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 교수팀(심소윤 대학원생, 최영우 연구전담교수)과 엠디헬스케어 김윤근 대표 연구팀이 호중구성 천식 환자에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유래 세포밖 소포’가 기도 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댓글 | 아주대학교의료원 | 02.08 |
|
|
|
|
 |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원 교수팀(강민수 교수, 병리과 나희영 교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안수민 교수)이 정상 담낭 상피 세포가 전암성 병변을 거쳐 원발 담낭암, 전이성 담낭암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이는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 종양 클론의 시간/공간적 변화 추적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로, 환자에서 보다 효과적인 표적항암제를 선택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02.08 |
|
|
|
|
|
|
|
|
|
 |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신경과 윤창호 교수 연구팀이 두경부 X-ray 영상(Cephalogram)을 분석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댓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02.07 |
|
|
|
|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찬녕, 주형준 교수팀(1저자 의료빅데이터연구소 유학제 교수, 의학통계학 석사과정 정세화, 공동 교신저자 신경과 이찬녕 교수, 순환기내과 주형준 교수)이 병원에서 시행하는 표준 심전도 검사만으로 특발성 파킨슨병을 감별할 수 있는 인... 댓글 | 고려대학교병원 | 02.06 |
|
|
|
|
|
|
|
|
 |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을 수립하여, 우리나라 바이오 기술혁신과 바이오 경제 본격 육성을 위해 ①바이오와 디지털 융합을 통한 신기술‧신산업 창출 ②바이오 공통기반기술의 고도화 ③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 확산 ④인력양성‧국제협력 등 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등 추진전략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번 간담회를 거쳐 구체적인 사업과 정책으로 연결시켜 나갈 계획이다. 댓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02.03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