 배양액으로 인한 것 같진 않단 말이죠! 그럼 도대체 누가 만든 걸까요? 씻고 마르면서 생긴 물때? 아니면 세척용 에탄올과 무언가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진 부산물? 아니면 진짜 구리의 산화피막? 아니면 1차증류수나 수돗물같은 세척으로 미량의 무기물이온과 화학반응물? 혹 잔류세제에있는 글리세롤? 궁금해서 하루종일 머릿속이 구리뿐입니다! 도대체 무슨일이 일어났었던걸까요?
회원작성글 고로쇠물  |  03.14
Q. Rheumatoid Arthritis Human Fibroblast-Like Synoviocytes(HFLS-RA) 세포 구매처 혹은 분양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에서 효능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저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in vitro 실험으로 1차적으로 RAW cell 에서 항염능을 확인한 후  추가 실험으로 cell application 사의 HFLS-RA 세포주를 구매하여, 항관절염 효능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계획 중에 있었습니다.   1월 초 3개월 내 배송된다는 확답을 받고 cell application 사의 HFLS-RA 주문 완료하였고, 배송을 기다리던 도중, 갑작스럽게 지금부터 6개월 이상 소모되며, 정확한 납기일은 안내 불가하다는 연락을 이제서야 받았습니다. 과제일정에 맞추어 진행되어야하는 실험이라   Rheumatoid Arthritis Human fibroblast-like synoviocytes가 급하게 필요한 상황입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국내에 배송가능한 업체 중 해당 cell을 판매하는 업체를 찾지 못하여 글 남깁니다.   혹시 해당 cell 구매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업체 등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ㅠㅠ 혹시라도 해당 cell line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 중 분양해주실 수 있는 분이 있으시면 답글 혹은 메일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연락처 : okijukok@korea.ac.kr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okijukok  |  03.14
Q. oil red o
안녕하세요. hepa1-6에 lipid accumulation시키고 oil red O staining 시험 중인데 잘 안됩니다ㅠㅠ 그래서 여러 프로토콜을 찾아보고 있는데 60% isopropanol 5분 incubation 한 다음 dry하고, ORO 염색 후 용출시키기 전에도 dry하는 프로토콜이 있더라고요. 왜 말리는지 알 수 있을까요? 말리면 염색이랑 용출이 더 잘 되나요?
회원작성글 나만안돼  |  03.14
Q. 노르말농도와 퍼센트 농도
실험 너무 오랜만에 해서 노르말과 퍼센트 농도를 까먹었습니다... 0.5%NaOH 300ml을 넣어야하는데 현재 제가 1N NaOH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걸 그대로 300ml 넣으면 되는거 맞을까요?
회원작성글 공고공  |  03.14
Q. plate에서 세포가 불균일하게 떨어집니다.
  현재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Hexosaminidase 실험중입니다. 24-well plate에 적절한 농도로 seeding하여 20시간 배양한 뒤 sample 1시간 전처리 후 IgE를 처리하여 또 20시간 정도 배양하는데요 이 때 sample 처리 전에 세포가 떨어질까 wash 단계는 생략하였고, 샘플 처리 전 후 모두 세포가 잘 붙어 있었는데 전처리 1시간 뒤에 IgE를 처리하기 위해 세포를 꺼내서 현미경으로 보면 배지 교체만 해준 control군 중에 몇 well은 잘 붙어있는데 몇 개의 well은 또 떨어져 있더라구요. 오히려 샘플을 처리한 well에는 또 모두 세포가 잘 붙어있는 걸로 보아 샘플의 독성 때문은 아닌 것 같고, 단지 핸들링 문제인 것 같습니다. 여기서 제가 생각해 본 트러블슈팅은 1. Media suction : 1 ml 팁 끝에 10 ul 팁을 꽂아 석션, 석션 후에 세포 상태를 보았을 때 문제 없었음    2. 배지 교체 시 분주의 세기: 샘플은 벽면에 분주함, 분주 직후 incubation 하기 전에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잘 붙어있었음  이렇습니다. 1, 2번 모두 저의 생각은 이러한데 제가 잡지 못한 문제가 있을까요? 모든 well에서 세포가 떨어지면 plate 코팅 문제이지는 않을까 생각 해보겠는데, 세포가 너무 불균일하게 떨어져서요 plate는 corning (#3526) 사용중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먼머니  |  03.14
Q. particle 사이즈
안녕하세요.  nanoparticle을 만들고 동결건조 시킨 후 powder 상태로 챔버에 보관중입니다. 동결건조 시키기 전 물에 분산된 상태로 DLS(dynamic light scattering)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을때보다, 동결건조 시킨 후의 입자 크기가 거의 2배 증가 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 ㅜ ㅜ
회원작성글 이동원참치  |  03.14
Q. 제한효소 유닛 단위개념 밑 버퍼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학부생입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질문은 남깁니다.   1. 20U/ul 제한효소를 1U/ul로 희석하려면 그냥 19ul buffer+1ul 제한효소 넣으면 1U/ul로 희석되는 게 맞나요?   2.프로메가 사 BamH1 제한효소 구경 중에 storage 버퍼가 있던데 이게 어디쓰는 건가요? 이걸로 효소를 희석하는 게 맞나요?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winxiiss  |  03.14
Q. hydrogel cell test
하이드로겔 같은 재료는 media에 둥둥 뜨던데 이런 재료는 보통 cell test 할 때 어떻게 하나요? 의료용 접착제 같은 것으로 바닥에 고정시키나요?ㅠㅠ
회원작성글 yellm  |  03.14
Q. sds gel 사진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이번에 쿠마시 블루로 염색시킨 겔을 사진 찍고 싶습니다.  사진을 찍으려고 보니 흰 판에다가 찍어야하는데 그냥 아크릴판에다 찍으면 되는지 궁금하네요 ㅜㅜ 사진 처럼 저런제품도 구매해볼까 생각하고 있는데 명칭이 뭔지 모르겠어요.. 혹시 이름이랑 판매처 아시는분 계실까요?ㅜ
회원작성글 기댕이  |  03.14
Q. mouse skin 고정방법
mouse의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염색을 하려고 하는데요, 피부조직을 자르면 돌돌 말려지는데  어떻게 펼쳐서 고정액에 담가 고정시키시는 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초보자입니당  |  03.14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