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퍼킨엘머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연재 상반기 공모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Glucose solution 2g/L를 희석 했을 때 농도 질문드립니다.
 Volume이 1mL가 되게 glucose solution 2g/L를 10μL, 7.5μL, 5μL와 DIW를 990μL, 992.5μL, 995μL을 넣고 glucose 발색 시약 100μL를 넣어서 용액의 총 Volume은 1.1ml가 되게 3개의 sample을 만들었는데 각각의 sample의 농도가 궁금합니다. 발색시약도 농도의 관여가 주는지 아니면 농도가 미세하게 바껴서 거의 무의미할 정도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으랴챠챠  |  05.21
Q. 미생물 strain name 작성 관련하여 질문합니다 ㅠ
안녕하세요, Probiotics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미생물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실이 아니라 여쭤볼 사람이 없어 게시글 올립니다. 논문 Revision 중인데, 한 reviewer 가 "my suggestion is that you write the name of the strain (KCCM 11322) through the manuscript, including the title. What is the origin of the strain?" 이라고 작성해 놓았더라구요..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CCM 11322 이며, ATCC에서 strain designation 을 확인해보니 17-5 였습니다. "name of the strain" 이라고 함은,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17-5"라고 작성하라는 것인지...아니면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CCM 11322"라고 작성하라는 것인지...잘 모르겠습니다... "Origin of the strain" 이라고 함은...bacteria가 어디서 isolation 된 것인지를 작성하라는 것인지.. 아니면 '17-5' 혹은 'KCCM 11322' 자체가 strain의 origin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인지...   위 내용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회원작성글 icandoit42  |  05.21
Q. HPLC 컬럼 세척 과정 도와주세요 ㅜㅜ
HPLC 분석 후 세척 과정 중 혹시 수정할 사항이 있을까요? 1. A,B 라인을 DW에 넣은 뒤 퍼지를 열고 3 ml/min 으로 유속을 설정 후 10CV 만큼 흘려 보낸다. 2. 기포가 없다는 것을 파악한 후 20% 에탄올로 바꾼 뒤에 퍼지를 열고 1 ml/min 으로 유속을 설정 후 10CV 만큼 흘려 보낸다 제가 궁금 한 것은 퍼지 밸브를 계속 연 상태에서 용매를 흘려 보내야 하는 건가요? 혹시 작동 중 퍼지 밸브를 닫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ㅜㅜ
회원작성글 칸쵸  |  05.21
Q. PDGF 분양 가능하신 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차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랩실에서 VSMC를 타겟하는 실험 중에 현재 MTT Assay로 Cell Viability나 Cell Proliferation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약물 주문을 넣을때 PDGF 주문이 누락되어 현재 랩실에 보유중인 PDGF가 전무한 상황입니다. 뒤늦게 주문을 넣었으나 언제 올지 미지수인 상황이라서요.... 혹시 500ul 정도만 분양해주실 분들 있으실까요...ㅠㅠ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서날  |  05.21
Q. Suspension cell stock 제작
Suspension cell을 다른 연구실에서 받아오게 됐는데요 그 연구실에서 말하길 cell을 한 번 풀고 passage number 15번 정도까지 계대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고 15번 이후에는 그냥 폐기한다고 합니다. 받아올 stock이 passage number가 몇 번일지는 모르겠지만  최대한 낮은 number의 stcok을 대량으로 확보해 두려고 하는데요 Adherent cell은 몇 번 해봤는데 suspension cell은 처음이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 올렸습니다. 처음에 cell을 많이 키워서 cell volume이 많아지면 그때 부터 stock을 대량으로 만들면 될까요? (예를 들어 15 ml까지 cell을 키우고 그 중 10~12 ml은 stock을 만들고 나머지는 배양하고, cell volume이 높아지면 또 stock을 만드는 식으로)  
회원작성글 비타구미  |  05.21
Q. 필터를 사용한 H2O 제거
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어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제가 peptide 추출물에서 H2O를 제거하려고 하는데 필터의 크기는 몇 kDa 여야하나요?
회원작성글 jeansflow  |  05.21
Q. 히스타민 tlc
tlc로 histamine dihydrochloride를 rf=0.5정도로 올리려고 해보는데 스팟도 잘 안찍히고 uv램프로 잘 보이지도 않더라구요ㅠㅠ 혹시 히스타민으로 tlc 해보신 분 계시다면 용매비율이나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다른 논문보면 히스타민을 염색시키는 작업도 하는 것 같던데 이 작업을 하지 않아서 일까요..? 저는 물에 녹인 히스타민을 전개용매(클로로폼:메탄올=1:1)로 올려보았습니다...
회원작성글 러버덕  |  05.21
Q. 마우스 조직 염색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물실험 종료 후 조직 염색을 맡기려고 하는데 관련 업체 추천을 부탁드리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원래 랩실에서 맡기던 업체가 있는데 현재 조직 염색은 진행하지 않는다고 하여 새로운 업체를 찾으려는데 국내에서 조직 염색이 가능한 업체가 너무 다양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큰 저널에 실린 것을 기준으로 하는지 큰 업체별로 견적을 받아보고 저렴한 곳에서 해야하는지 기준을 모르겠네요...(샘플 수가 많아 가격이 너무 높은 곳에서는 어렵지 않을까..합니다.) 좋은 곳 아시는 분 계시다면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ㅠㅠ 동물실험은 정말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네요.. 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좋은 일만 가득하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햅삐  |  05.21
Q. TEV protease 처리 조건
안녕하세요. 실험 계획 짜고 있는 석사 1학기차 학생입니다. 제 target peptide가 TEV protease처리로 target peptide N말단에 부착되어 있는 fusion tag와 linker를 제거 후, Resource RPC 3mL column을 이용해 purification을 진행합니다.   그래서 TEV protease 처리 조건을 찾아보니까 room temperature(20도)에서 O/N으로 진행하거나 4도에서 8도 사이에서 O/N으로 진행하라고 나와있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때 TEV protease 처리 농도도 함께 찾아보니 1/50~1/200까지 다양하게 나와있어서 target peptide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일단 어떤 걸 기준으로 비율을 잡아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무작정 다들 많이 적용하시는 1/100 비율로 TEV protease를 처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이걸 계산하는 방식이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TEV protease OD값 : target peptide OD값 = 1 : 100 비율이 되도록 하는 것 같던데 이렇게 계산하는 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받은 protocol에는 TEV protease의 최종 농도가 500nM이 되도록 첨가하라고 나와있었는데 현재 제가 제 peptide 농도를 모르는 상태여서 왜 500nM 정도로 넣으라고 하는 이유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ㅠ 관련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또한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TEV protease의 가장 active한 온도가 34도인데 처리 온도로 4~8도가 권고되고 있었습니다. 왜 최적 온도에서 진행하지 않는 건지 또한 정말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3. 마지막으로 TEV protease 처리 후 종료 방법에 대해 나와있는 정보가 없더라구요! 혹시 별도로 반응 종료해줄 필요가 없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항상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5.21
Q. Calcium imaging troubleshooting 관련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PDL-coated glass에 rat hippocampal neuron을 primary culture 해서 calcium imaging을 하는중인데요, 생각보다 잘 안되서 무엇이 문제인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Dye는 Fluo-4 AM이고 DMSO에 녹여서 stock으로 만들었습니다. probenecid를 넣은 neurobasal media에 5mM 되게 녹였고 1시간 incubation 후에 dye가 없는 neurobasal media로 여러번 씻어주고 다시 1시간 incubation 했는데, 세포가 염색된건 확실히 보이는데 calcium signal (?)이 안보여서요. 48 well 크기의 cover glass에 세포를 2만 셀 정도 깔았고, 머큐리램프에 파란색 파장으로 걸러서 EMCCD로 촬영했습니다. Exposure를 20 ms로 잡고 찍어봤는데... 세포 형광이 보이니까 세포막에서 dye가 분해된건 확실한 것 같은데 보통 calcium imaging 할때 보이는 그 밝기 변화가 보이지 않아서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Diatom  |  05.21
Q. 화학 실험 중 주사바늘 찔림
Octane, Toluene, Chcl 등이 섞인 용액이 담겨있는 용액을 주사했던 주사 바늘에 찔렸습니다. 그냥 흐르는 물에 씻고 넘겼었는데 문득 정말 그냥 넘길일이 맞나 싶고 불안해서 글 남깁니다.
회원작성글 Djfhfji  |  05.21
Q. 배지에 항생제를 넣을 건데 용량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생제 내성세균을 찾을려고 TSA에 각각 ampicillin과 amoxicillin을 투여해서 부은 다음에 도말해서 내성균주를 찾을려고 합니다. 그런데 배지에 항생제를 얼마나 투여해야하는지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그리고 배지에 항생제 투여 기준이 있을까요? 그건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ektha036  |  05.21
Q. miRNA transfection 이후 target gene qPCR
안녕하세요. miRNA를 cell에 transfection 시킨 후 miRNA가 세포 안에 잘 들어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qPCR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 때 miRNA를 targetscan 돌려서 상위에 나온 유전자를 이용해서 primer를 제작하고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이 유전자들이 transfection 된 세포에서 높게 나타나는게 맞는지 여쭤보려고 질문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miRNA가 mRNA에 달라붙게 되면 mRNA 가 degradation 되거나 번역이 억제된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targetscan 상위에 나온 유전자들이 degradation 돼서 transfection 된 세포의 유전자 발현이 control에 비해 낮게 나와야 되는 거 아닌가요??
회원작성글 scientist_..  |  05.20
Q. 전기영동 결과 band의 진하기와 두께
전기영동 결과 band의 진하기와 두께가 조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오는데, 어떤 요인에 의해 band의 진하기와 두께가 다르게 나오게 되나요? 
회원작성글 솜이언뉘  |  05.20
Q. siRNA 타겟 단백질이 약물처치 한 후 발현이 증가할 수 있나요?
siRNA 타겟 단백질이 knockdown된 것을 확인하였고, 실험 목적에 따라 약물을 농도별로 처치하였고 western blot을 수행하였습니다. 그런데 knockdown 시킨 단백질이 약물 미처리군에서는 발현이 억제되어있는데 농도별로 처리한 약물처치군에서는 발현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부분은 예상하지 않은 결과인데 knockdown시킨 단백질의 발현이 약물처리 등으로 다시 증가하는게 가능한가요? 깊게 신경쓸 필요없는 잘못나온 데이터인지, 추가연구를 해볼 필요성이 있는 가능성 있는 결과인건지 판단이 서지 않습니다.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소미솜  |  05.20
Q. BLAST 신뢰도
안녕하세요 BLAST 통해 미생물을 동정하던 도중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   Percent Identity랑 QueryCover라는 수치의 의미는 알겠는데,  해당수치가 어느정도 수치 일 때부터 신뢰를 할 수 있는 수치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보통 99%나 100%가 자주보이는 것 같던데, 85%정도의 Percent Identity수치, 92%의 Query cover수치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BLAST사이트내에 이 점에대한 설명도 없어서...   Percent Identity값이 95%< 이면 동정결과를 믿어도좋다 90%> 이면 아직 미발견된 종이거나, 신뢰할수없는 정보이다 이런식으로 BLAST사이트 내에서도 딱 정해서 가이드를 올려놓은게 있으면 좋을 것 같은데...ㅠㅠㅠ 아무리 찾아봐도 안보이네요 ㅠ
회원작성글 동물생리학  |  05.20
Q. hplc purge 도와주세요 ㅜㅜ
20% 에탄올로 세척 과정 중인데, A,B 라인을 에탄올에 담궈놓고 현재 컬럼은 끼우지 않은 상태 입니다. 이때 퍼지 밸브를 계속 열어야 하나요? 퍼지를 해야 용매가 컬럼까지 안가고 waste로 빠져나간다고 들어서 세척 과정시 퍼지 밸브는 계속적으로 열어야 하나요??
회원작성글 칸쵸  |  05.20
Q. Lysis buffer 만들기
100mM tris HCL , 50mM EDTA , 3% SDS 인데요! 셋 다 스탁을 만들었습니다! 90ml로 만들고 싶은데 1:1:1 비율로 섞어주면 되나요?
회원작성글 영팔이  |  05.20
Q. the reuse of monoclonal antibodies for panning in phage display
안녕하세요 또 실험을 실패하고 돌아온 대학생입니다. 이번 phage display 할때는 3월달에 panning 하고 남은 antibody를 NaN3 조금 넣은뒤 4도 냉장고에서 보관한 mAb를 panning 할때 썼는데 pellet가 나와야하는데 pellet가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antibody 문제라고 생각해서 혹시나 antibody가 healthy 하게 존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데 제가 그거 배우려면 1주일이나 걸린다고 하네요....  교수님은 peg/nacl 문제라고 생각하시는듯하시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저는 antibody 문제인거같은데, 혹시 reuse of mAb for panning in phage display 했다가 실패한 논문 자료 같은거 있을까요 ㅜㅜ 아무리 찾아도 나오지 않네요... https://www.neb.com/-/media/nebus/files/manuals/manuale8210_e8211_e8111_e8212.pdf?rev=069856096bca4da38403f2ff2fd5a715&hash=C82D9364FE09234AD7527B9BFE2FB46D   링크는 제 프로토콜 입니다.... 꼭 좀 도와주세요 ㅜㅜ   
회원작성글 대학생_  |  05.20
Q. cell stock 제조
cell을 배양하여 50% glycerol에 섞어 1ml씩 보관을 하도있습니다. 헌데 이번에 배양하는 균주로 stock을 제조 후 streaking을 하면 이상하게 colony가 뜨지 않습니다. 다시 원래 있던 colony로 배양하여 현미경에서도 오염된게 없는걸 확인하고 다시 stock을 제조 한뒤 streaking을 해도 colony가 2-3개만 뜨고 아예 뜨지가 않습니다;;; glycerol에 문제일수도 있다 생각하지만 이럴땐 어떤게 문제일까요? 보통 stock제조 시 OD값을 4-6 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회원작성글 분자생물학도  |  05.19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