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일 라이프니츠 천연물·감염생물학연구소(Leibniz-HKI)는 6일(현지 시각) “피에르 스톨포스 박사 연구진이 박테리아에서 잿빛곰팡이병을 물리칠 천연물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ChosunBiz | 02.07 |
|
 |
심해 미생물이 햇빛이 닿지 않는 깊은 바다에서 어떻게 생존하는지는 학계의 수수께끼였다. 해양 미생물 대다수는 광합성으로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지만 심해 미생물에게 광합성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심해 미생물 생존의 비밀은 바다에 풍부한 수소(H2)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 02.07 |
|
[젊은 두뇌가 뛴다]⑥“車부품처럼 고장난 유전자 통으로 바꾸는 시대 곧 와요” ChosunBiz | 02.06 |
김인호·윤철희 교수,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 파이낸셜뉴스 | 02.06 |
![[표지로 읽는 과학] 양서류 기원의 열쇠를 품은 케실리언](/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48732_1.jpg?1675638874) |
'펑키 웜(Funky worm)'이라는 제목의 주인공은 제목 오른쪽에 보이는 보라색 벌레다. 벌레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양서류다. 2억2000만년 전 것으로 보이는 케실리언(무족영원·Caecilian)의 화석을 분석해 당시 모습을 재현했다. 위쪽에 보이는 파충류는 같은 시기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수키안 아카이나수쿠스(Acaenasuchus)다. 동아사이언스 | 02.06 |
|
'유전자교정 아기' 논란 中 과학자, 황우석 전철 밟을까 동아사이언스 | 02.06 |
곰이 나무에 몸을 비비는 이유 "진드기 퇴치 때문" 동아사이언스 | 02.06 |
![[사이언스카페] 격리치료, 거리두기…방역 원조는 개미](/upload/board/files/news/nes_6/thumb/photo0348726_1.jpg?1675638525) |
인간과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인간이 백신이나 감염을 통해 항체를 가지면 바이러스는 델타, 오미크론으로 변이를 거듭하며 빠져나갔다. 개미 사회도 인간처럼 방역 전쟁을 하고 있다. ChosunBiz | 02.06 |
|
‘북극 땅다람쥐’의 신기한 동면 비밀, 장거리 우주여행 ‘열쇠’ 물어다 줄까 경향신문 | 02.03 |
 |
국내 연구진이 남성 불임 치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정원줄기세포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작용기전을 규명했다. 향후 남성 불임의 예방과 해당 단백질 기전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이낸셜뉴스 | 02.02 |
|
|
 |
사슴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코로나19)의 변이를 축적해 새로운 변이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듭해 사람 간 감염에서는 알파·베타·감마·델타에서 오미크론으로 지배종이 바뀌었지만 연구에서는 오래된 변이인 알파와 감마 변이가 흰꼬리사슴 내에서 옮겨다니며 계속 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 02.02 |
|
 |
임상 검체에 존재하는 감염성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빠르고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자동화 분자 진단 시스템이 개발됐다. 메디컬투데이 | 02.01 |
|
정부가 3000억원 쏟는 ‘바이오파운드리’ 도대체 뭐길래 매일경제 | 01.31 |
 |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실내 주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식물을 이용한 인테리어‘플렌테리어’가 각광을 받고 있다. 키메라 식물은 녹색과 백색을 비롯한 다양한 색이 섞인 잎을 가지고 있어 관상용으로 인기... 댓글 | Bio통신원 | 01.31 |
|
 |
한양대학교 ERICA 생명나노공학과 이주헌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PCR검사를 10분 이내로 끝낼 수 있는 고감도 나노분자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양대가 31일 밝혔다.... 댓글 | Bio통신원 | 01.31 |
|
|
|
 |
3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등장으로 사라진 기술로 평가받던 징크핑거 유전자 편집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인 덕이다. ChosunBiz | 01.31 |
|
가족끼리는 구강 미생물의 3분의 1을 공유한다 한겨레 | 01.3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