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서브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Gordon Research Conference: Neuroimmunology in Organismic Function: Shared Mechanisms and Reciprocal Interaction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image j 간조직 첨부파일
image j 사용 도와주세요 ㅠㅠㅠㅠㅠㅠ 1. 각 엽의 면적  사실 면적까지는 구했는데 픽셀단위라서 어떻게 제곱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면적으로 해야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 2. 각 엽의 혈관의 면적과 그 면적에 대한 퍼센트  도와주시면 사례하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
회원작성글 hrosa23  |  04.01
Q. primer sequence가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실험실에서 실험 공부 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hot-fusion method 통해서 pGR-blue plasmid에 mutated primer pink랑 purple  express 시키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cloning efficiency 확인 중에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primer sequence 가 혹시 cloning efficiency 에 영향을 미치나요?  해외 대학에서 공부 중인데 명확하게 설명 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질문합니다. 
회원작성글 바알못  |  04.01
Q. bradford assay 고체 시료 전처리 문의드립니다.
간단하게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려고 하여 bradford assay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bradford assay를 이론적으로만 배워보고 실험은 처음인데, 고체 시료(단백질 강화 머핀)를 샘플로 사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진행하려면 고체시료 전처리를 어떻게 진행하여야 하나요? 
회원작성글 우츠츠  |  04.01
Q. 단백질 정량실험 bca assay
단백질 정량실험을 진행하는데 준비한 bsa standard solution에서의 흡광도 값보다 구하고자 하는 미지 시료의 농도가 더 크게 나옵니다. 준비한 미지 시료를 희석해서 standard curve에 넣어 농도를 다시 배수하라고 대충은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서치 실력이 부족해서 그런가 어떻게 검색해야 할 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 도와주세요  
회원작성글 닉네임뭐하지  |  04.01
Q. Bradford assay에서 고체시료를 사용해서 실험하려고 합니다…
고체시료 전처리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개구리가개굴  |  04.01
Q. Aliquot
DEX 25mM 짜리를 1mM로 희석을 했는데 25mM 짜리 40ul 100% ETOH 960ul를 넣어서 1ml로 맞춘 뒤 100ul씩 엘리컷을 했는데 이튜브 9개가 나왔는데 10개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 ㅠㅠ
회원작성글 석사감옥  |  04.01
Q. realtime pcr 결과 한번만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amplification plot이 자꾸 이렇게 뜨네요 ㅠ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   cDNA합성도 제대로 된거 같고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자꾸 plot이 안잡혀요 ㅠ 
회원작성글 뱌뱌뱌뱌  |  04.01
Q. hplc, tlc 극성 비극성
holc,tlc에 용매를 극성 과 비극성을 섞어서 쓰는걸로 알고있는데 왜 섞어서 쓰는건지 이유를 알수있을까요?
회원작성글 분자생물학도  |  04.01
Q. speed님께
speed님 조언주신데로 Agillent 사 pfu로 조건 바꾸어서 muta 하여서 결과 나와서  이전 글 아래에 결과 올려놓았습니다.   저희가 Dnp1 처리후, Amp+ plate에 chloramphenicol 25mg/ml 20ul를 도포하여 쓰고 있는데, 혹시 양이 많을까요? Amp+를 한 20ml은 넣은 것 같아서요... (제가 만든 것이 아니라...)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새슬  |  04.01
Q. 다른 날 찍은 FACs data의 정량 비교 질문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FACs 실험 시 생긴 의문점을 해결하기 어려워 질문 드립니다. 3개월 전에 transfection한 샘플과 3개월 후 transfection한 샘플의 expression된 protein의 총량을 비교하고 싶은 상황에서 각기 다른 날 stain 하고 각기 다른 날에 찍은 FACs data로 정량 비교가 가능한가요? (protocol 및 FACs 장비의 세팅은 동일하다는 가정)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뱌쿠  |  04.01
Q. cell culture시, 이거 오염된건가요?ㅠㅠ 키우면 키울수록 의아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대학원생활 곧 1년이 되어가는 대학원생입니다. caco2 cell을 키우는데, 요즘들어 dish에 검은색 점이나 cell모양인 것 같은데 검은색 점 모양으로 생긴 것 투성이입니다. 처음에 stock을 풀어 키울때는 분명 깨끗하게 잘자라고 있었는데, stock에 배지만 갈아주면서 키우고 있는데 어느순간 너무나 점같은 것들이 바닥에 너무 많아졌습니다. 마지막 cell stock을 풀었는데 바닥에 붙기는 너무 잘붙고, 모양도 너무 예쁘게 잘 붙어서 기분좋게 집에 갔는데 날이 지나면 지날수록 시커먼 점들이 따닥따닥 붙어서 너무 걱정이 됩니다.  이게 마지막 cell stock푼거였어서 걱정에 걱정이 더 얹혔습니다. 아직 미숙해서 어려움이 많은데, 실험실에 선배나 동기가 없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라서 글을 적습니다. 마지막 stock 푼 것이 오염됐을까봐 잠도 못자고 있습니다.   만약 이게 오염된 것이라면 혹시 caco2 cell을 배양하고 계시는 lab실 있으실까요? 혹시 cell을 분양해주실 수 있다면 꼭 좀 연락부탁드립니다. 정말 간절합니다...  
회원작성글 Y.Y  |  03.31
Q. 약물의 염산염 제거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약물의 염산염을 제거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약물을 녹인 용매에 triethylamine를 넣고 교반한 뒤, 용매를 증발시킨다. 이 간단한 과정이, 되다가 어느 순간부터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른 논문을 참고하여 용매, 방법도 여러 번 바꾸어보았으나 DW를 넣는 순간 모두 녹아버립니다. 약물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면(새로 구입하기가 아예 불가능합니다), 어떤 가능성이 있을지, 조언을 주실 분이 계실까요. 깊이 고민하다가 질문 올립니다. 답변 주신다면, 정말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백수  |  03.31
Q. mouse BAT 조직으로 웨스턴 하는 과정에서 궁금한점 입니당
안녕하세요  mouse BAT 조직으로 웨스턴 진행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웨스턴을 첨 해봐서 housekeeping gene이 두개로 뜨는게 맞는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GAPDH 웨스턴 결과 사진입니다. 위에 줄이 37kD으로 GAPDH로 추정되는 띠인데 그 밑에 뜨는 띠는 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abcam antibody이고, monoclonal인데 두개의 띠가 뜰수가 있나요??  
회원작성글 jineee  |  03.31
Q. 세균 배양 실험 실패 이유가 뭘까요? 첨부파일
흙에서 cellulolytic bacteria를 채취해여 CMC 배지에 배양 후 관찰하는 실험이었습니다 흙 5ml에 DPBS 20ml 넣어주고 상층액만 분리하여 10^-2까지 희석하였습니다 10^0, 10^-1, 10^-2 용액을 각각 CMC 배지에 spreading하고 하루 뒤에 결과를 확인했는데요 깨끗해요... 배양되면 CMC가 분해된 부분이 하얗게 나타난다고 들었는데 그런거 전혀 안 보이네요 또다른 조에서도 10^-2에서만 single colony가 딱 하나 보였다고 합니다 실험 방식은 동일했고요 왜 균이 배양이 안 된걸까요?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여기에 여쭈어봅니다
회원작성글 시아프로즌  |  03.31
Q. 수단3 반응 실패
분자검정 실험을 했습니다. 우유에 수단3를 넣고 6분이 지난 후 결과를 봤는데 빨간색으로 염색되어 부유하는 방울들을 보지 못했습니다. 왜 지질을 관측하지 못한 걸까요?
회원작성글 딸기바나나고구마  |  03.31
Q. 랩 초보 대학생입니다 클린벤치 사용 시 오염에 대해 궁금한점
처음 셀을 dish에 seed하고 3~4일마다 미디어 교체를 해주지 않습니까.   미디어 체인지할때 dish에 깔린 cell들을 인큐베이터에서 꺼내고 클린벤치 안으로 가져오는 과정중에 dish 표면이 다 오염이 됐을텐데 별도로 dish를 에탄올로 소독하거나 알콜램프로 소독하지 않고(물론 열처리하면 cell들이 다 죽겠지만요) 미디어 교체를 진행하는 과정중에  dish 뚜껑과 바닥부분이 벤치 바닥에 필연적으로 닿게 될텐데.. dish의 안쪽만 오염되지않도록 조심하면 상관없는걸까요?     p.s 이런질문을 남기는 이유는 모든 기물들은 클린벤치 들어가기 전에 에탄올로 소독하거나 안에서 uv 멸균을 하는데  cell dish만 예외인거 같아서 질문남겨봅니다.  
회원작성글 랩퍼  |  03.31
Q. HPLC 당류 정량 및 계산 방법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HPLC를 이용해서 포도당함량 정량 분석을 해야하는데요... 제가 농도 계산에 너무 약해서 분석은 다 해놓고 어떻게 계산해야하는지 모르겠어서 이렇게 처음으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ㅠㅠ   그냥 지나가지 마시고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ㅠㅠ   먼저 제가 Standard curve는 excel 통해서 그렸구요, 기울기가 1268215.9, 절편이 52715.0 이렇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sample 6g(해당 sample에는 70Brix, 순도98% 짜리 액상 포도당이 총 배합비의 20% 첨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이 을 넣고 초순수로 100ml를 맞춰서 시료를 제조 하였구요, 해당 만들어진 용액을 마그네틱바로 20분 저어주고, 85℃ 항온수조에서 20분간 용출시켰습니다.   그리고 나서 해당 용액을 실린지 필터이용해서 샘플링 한 뒤, HPLC 분석을 하였더니, Area가 700653.2 나왔습니다.   문제는... 이 후, 이게 제대로 분석이 된 값인지... 그리고 이 Area값을 가지고 이 안에 얼마나... mg/ml 들었는지... 계산을 못하겠습니다.....ㅠㅠ X값으로 나오는 값이 단위가 mg/ml 인가요? standard curve 만들때 0.5~5%농도까지 만들었는데요... 헷갈리는 것 같아요 ㅠ 중고등학교때도 농도가 어려웠는데.. 지금도 너무 어렵습니다... 계산 방법을 간략히라도 알려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복 받으실거에요!! ㅠㅠ
회원작성글 프로당  |  03.31
Q. phosphate buffer (pH = 3)
pH = 3 짜리 phosphate buffer 를 만들어야 합니다.   water 에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를 넣은 후에 phosphoric acid 로 pH 맞추는 게 맞을까요?
회원작성글 케이티엑스  |  03.31
Q. column 관련 질문 드립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column은 c18 column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sigma, 99%)을 단일 분석을 돌렸는데 Double peaks가 발생하고 카페인(sigma, <99.5%)도 단일 분석시에 tailing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column 초입에 Blocked frit이 발생한 거 같은데 column의 flow 방향을 역으로 하여 washing 하는 방식으로 frit을 해결한다고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궁금한 점은 column의 flow를 역으로 연결 하였을 때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이동상은 ACN : Water (HPLC등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원작성글 바위게  |  03.31
Q. 어떤 것에 의한 contamination 인지 봐주실 수 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우선 제가 cell culture에 대한 가방끈이 너무너무 짧고 경험도 없어서 무지한 질문 드리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제가 직접 만든 DMEM에 대한 sterility 정도를 확인하고 싶어서 균 접종 없이 약 66시간 정도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부유물이 떠다닙니다. 혹시 이런 것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현미경으로 확인하면 이러한 모양입니다.   배율은 200x(또는 400x)로 기억합니다.. 작은 구 하나당 10~20 um정도 로 보였습니다   대체 이게 뭘까요? contamination 에 의한 것인가요?   0.1 sterile filter를 사용하고 sterile technique에 따라 작업했는데 오염이 발생했다는게 도무지 이해가 안됩니다..   더군다나, 이것과 동시에 10% FBS를 첨가하여 배양한 액은 이러한 부유물이 없습니다..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co2 배양기에 넣음에 따른 pH 저하에 따른 calcium carbonate 침전이라고 생각되는데 이게 논리적으로 말이 될 수 있는 말인지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밝은하늘  |  03.31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