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이엔셀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식물 추출 후 농축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건조된 식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한 뒤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해 농축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농축 과정 중 딱딱한 이물질이 발생하는데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이 있다면 어떤 물질인지, 왜 생기는 건지, 농축액을 실험에 사용해도 되는 건지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라이옹  |  03.30
Q. OCVAR3 세포주 가지고 계신 분 있으실까요???ㅠㅠ
안녕하세요. 현재 난소암을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OVCAR3 세포주가 급하게 필요한데 혹시 가지고 계신 분 있으실까요?? 아무리 찾아보고 메일을 드려봐도 못구해서요ㅜㅜ 제가 가지고 있는 여러 cancer cell line stock도 필요하시다면 드릴 수 있습니다!!! 간절하게 구해봅니다 ㅠㅠㅠ
회원작성글 ㅁㅅㅇㅇ  |  03.30
Q. LC MSMS에 LC MS 분석법 적용 및 LC MS mobile phase
1. lc msms 기계에 ms분석법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정도의 Parameter만 있으면 분석이 가능한건가요? 2. ms에 mobile phase로 인산염 완충액을 사용해도 될까요? 3. API-ES라는 말은 ESI, ACPCI와 같은 이온화 방식의 하나일까요?  
회원작성글 연구초보생  |  03.30
Q. cell media 문의
cell stock에 문제가 있었어서 penicillin 없는 DMEM media+10% FBS 인 media를 만들어 일주일 전에 한번정도 사용했는데, 다시 새로운 cell을 분양받고 새로운 DMEM +10% media+ 1% penicillin을 사용하여 배양중에 있습니다. 이전에 썼던 penicillin이 없는 media에 추가로 penicillin을 넣어 사용해도 배양할때 cell 상태에 문제가 되진 않을까요?
회원작성글 망고두지  |  03.30
Q. EGFR wild type- primer design
안녕하세요. A549 cell을 이용하여 EGFR-WT을 detect을 하고 싶은데,  NCBI에서 EGFR-WT PASTA 정보를 찾기 어렵네요,,,  A549 cell로 부터 DNA extraction을 진행 후 EGFR-WT primer를 디자인해 PCR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minzero  |  03.30
Q. 부유세포
안녕하세요. 이번에 COLO-205세포를 분양받게 되었는데 부착세포만 키워봐서 부유세포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합니다. 1. 혹시 부유세포를 100파이, 150파이 디쉬에 키워도 괜찮은 건가요? 선배 중 한 분이 디쉬에는 코팅이 되어있어서 부유세포를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데 flask와 많이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 wash는 상층액 일부를 갈아주는 형식인가요? 배지를 일부 suction 후 새 배지를 채워주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부착세포는 sub할 때 TE처리를 하여 세포를 모은 후 centri를 돌려 진행을 하였는데 부유세포는 TE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jang0101  |  03.30
Q. HPLC base line 들뜸 현상
안녕하세요 hplc로 정량하고 있는 와중에 그저께부터 베이스라인이 들떠서ㅜㅜ 정량을 못 하고 있습니다,, 정량해야 할 피크가 자꾸 base line이 들떠버리는 곳에 포함되어 있어 정확하게 정량을 할 수가 없습니다. 5분까지 15% ACN 35분까지 15-50% ACN으로 올려주는데, 30% ACN쯤 되면 베이스라인이 바로 뜨더라구요 혹여 시료 농도 문제일까 싶어 농도, injection 양을 다 바꿔보았지만 그대로입니다ㅠㅠ 혹시 해결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ㅠㅠ
회원작성글 쿼카는  |  03.30
Q. MALDI Sample Prep을 위해 시료를 Serial Dilution할 때, 최종 부피로 Matrix도 고려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MALDI TOF를 이용해서 Mass 분석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DNA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해서 MALDI에서 찍어볼려고하는데, 최종부피에 Matrix 부피까지 고려를 해서 희석해야하나요? 예를들어, 내가 0.8%의 DNA 수용액을 가지고 있고 이를 총 부피 100uL로 10배 묽히고자 할 때, DW(Diluited Water) 90 uL + DNA Sample 10 uL 를 혼합 해 최종 Sample 희석액을 만들잖아요?   근데 마지막에 Matrix와 Sample 희석액을 1:1 비율로 섞는다면, Sample 희석액의 전체 부피가 변하니까 농도도 하지 않나 하는 것이 저의 우려입니다.   MALDI 실험을 위해 전처리를 처음해보긴 하는데, 보통은 Matrix와 섞을 때의 부피는 고려를 안해주는게 맞나요, 해주는게 맞나요?
회원작성글 apple84  |  03.30
Q. cell 길이 측정 / C2C12 분화도 측정
   C2C12 cell을 Horse serum 첨가 배지에서 myotube로 분화시키며   몇일간 분화를 시킬지 조건을 잡고 있는데요.   논문을 찾아보니 분화된 myotube의 길이와 직경 같은 것을 그래프화 시켜서 분화조건을 뒷받침 하는 자료로 쓰기도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논문에는 어떻게 직경을 측정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없어서   cell의 길이나 직경을 어떻게 측정하고 그래프화 시키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따로 cell 길이나 직경을 측정해주는 기계가 있는 건가요 ?   
회원작성글 솔미솔  |  03.29
Q. 열고정으로 인해 죽은 균
찾아보니 죽은 균을 염색하면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렇다면 염색을 하지 않으면 관찰이 안되는건가요? 아예 투명해서 안보이게 되는건가요? 그람염색 실험 후 마지막에 그람 양성균은 관찰이 아예 안되고, 그냥 무색의 탈색된 음성균만 관찰이 됐습니다. 대조염색 안된건 둘째 치고 양성균이 관찰 안된 이유를 저는 열고정할 때 다 사멸해버린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가설이 맞다면 왜 탈색된 상태의 음성균은... 관찰이 된거죠? 양성균이 죽어버릴 정도의 온도였으면 음성균도 죽어서 보이지 않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회원작성글 으아악악  |  03.29
Q. PCR dNTP aliquot 할 때 얼마 정도로 aliquot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혹시 선생님분들은 pcr 시 dNTP를 몇 정도 aliquot하여 사용하시나요?? 얼마정도로 할 지 감이 잘 안와서요!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binbean  |  03.29
Q. RNA gel 좀 봐주세요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Bacteria (E.coli)에서 RNA extraction을 진행하였습니다.    TE buffer+Lysozyme+RNAse inhibitor를 넣고 lysis를 했고,  마지막에 RNA elution시에도 RNAase inhibitor와 EDTA를 추가했습니다.    샘플은 총 두 가지로 각각 다른 E.coli strain이었고  DNA digestion과 clean-up 후 260/280은 앞의 밴드 샘플이 1.82  두번쨰 밴드 샘플이 2.04였습니다.    일반 agarose gel에 로딩하였는데(2%사용_첫번째샘플:3ug, 두번째샘플:7ug), 밴드 두 줄이 나온 두번째 샘플과 달리 첫번째 샘플은 degradation이 된 것 같습니다.    첫번째 샘플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1.gDNA 밴드가 나온 것으로 봐서 lysis는 된 게 맞지요?(DNA digestion 전에는 gDNA밴드만 상당히 굵게 나왔습니다) 2.RNAse inhibitor양을 늘려야할까요? 3. DNA digestion 했는데도 gDNA 밴드가 나오는 이유가 뭔가요? incubation time을 늘려야할까요?
회원작성글 pjy25n  |  03.29
Q. 무균시험 멤브레인필터법 사용 장비 기기 시약등 하나하나 세세하게 알려주세요
멤브레인필터법으로 무균시험 진행시 필요한 장비 기기 시약등 하나하나 세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여과기 장비 브랜드와 대략적인 가격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gfdr26  |  03.29
Q. TLC 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TLC를 이용하여 균의 배양액 어떠한 물질들이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하지만 crude extract이기에 무수히 많은 물질이 있어 어떤 이동상을 써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딱히 타겟하는 물질이 있는 것도 아니며, 단순히 얼마나 많은 종류의 대사산물이 있는지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제가 여쭈어보고 싶은 것은 페놀, Alkaloids, terpenoids등등.. 계통 별로, 즉 chemical별로 이동상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가 결정되는 것인가요??
회원작성글 김소현이다  |  03.29
Q. mouse 약물 주입 후, 혈청분석 할 때, 오래 지나면 파라미터 의미가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mouse xenograft model에서 약물주입 후,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같이 확인하고자 하는데, 약물주입 후, 4~6주 후에 안락사 시킨 후, 장기와 혈청을 분석하고자 해요   그런데 혈청 관련해서 AST나 CK 같은 파라미터를 보고자 하는데, 약물주입이 끝나고 4~6주가 지났어도 혈청 분석시 유의미하게 데이터가 나올 수 있나요?
회원작성글 Viiiiiii  |  03.29
Q. pcDNA3.1-PCDH10 vector 소지하고 계신분 구합니다!
혹시 pcDNA3.1-PCDH10 vector을 가지고 계시는 랩실이나 개인 있으신가요? 진행하는 연구가 있어 꼭 필요하게 되어 구해봅니다.. 있으신분들은 개인쪽지나 댓글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소지하고 계신분들에게 부탁드리며.. 사례도 하겠습니다... ㅠㅠ
회원작성글 연성  |  03.29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