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AIST는 신소재공학과 박찬범 교수 연구팀이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질환을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아미노산 화합물) 응집체를 자기장으로 분해할 수... 댓글 | KAIST | 05.16 |
|
|
|
|
 |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장내균총 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균을 발굴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질환 모델을 대상으로 이 균을 투여한 결과 우수한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댓글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05.16 |
|
|
|
|
 |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이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을 광음향 현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현상을 응용해 몸속을 찍는 광음향 영상기법은 조영제... 댓글 | POSTECH | 05.16 |
|
|
|
|
|
![[석사탐구일지] 매너리즘 극복 (웹툰)](/upload/board/files/news/nes_9/thumb/photo0341419_1.png?1652659773) |
실험실에서 반복적인 실험을 하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욘됴리만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
|
|
|
|
![[감성적인 연구원이라도 괜찮습니다] 딥프리저 _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실험실 장비관리](/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41327_1.png?1652403693) |
미생물을 다루는 분이라면 대부분 초저온 냉동고인 딥프리저를 사용하시겠죠.
딥프리저 대신 액체질소를 사용하는 실험실도 본 적은 있습니다. 딥프리저를 갖추기 어려운 것이 이유라고 하면서 일시적으로 사용하시더군요. 액체질소가 딥프리저를 전적으로... 댓글 | 세균맨 | 05.13 |
|
|
|
|
|
|
|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체내에서 DNA 손상조각을 분해시키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시험관에서 증명하는 데 성공했다. 세포 내 DNA는 자외선·흡연 등의 발암물질과 체내 대사물질로 인해 매일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다. 댓글 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05.13 |
|
|
|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의 전파력을 예측하기 위한,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모델링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오미크론 등 국내 발생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유전자 정보(오미크론, 알파, 델타,... 댓글 | 질병관리청 | 05.12 |
|
|
|
|
 |
경북대 식품공학부 이상한 교수팀이 참깨 속에 존재하는 불용성 리그난으로 알려진 ‘라리시레시놀(lariciresinol)’의 혈당 강하 효과를 입증했다. 이상한 교수팀은 참깨의 기능 성분인 라리시레시놀의 혈당 강하 효과를 검증... 댓글 | 경북대학교 | 05.12 |
|
|
|
|
 |
연세대학교 약학과 김성훈 교수와 동국대학교 이경 교수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이강영, 민병소 교수 등 다수 국내 연구진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주요 발암 인자인 KRAS를 통해 유발되는 새로운 암 촉진 기전을 밝혀냈으며, 이를 통해 KRAS의 변이로 유발... 댓글 | 연세대학교 | 05.12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