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분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연구동향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투표진행 R&D Systems Human XL Cytokine Array Kit를 사용하였습니다. 필름에 아무것도 현상되지 않았습니다. Protoco...
진행 2023.06.01~06.05  |  참여자 9명  |  댓글 1
참여하기
Q. DNA polymerase 1의 프라이머 교체 과정 질문드립니다
DNA 복제 과정을 보다 불현듯 생긴 사소한 의문을 여쭤보고 싶어 작성합니다. DNA 복제 과정을 보면, 후반부에 polymerase 1이 primer를 제거하고 대체하는데, 이 때 프라이머 부위를 이전 오카자키 절편의 3'에서부터 진행하는 것이 맞을까요? 예를 들어  5' - ABCDE / FGHIJ / KLMNO -3' 이렇게 절편 3개가 있고 AB, FG, KL이 프라이머 부위일 때 polymerase1이 프라이머를 대체하고 나선 5' - CDEFG / HIJKL / MNO -3' 이렇게 되는 게 맞을까요?
회원작성글 생생명보통  |  06.02
Q. K562-luc 세포주 있으신 분 제발 도와주세요 한번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저는 mouse에 i.v.로 K562-luc를 투여하여 혈액암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프라이밍한 NK 세포의 효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계획 중입니다. 따라서 K562-luc가 필요한데 세포주 사는것을 컨펌 받는것도, 받는다고 한들 배송오는 것도, 아니면 클로닝 하는것도 모두 지금 시간이 여의치 않아 고민입니다.. 혹시나 혹시나 정말로 K562-luc 세포주가 있으신 분 계신가요.. 진짜.. 한번만 분양 부탁드립니다ㅜㅜ
회원작성글 나도 도비 너도 도..  |  06.02
Q. 단백질 보관 방법이 궁금합니다. 웨스턴 실험 단백질!
안녕하세요  대학원 1학기 다니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단백질 보관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세포에서 단백질을 뽑고 -80도에 보관하고 웨스턴을 내릴때마다 꺼내서 사용을 했는데, 단백질 상태가 변한 것 같아 단백질 상태를 좋게 오랫동안 보관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분명 3주 전에 웨스턴을 내릴때는 잡밴드 하나도 없이 밴드가 일정하게 잘 나타났었는데 3주뒤에 -80도에 보관해둔 단백질을 다시 꺼내어 똑같은 프로토콜로 그대로 웨스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밴드 밑에 희미하게 잡밴드가 같이 떳습니다. 사진도 함께 첨부하겠습니다.  (왼쪽 사진이 3주전에 웨스턴을 내렸던 사진이고 1번 lane이 MSC 2번 lane이 Hela입니다. 오른쪽 사진도 동일하고 3주 후에 웨스턴 내린 사진입니다. 
회원작성글 밍도비  |  06.02
Q. micropipette 고장
어제까지만 해도 잘되던 파이펫이 오늘 갑자기 정해놓은 양을 다 따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게 되고 용액에 그대로 꽂아넣고 있으면 압력이 새는 부분이 있는지 딴 용액이 주르륵 다시 내려갑니다...ㅠㅠ 뭐가 문제일까요?  같은 회사 다른 단위의 파이펫을 확인해봤는데 플라스틱 오링이 살짝 깨진 것 이외 다른 것이 없습니다 그 전에도 플라스틱 오링이 깨진 것을 봤는데 괜찮아서 계속 쓰고 있었는데 크게 금이 가서 압력이 새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수리를 맡기는 편이 좋을까요? 아직 대학원생이 아니고 인턴 중에 발생한 것인데ㅠㅠ
회원작성글 가랑비처럼  |  06.02
Q. Cell growth 잡기
다음주에 CHO S CELL 을 이용하여 일주일동안 Cell growth를 잡는다는데 제가 경험이 없어서 어떠한 방법으로 실험을 하는지 좀 알고 가려구요..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박부기  |  06.02
Q. 안티바디 해동 후 재냉동
안녕하세요. 실수로 aliquot 아직 안 한 안티바디를 냉동했습니다. 단백질이라 해동하고 재냉동하면 안 좋은 건 알지만 한 번 정도는 괜찮을까요? 4도에서 해동시키고 aliquot하고 다시 냉동시키고 이후 재냉동할 일 없이 하면요?
회원작성글 봄동  |  06.02
Q. 4% PFA로 조직 고정하고 최대 며칠까지 안정한가요?
mouse skeletal muscle 단면을 촬영하려고 합니다. 조직 분석 의뢰 맡기려고 하는데 다음주 수요일에나 가능하다네요 ㅠ 수요일까지 괜찮을까요?
회원작성글 Brady  |  06.02
Q. primary epithelial cell의 배양에서 gelatin coating 없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실험을 처음하게된 대학원생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 잘 사용하지않는 세포를 처음 다루는거라 모르는게 너무 많고 걱정되어 선배 연구자분들께 질문드립니다. 제가하려는 실험은 primary epithelial cell을 구입하여 배양 후 tight jucntion에 대한 단백질 발현을 비교하려는 실험입니다.  젤라틴 코팅을 위한 약품을 구입하지 않았는데, 제품 카탈로그를 읽어보니 젤라틴 코팅 플라스크를 쓰라고 되어있습니다. 찾아보니 젤라틴 코팅은 세포의 부착을 높여 줄 수 있고 일부세포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것 같은데 회사에서 추천하는 당 회사의 판매 제품에는 정확한 젤라틴 비율이나 성분이 기재되어있지 않아 혹시 이게 꼭 필요한것인지/ 필수요소는 아니지만 도움이 되는 수준인지/ 선택사항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혹시 꼭 같은 회사가 아니더라도 다른 국내 기업들의 제품을 사용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실험이 좀 더 지체되면 안될것 같아 빠르게 진행해야할것 같은데, 구입처는 해외주문으로 한달이 걸리게 되니 혹시 큰 문제가 없다면 우선 배양을 시작해봐도되는지 궁금합니다. 결론은 꼭 젤라틴 코팅된 플라스크를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dustnvet  |  06.02
Q. HPLC washing 첨부파일
HPLC를 장시간 사용 안하고 있다가, 한 번 워싱을 하려고 하는데 100% MeOH로 2-3 min/L 로 30 - 1시간 정도 흘려 보내려고 합니다.  이 때 몇 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1. 사용할 100% MeOH가 HPLC grade 인데 0.45 um 필터로 한번 여과 후 sonication도 20분 정도 하고 washing 해도 될까요? 아니면 여과, sonication 없이 바로 사용해도 될까요?  2. sonication 할 때 뚜껑은 열어야 하나요? 3. purge valve를 닫고 흘려 보내야 하나요? (현재 컬럼은 끼워놓지 않은 상태 입니다.) 
회원작성글 썬캣  |  06.02
Q. 웨스턴 Housekeeping gene이 일정한 band로 안나와요ㅠㅠ
저는 지금 석박통합 1학차 학생입니다. 웨스턴블랏을 하는데 실험을 거듭할수록 더 결과가 안좋아지는 것 같아요ㅠ    밴드가 한줄로 나와야되는데 두개 밴드가 잡힌다던지 막 뭉개져서 보인다던지 하기도하고 무엇보다 b-actin양이 일정하게 안나오네요... 정량을 하려면 b-actin 양이 일정해야하는데 매번 정량하면서도 찝찝합니다. pipetting 하고 sample loading 했고 일정하게 안들어갈까봐 피펫 눈금이 돌아가고있지 않은지 로딩 할때마다 확인했어요ㅠㅠ  좀 더 일정하게 band가 나오게끔 하려면 뭘 더 해봐야할까요.. BCA assay부터 다시 하는중이긴한데 이제는 저를 못믿겠습니다..
회원작성글 핑광이  |  06.02
Q. co-IP 결과 해석
제가 IP 결과를 처음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일단 여기서의 논문에서의 결론은 p85와 p110은 interaction을 하는데 Tim-3가 overcepression되면 p85-p110 interaction에 방해가 된다 라는 말입니다. 혹시 전체적인 해석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IP에 무지해서ㅠㅠ 그리고 저 HA 부분도 이해가 안가는데 HA가 tagging용으로 많이 쓰이는 건 압니다만.. pcDNA에서는 안나오고 pcTim-3에서는 나오는게 왜 그런걸까요? pcTim-3는 HEK293에서 의도적으로 Tim-3를 overexpression시킨거같고 pcDNA는 vector 그자체로 해서 control 아닌가요?  
회원작성글 개똥이야  |  06.02
Q. pH3 배지 굳히기
Agar 를 1.5% 해도 굳지않아서 두배로 넣어도 굳지않네요 glucose 와 Agar로 굳히는 방법은 없나요..
회원작성글 실생아  |  06.02
Q. AGAR 배지에 스프레딩 단시간에 최대한 많이 하는 법
안녕하세요 Transformation이후 도말을 단시간에 최대한 많이 하고자 합니다. 60개 하고 어깨와 팔에 무리가 가서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배지 제조부터 전과정을 혼자하고 다른 실험들도 산재하기에 체력 안배를 위해 효율적으로 실험하고자 함이니 충고형 답변은 정중히 거절하겠습니다. 현재 10cm dish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리봉으로 도말하고 있습니다. 3분할 되어있는 petri dish도 고려하였으나, 당장 실험을 해야 하기 때문에 구매에서 수령까지 또 시간이 소요될것 같아 당장 사용하기에는 무리일것 같습니다. 혹시 경험 많으신 분들께 조언 구합니다.
회원작성글 파이펫쟁이  |  06.02
Q. 첨가물 스모크향 페놀 계산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잠시 궁금한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첨가물 스모크향 시험법 중 페놀 함량에서 결과가 %가 나오려면 계산식이 (검량선으로 부터 나온 페놀 함량-blk값)÷검체량(g)×희석배수×1/10000 이게 맞을까요?? 그리고 희석배수는 0.2% 수용액이니 500배가 맞나요? 초보라 기본적인걸 여쭤보는것 같지만 아시는분께선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ㅠㅠ
회원작성글 드  |  06.02
Q. blocking buffer TBST로 안씻고 바로 library 넣었어요...
안녕하세요  phage display 실험 하는 학생입니다 blocking buffer를 TBST로 씻고 phage library 넣어야하는데 제가 깜박하고 그냥 phage library 넣어버렸는데 괜찮을까요....ㅜㅜㅜ 맨날 덜렁거리네요 ㅠㅠ 혼날까봐 너무 무섭네요...  
회원작성글 대학생_  |  06.02
Q. autoclave 2번
플라스크를 autoclave 2번 정도 작동하고 사용해도 되나요?    멸균테이프를 안붙여서 autoclave를 돌렸는지 안돌렸는지 몰라서 혹시 몰라 autoclave를 2번 돌리려고 합니다.  
회원작성글 썬캣  |  06.01
Q. 미생물 배지 제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미생물 실험은 처음이라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모유올리고당 중 2'-fucosyllactose라는 삼당류(L-푸코오스, D-갈락토오스 및 D-글루코오스)를 이용한 실험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이를 첨가한 MRS broth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O.D 값을 측정하려고 하는데요 기존에 MRS broth 제조 시에는 정량만큼의 MRS powder와 D.W를 잘 섞어준 후 메뉴얼에 나온대로 121도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기본 MRS에 2'-FL을 첨가한 배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2'-FL이 당이라서 기존 배지와 함께 섞어 autoclaving 할 경우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원래 방식대로 broth를 제조한 후 당은 따로 멸균해서 이후에 섞어 주어야 할까요? 혹시 이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있다면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dgyr  |  06.01
Q. Pig pbmc isolation
돼지 혈액에서 pbmc를 분리하려고 합니다. 한번도  pbmc isolation를 해본적이 없는데 찾아보니까 많은 분들이 kit를 사용하여서 분리하시더라고요! 그리하여 ficoll를 사용하여 분리하려고하는데 ficoll은 human blood에서 사용하신다고 하셔서요. 돼지에서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한가요? 검색해보아도 돼지혈액에서  pbmc isolation를 하신분은 없으셔서 없으셔서 질문합니다 ㅜㅜ 돼지에서  pbmc isolation 하신분 있으시면 좀 도와주세요!!! 열심히 검색하고 공부하고 있는데 모르는점이 너무 많습니다.
회원작성글 oneday  |  06.01
Q. mice plasma 추출 퍼센트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연구실에서 serum은 40~50% 추출되고 있는데,   plasma 추출이 처음이라 추출전 대략 whole blood에서 몇 퍼센트 정도 추출되는지 찾아 보려했으나 논문마다 30%, 45%, 55% 다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혼란스럽네요.   물론 상황에 따라 추출되는 %가 다 다르겠지만 보통 mice에서 plasma 추출시 몇 퍼센트 정도 추출되시나요?    
회원작성글 라이  |  06.01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