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JNK 질문이요 |
|
|
안녕하세요
p-JNK를 보고 JNK를 확인하려니 JNK1 안티바디와 JNK2 안티바디가 각각 있네요
이럴땐 어떤걸로 토탈을 확인해야할까요?
고맙습니다
|
|
졸려요 | 01.27 |
|
Q. |
시퀀싱에서 점돌연변이가... |
|
|
시퀀싱보낸 plasmid서열에서 점돌연변를 발견했는데 CGG가 AGG로 바꼈습니다. 워블법칙덕분에 아미노산이 둘다 아르기닌으로 번역되는 걸로 확인해 운이 좋았지만, 이 plasmid안의 insert DNA는 codon optimization을 진행했던거라서 번역과정에서 영향이 있지는 않을까 걱정되는데..... 그냥 써도 되나요?
|
|
대학원생(진) | 01.27 |
|
Q. |
금나노 합성 실험  |
|
|
항산화 효과가 있는 식물자원을 우려서(속슬렛 추출법) 염화 금산을 환원시키는 실험을 했습니다. 원래 생성된 금나노입자가 크면 푸른빛, 작으면 붉은빛으로 알고 있는데 이 사진에서 그 중간 색깔은 아직 입자가 생성되지 않은 건가요? 아님 아주 미세한 입자인 건가요?
|
|
다시말미잘 | 01.27 |
|
Q. |
H2O2농도별 IC50 |
|
|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IC50값을 구하고 western 해보려고 H202 treat하고 cell harvest해야하는데
어떻게 양을 맞추엇 만들어야할지를 몰라서요 ㅠㅠ
lM stock solution (1ml) : 102ul + 898ul
0 / 0.1 / 0.5 / 1 / 10 / 30 / 100 / 300 / 1000 (uM) 입니다....
어떻게 구하면 될까요?ㅠㅠ
|
|
Skskghfh | 01.27 |
|
|
Q. |
직선성 실험 검체 |
|
|
안녕하세요 직선성 실험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직선성 실험에서 고농도 저농도 검체를 나눠야하나요?
혈청검체는 어떻게 나눠야 고농도 저농도로 분류하는것인가요??
|
|
뉴진스 | 01.27 |
|
Q. |
직선성 실험 |
|
|
안녕하십니까 직선성 실험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은것이 있습니다
직선성이 나왔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기울기가 1이 나왔거나 이런걸로 판단하는건가요???
|
|
뉴진스 | 01.27 |
|
Q. |
실험실 멸균하는 이유 |
|
|
안녕하세요,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tube, tip 등을 멸균하는 이유에 대해서 질문하고 싶습니다.
미생물을 하는 실험실은 아니고 단백질 실험을 하는 곳인데, 실험실에서 쓰는 tube을 멸균해서 사용해야 하나요?
실험실에서 쓰는 tube(멸균 안된제품)에 세균이나 균같은게 있을 수 있는지 , 있다면 멸균하는게 맞지만 있을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PCR clean tube 은 멸균을 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하이후아리 | 01.27 |
|
Q. |
ATP bioassay 과정에서의 stability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
|
|
cell을이용한 atp bio assay를 계획중입니다!
cell이 죽게 되면 atp가 세포질로 나와 급격하게 분해가 이루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cell viability 측정을 위해 cell lysis buffer를 통해 세포 내 atp를 추출하여 atp를 측정하고 하는데 이 때 추출된 atp도 급격한 분해가 이루어져서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
aqwasd | 01.27 |
|
Q. |
동물용 안압계 대여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밟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 녹내장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예산이 제한되어 있어 안압계를 구입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압 측정을 통해 모델링이 되었는지 확인 해야하는데 측정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tonolab 같은 마우스용 안압계 가지고 있으신 분이 계시다면 하루만 대여하고 싶습니다..
지금 모델링 해놓은 마우스의 안압만 한 번 측정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오예12345 | 01.27 |
|
Q. |
cell split 시 자주 media change 해주는 것이 좋은가요? |
|
|
cell split 시 overnight이나 6시간 정도 incubator에 놓은 뒤 떠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려고 media change를 해주고, 다음 계대나 실험 전까지 incubator에서 배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요일에 cell split 하였고, overnight 후 금요일 아침에 media change를 해주었는데,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다시 media change를 해주는 것이 좋나요?
다음주에 당장 cell을 쓰지는 않고, 당분간은 계속 계대할 것 같습니다.
미천한 학부생에게 가르침을 주십시오
|
|
앞구르기 | 01.27 |
|
Q. |
NCBI에서 reference file 생성하기  |
|
|
NCBI를 이용하여 reference file을 생성하고 싶습니다.
해당 그림처럼 원하는 gene의 "intron & exon부위가 모두" cover 되도록 만드는 방법이 있을까요?? |
|
계란2 | 01.27 |
|
|
Q. |
BRIC서비스 중지 : 1월 28일(토) 07:00 ~ 29일(일) 23:00 (40시간) |
|
|
소속기관 POSTECH 정전으로 인하여 BRIC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중단합니다.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
----- 아 래 -----
1. 서비스 중단시간 : 2023년 1월 28일 토요일 07:00 ~ 29일 일요일 23:00 (40시간)
2. 서비스 중단사유 : POSTECH 정전
3. 서비스 중단범위 : PC 및 모바일 웹사이트 접속 불가, 메일 서비스 불가
4. 문의 : webmaster@ibric.org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
BRIC | 01.27 |
|
Q. |
cell counting 하는법 |
|
|
세포 형광 염색 없이 cell counting 하는 경우는 없나요?
찾아보니까 imagej로 쉽게 counting 하는법은 많이 나오는데 형광 염색된 cell만 있고
실험 전 cell density를 맞출때 세포 수를 확인하는 방법이 따로 있는건가요?
|
|
멍게 | 01.27 |
|
Q. |
최종농도 계산 |
|
|
100mg/ml 짜리 시약을 1mL 당 10ul로 처리 하였으면 최종 농도 몇으로 처리된건가요 ??.. |
|
석사감옥 | 01.2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